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티 바람 부는 베트남 커피 시장

최근 베트남에서 Z세대(1995년 이후 출생)를 중심으로 프리미엄 스페셜티 커피의 바람이 불고 있다.

 

그동안 베트남 커피시장에서는 Cà phê sữa đá (카페 쓰어다)라는 자국 주요 커피 생산 품종인 로부스타 빈에 연유 혹은 설탕이 들어간 우유를 넣어 쓴맛을 잡은 아이스밀크커피가 대표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커피 본연의 맛을 즐기는 애호가들이 늘어나며 아라비카 품종을 비롯 케냐, 에티오피아, 과테말라, 게이샤 등 스페셜티 커피 원두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 커피 시장은 가격대 별로 크게 4가지로 분류된다. 가장 저가인 스트리트 커피 혹은 테이크아웃 커피 전문 미니 커피 스탠드, 그 위로 로컬 프랜차이즈 브랜드(하이랜드 커피, 커피하우스 등)가 위치한다.

 

 

상대적으로 커피 가격이 높은 해외 프랜차이즈 브랜드 커피(스타벅스, 커피빈), 스페셜티 커피숍이 프리미엄 커피 시장을 양분한 형태다.

 

베트남 커피시장, 로컬·해외 브랜드 각축전

베트남 산업 연구 컨설팅 JSC에 따르면 베트남의 주요 프랜차이즈 카페는 2018~2019년에 걸쳐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업계 1위인 하이랜드커피는 유일하게 흑자를 기록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하이랜드커피는 2019년 기준 6,8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 전년도 대비 31% 이상의 성장을 보였다.

 

 

업계 2위인 커피하우스는 저렴한 베트남 커피부터 중가의 이탈리안 커피까지 모두 아우르는 메뉴로 구성돼 있다.주요 번화가에 2-3층 규모의 대형 매장을 오픈하는 전략으로, 전년도 매출은 2,872만 달러를 기록했다.

 

스타벅스(Starbucks)는 커피하우스와 근소한 차이로 매출 3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9년 2,8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커피 및 음료 한잔 당 가격이 VND 60,000~150,000(약 3,000원~7,700원 )으로, 하이랜드 커피보다 약 2-3배 비싼 편이다.

 

푹롱은 업계 4위로 2,017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프리미엄 차와 커피를 동시에 취급, 전년도 대비 39%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푹롱은 차 전문 브랜드로서 커피 보다는 차의 매출이 더 높은 기업이다.

 

한편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진출한 커피 프랜차이즈 업체는 2020년 6월 현재 빽다방이 유일하다. 메뉴가격은 VND 30,000~80,000(약 1500원~4000원)으로 하이랜드 커피와 유사한 가격 정책을 쓰고 있다. 베트남 전통 커피인 에그 라테를 반영한 커스터드 라테를 메뉴에 포함해 로컬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고 있다.

 

비싸도 맛과 분위기 좋은 스페셜티 커피숍 인기

스페셜티를 취급하는 카페의 커피 가격은 VND 60,000 이상(약 3,000원)으로 로컬 프랜차이즈 커피숍에 비해 두 배에 가깝다.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고급스런 분위기에서 질 좋은 커피를 마실 수 있어 베트남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있다.

 

 

베트남도 하노이, 호찌민 시내 중심부는 임대료가 높아 개인 카페의 경우 번화가를 벗어난 골목 안쪽으로 위치한 경우가 많다. 외진 곳에 위치하더라도 일단 SNS를 통해 커피 맛과 분위기가 알려지면 젊은 손님들을 모을 수 있다.

 

스페셜티 커피숍은 해외에서 프리미엄 생두를 수입해서 로스팅하는 로스터리 카페가 주를 이룬다. 다양한 원산지의 생두를 로스팅하여 고객이 원하는 대로 원두를 블렌딩 하거나, 고객이 원하는 메뉴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호찌민 시내의 2군과 7군에 위치한 한 프리미엄 카페에서는 12가지 종류의 원두를 고객이 선택할 수 있게 했다. 드립 종류도 베트남 전통 드립 커피 추출 방식인 핀 커피 드립은 물론, 하리오 드립, 사이폰 드립, 필터 드립, 융드립, 모카포트 추출 등 8가지가 넘는 드립과 추출 방식을 갖추었다.

 

예를 들어 에티오피아와 예가체프 커피 빈을 블렌딩 하여 사이폰 드립으로 내려달라고 하면 즉석에서 미리 로스팅 해놓은 원두의 정량을 측정하여 블렌딩 한 후 고객이 원하는 방식으로 내려주는 고객 주문 메뉴 제작 방식이다.

 

호찌민 3군에 위치한 N카페의 경우 대부분의 밀크 폼 커피 메뉴들은 아인슈패너 커피, 아이리쉬 커피와 흡사한 커피를 제공한다. 우유 거품을 낼 때 약간의 소금을 넣어 우유 특유의 단맛을 배가 시킨다.

 

 

이용 고객은 외국인 관광객이거나 대부분 젊은 세대의 현지인이다. 베트남 Z세대들은 커피숍을 일반적인 만남의 장소보다는 사무실 대용, 회의 장소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칸타르 월드패널 (Kantar Worldpanel)의 연구 보고서는 60% 이상의 베트남 20-30 세대들은 집에서 커피를 내려 마시기보다 카페에서 마시는 것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점진적으로 베트남 국민의 총 소득이 증가하며 프리미엄 커피 시장도 꾸준히 확대될 전망이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김장의 본고장' 괴산서 전국의 손맛 자웅 겨룬다...김장 경연대회 첫선
확연한 일교차에 김장의 계절이 다가오면서 충북 괴산군이 또 한 번 전국의 이목을 끈다. 괴산군은 오는 11월 열리는 2025 괴산김장축제의 성공 개최를 기원하며, 전국 단위 김장 경연대회인 ‘대한민국 김장 경연대회’를 개최한다. 괴산축제위원회가 주최하는 이번 대회는 올해 충청북도 최우수축제인 괴산김장축제가 향후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됨을 목표로 하며 김장의 전통과 문화를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회에는 괴산의 대표 농산물인 절임 배추와 청결고춧가루를 주재료로 삼는다. 김치를 주제로 한 대회는 많지만, 절임 배추를 중심에 둔 전국 단위 김장 경연대회는 이 대회가 유일하다. 괴산군은 이미 ‘김장=괴산’이라는 이미지를 오랜 시간 지켜왔다. 2013년 대한민국 김장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 훨씬 전인 1996년 전국 최초로 상품화한 ‘괴산 절임배추’는 유통망을 넓히며 명성을 얻었다. 절임배추와 함께 김장에 필수적인 청결고추는 이제 괴산을 대표하는 브랜드 농산물로 자리 잡았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괴산김장축제는 단순한 먹거리 행사를 넘어 문화와 체험, 경연이 어우러진 종합축제로 도약한다. 특히, 첫선을 보이는 ‘대한민국 김장 경연대회’는 지역과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경기도일자리재단,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신규 기업 모집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오는 10월 20일부터 창업자와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신규 기업을 모집한다.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는 중소벤처기업부와 경기도가 함께 조성한 창업지원 공간이다. 창업자에게 사무공간과 전문적인 지원을 제공해 경기도 내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재단에 따르면 매년 진행되는 전국 단위 평가에서 3년 연속 A등급을 획득하며 사업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고 전했다. 선정된 기업은 수원시에 위치한 경기도일자리재단 내 공용 사무공간과 사무기기를 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창업 교육, 전문가 자문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인 ‘선택형 사업’에도 참여할 수 있다. ‘선택형 사업’은 ▲지식재산권 출원 ▲홍보마케팅 ▲인증 획득 ▲시제품 제작 등 기업의 단계별 성장에 맞춘 지원을 제공한다. 신청은 10월 20일부터 10월 23일 오후 4시까지 가능하다. 신청 대상은 공고일(9월 2일) 기준 경기도에 주소를 둔 1인 창조기업 예비 창업자 또는 창업 7년 이내의 경기도 내 주 사무소를 둔 창업자다. 재단은 이번 모집을 통해 창업자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창업 활동에 전념할 수 있을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