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인사이트] 장인정신과 장인정신의 페어링

 

2024 발베니 메이커스 캠페인의 첫 주자가 발표됐다. 바로 <기가스>의 정하완 셰프다.

 

 

직접 재배한 식재료를 식탁에 올리는 것으로 잘 알려진 셰프와 보리 경작에서부터 위스키 메이킹을 시작하는 발베니의 장인정신이 어우러진 페어링코스.

 

처음부터 끝까지 손으로 빚는 작품

 

정통 수제 싱글 몰트위스키 브랜드 발베니에는 진정한 장인정신이 어려 있다. 1892년 증류소를 설립한 이후 보리 재배부터 몰팅, 증류, 숙성, 병입, 오크통 제작까지 전통 방식을 고수하는 브랜드로, 특히 보리를 직접 경작하는 전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증류소 중 하나다.

 

그만큼 발베니 제조 과정은 어느 하나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은 공정이 없을 정도로 품이 많이 든다. 이러한 장인정신을 기려 발베니가 지난 2021년부터 국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캠페인이 있으니, 바로 ‘발베니 메이커스 캠페인’이다. 전국 곳곳의 장인을 만나 그들의 노고와 가치를 조명하는 프로젝트로, 그간 전통공예, 국악기 등 다양한 분야의 장인과 협업해 크래프트맨십과 수제의 가치를 나눴다.

 

올해 발베니가 주목하는 장인은 미쉐린 스타 셰프다. 미식이라는 화려한 이름 뒤에 숨겨진 셰프의 열정에 경의를 표하고 발베니의 브랜드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서다. 첫 주인공은 팜투테이블을 고집하는 <기가스 Gigas>의 정하완 셰프다. 독일 미쉐린 3스타 레스토랑 <라 비 La Vie>의 헤드 크리에이티브 셰프를 지낸 그는 2021년 모던 지중해식 레스토랑 <기가스>를 오픈해 팜투테이블을 실천하고 있다.

 

자신을 “반은 셰프, 반은 농부”라고 말하는 셰프는 경기 군포에서 가족이 경영하는 와니농장을 일주일에 2-3번 방문해 직접 채소를 돌보고 맛을 연구하며 수확 시기를 결정한다. 좋은 위스키는 향이 풍부하듯, 섬세하게 돌본 채소는 향부터 다르다고. 재료를 직접 재배하고 숙성한 뒤 요리로 내는 과정은 다소 비효율적이지만, 요리에 있어서 효율이란 ‘맛’이기 때문에 모든 과정을 고집하고 있다. 이러한 팜투테이블 정신을 인정받아 <기가스>는 2022년미쉐린 그린스타를 받기도 했다.

 

들여다보면 발베니 생산과정과 정하완 셰프의 요리는 서로 닮은 점이 많다. 발베니 증류소가 위치한 스코틀랜드는 기후 예측이 어려워 농부의 직감과 정성이 필요하기에 농업 장인인 와이즈맨 가문이 전담해 재배하고 있다. 정하완 셰프 또한 레스토랑 오픈 이후 시행착오를 거치며 최상의 맛을 끌어내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뿌리채소를 수확한 뒤 항아리에 묻어두면 영양소가 분해되면서 달큰한 맛이 올라오는데, 이는 위스키를 오랜 시간 오크통에서 숙성하는 과정과 비슷하다. ‘위스키’와 ‘요리’라는 하나의 작품을 만들기 위한 전 과정이 수작업이라는 점도 닮았다.

 

발베니와 팜투테이블 메뉴의 만남

 

이번 발베니 메이커스 캠페인은 발베니 더블우드 12년과 어울리는 정하완 셰프의 팜투테이블 페어링 코스를 선보인다. 더블우드 12년은 최소 12년간 버번위스키를 담았던 아메리칸 오크통에 숙성하고, 셰리 와인을 담았던 유러피언 오크통에서 6-9개월 추가 숙성해 깊은 복합미를 낸다. 셰프가 첫 번째 페어링에서 주목한 발베니의 특징은 꿀 향이다.

 

서해 관자에 캐비어, 오징어 쥐 Jus, 아몬드 튀일, 태양초 고추기름을 더한 요리에 고구마 로메스코 소스로 맛을 냈는데, 달콤한 꿀 향과 고구마의 달달함이 매끄럽게 이어지면서도 매콤한 끝맛이 확실한 킥이 되어준다. 고구마 로메스코 소스를 만드는 데 걸린 시간은 꼬박 1년. 고구마를 숙성한 뒤 구워서 수분을 제거하고, 그릴에 태운 고추와 올리브오일을 더해 섞은 다음 한 차례 끓인 뒤 식혀 냉장고에 하루 동안 숙성한다.

 

이 과정을 한 달 동안 매일 반복하고 진공 상태로 만들어 냉장고에서 1년간 숙성해 완성했다. 끈질긴 장인정신 없이는 불가능할 지리한 과정이다. 두 번째 페어링 메뉴는 메인 요리인 3주 숙성 오리 가슴살. 보리 맥아를 원료로 만든 조청에 오리고기를 숙성했는데, 위스키를 만들 때 보리 맥아를 발효하는 것에서 착안했다.

 

눈을 감고 향에 집중하면 은은한 보리 향을 느낄 수 있고, 크게 썰어 한입 먹으면 시간이 빚어낸 깊은 풍미가 입안 가득 퍼진다. 발베니와 요리가 서로 어우러지면서도 각자의 맛을 돋보이게 하는 우아한 듀엣을 맛보는 듯하다. 이외에도 미각을 깨우는 사과 허브 주스, 겨울 루콜라와 서해 관자, 타임과 로즈메리로 풍미를 더한 당근 & 귤 & 서해 생합 등 모든 메뉴는 셰프가 직접 돌본 유기농 채소와 허브로 요리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런맛남] 전주의 맛과 색 담은 ‘전주 비빔빙수’ 출시
전국 랜드마크 호텔로 자리잡은 라한호텔이 전통과 미식의 도시인 전주의 매력을 살린 프리미엄 이색 디저트 ‘전주 비빔빙수’를 선보였다. 지역 대표 음식이자 다양한 재료가 조화를 이루는 비빔밥을 재해석해 자체 개발한 여름 한정 메뉴다. ‘전주 비빔빙수’는 놋그릇에 수박, 망고, 키위 등 신선한 과일을 아낌없이 올린 과일빙수를 고급 한정식 한 상 차림처럼 즐길 수 있다. 곱게 간 우유얼음과 팥, 딸기시럽, 복숭아 찹쌀떡 등 갖가지 토핑이 반찬처럼 담겨 있어 원하는 대로 얹어 비벼 먹는 재미를 선사한다. 여기에 노란 빛깔의 호박식혜도 곁들여져 시원하고 달콤한 여름 별미를 완성할 수 있다. 가격은 2인 기준 2만9000원이다. 벌써부터 고객들 반응이 뜨겁다. ‘전주 비빔빙수’는 알록달록한 색감과 고급스러운 담음새로 인증샷 남기기에 좋을 뿐 아니라 취향에 따라 토핑을 조합할 수 있어 연일 재료가 조기 소진될 정도로 출시와 동시에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전주 비빔빙수’는 9월 30일까지 라한호텔 전주 내 카페&라운지 ‘하녹당’에서 만날 수 있다. 한편 라한호텔은 핸디캡 트윈 객실 1박과 ‘전주 비빔빙수’가 구성된 ‘여름한정 핸디캡룸 패키지’ 상품을 특가로 선보인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올여름 부산여행 중 하루는 일본 어때…부산-대마도 당일치기 여행 상품 주목
올여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정 등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루만 더 여유를 내서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대마도 당일치기 여행’을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 일본 전문 여행사 ‘일본만’이 부산과 일본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실속 당일치기 코스 여행상품을 출시했다. 일본 대마도는 부산을 찾은 수도권 관광객뿐 아니라 부산 시민들에게도 이미 일상적인 해외 여행지로 자리잡았다. 마트 쇼핑, 일본 간식 사오기, 데이트, 소규모 출국 체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하루에도 여러 편이 운항되는 부산-대마도 배편은 흔한 일상 속 여행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대마도 여행 수요는 온라인 검색 트렌드에서도 확인된다. 네이버에서는 ‘대마도 배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검색되며, 여름철에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 10위권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 보편화된 관광지가 됐다. 여권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한 일본 당일치기 여행 대마도는 부산항에서 팬스타 링크호, 대아고속 씨플라워호, 스타라인 니나호 등 매일 3개선사가 운영 중인 고속선 노선을 이용해 약 1시간 10분 거리에 위치해 하루 안에 왕복 가능한 실속 해외 여행지다. 현재는 왕복 2만9900원대의 특가 대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