中 커피시장, 가격 인상 불구하고 밝은 성장 전망

  • 등록 2022.05.11 13:10:10
크게보기

최근 중국에서 스타벅스를 시작으로 러킨커피(Luckin coffee, 중국판 스타벅스), Tims 커피 등 여러 대형 커피체인점들이 커피가격 인상 대열에 차례로 합류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의하면 해당 브랜드들의 아메리카노, 카페라떼와 같은 메인 커피 제품의 가격은 최소 1위안(한화 약 190원)에서 최대 3위안(한화 약 570원)까지 인상됐다.

 

 

업계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공급망 마비와 자연재해로 인한 커피산지의 작황 부진에 따른 국제적인 원두 가격 폭등을 이번 커피 가격 인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중국 커피시장의 경쟁 심화와 그에 따른 커피 브랜드들의 운영비용 상승을 들 수 있다.  유명 바리스타인 장인즈어는 “상대적으로 발전한 도시 일수록 커피 수요가 늘어나고 이는 곧 커피 전문점의 운영비용 상승과 직결된다. 커피 한 잔의 원가에서 임대료와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원두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훨씬 높다”고 설명했다.

 

커피가격이 인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커피시장은 여전히 호황을 맞이하고 있다. 아이미디어 리서치(iMedia Research)에 따르면 2020년 중국 커피시장의 규모는 3,000억 위안(한화 약 57조 2,730억 원)을 기록했고, 2025년에는 약 1조 위안(한화 약 190조 91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에 밀크티와 차 음료가 주류를 이루었던 중국의 음료 시장은 최근 급속한 도시화와 밀크티시장의 포화 상태로 ‘커피’라는 새로운 돌파구를 맞이했다. 비록 전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중국의 로스팅 커피 소비량은 미국과 한국 등 커피가 이미 보편화된 나라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편이다.

 

하지만 중국 내에서는 최근 일선 도시와 이선 도시를 중심으로 많은 사람이 커피를 즐겨 마시기 시작하며 로스팅 커피의 소비량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다.

 

 

스타벅스와 러킨커피와 같은 대형 커피체인점 외에도 Manner커피, Seesaw 커피와 같은 신형 커피 브랜드도 약진하고 있다. 또한, 우체국 기업인 차이나포스트와 석유천연가스 그룹인 중구어스요우(CNPC)도 커피 시장에 뛰어들며 시장에 열기를 더했다.

 

중국의 데이터 분석 사이트인 톈옌차수쥐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새롭게 등장한 커피 관련 기업은 약 2.55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 시장이 커지며 가공품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중국의 식품기업인 왕왕(旺旺)은 최근 Z세대를 공략하여 가볍고 부드러우며 지방 함유가 낮다는 특징이 있는 ‘칭루(轻乳, 가벼운 우유 맛)’시리즈 커피 음료를 선보였다.

 

네스카페(雀巢咖啡) 또한 중국의 건강화 열풍에 맞추어 맛이 진하고 풍미가 깊은 헤이카(黑卡, 우유가 들어가지 않은 커피) 인스턴 트 커피 제품 등을 시장에 선보이며 소비자들의 인기를 끌었다.

김하루 기자 lumunehito@foodnews.news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식품외식경영 서울 강남구 학동로 18길 13, 2층(논현동, 청석타운빌) 발행인 : 강태봉 | 편집인 : 강태봉 | 전화번호 : 02-3444-3600 Copyright FOOD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