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커피 트렌트를 한눈에, ‘2019 싱가포르 카페 아시아’ 방문기

‘2019 싱가포르 카페 아시아’가 지난 3월 21~23까지, 3일간 개최됐다. 

올해로 7년째를 맞은 ‘2019 싱가포르 카페 아시아’는 싱가포르 대표 카페산업 전시회로 인식되며 주요 요식업 바이어들의 소싱허브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전시회는 작년과 동일하게 International Coffee & Tea Industry Expo 및 Sweets & Bakes Asia가 동시에 개최됐다. 아시아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의 카페산업 흐름을 하나의 전시회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올해는Restaurant Asia도 열려 음식점에서 사용될 주방기기 및 주방용품 등 전반적으로 외식업에 필요한 품목까지 선보였다.

 

다양한 무대행사 및 시식체험 기회

싱가포르 커피 협회에서 주최하는 바리스타 챔피언십, 라떼아트 챔피언십 등 각종 무대행사를가 진행돼 이를 통해 싱가포르 및 동남아 시장의 카페문화와 기술, 그리고 이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를 가늠할 수 있었다.

 

 

또한, 전세계 각국의 커피 및 차를 한 자리에서 시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올해는 처음으로 ASEAN* 커피협회(ACF, ASEAN Coffee Federation)에서 동남아 원산지 커피를 홍보하고자 스페셜티 커피 경매를 주최해 총 24종의 미얀마 및 인도네시아 커피를 선보였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플라스틱 → 친환경 쌀 빨대

최근 스타벅스 등 유명 카페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사용이 금지되며, 스테인레스 스틸 및 종이 등을 대체 빨대 소재로 실험 중이다.

 

하지만 스테인레스 스틸 빨대 세척에 소비되는 다량의 세제와 물, 그리고 같은 빨대가 재사용된다는 점이 비위생적이라는 지적이 있다. 종이 또한 재활용되기 힘들고 제조과정에 인체와 환경에 해로울 수도 있는 화학물질이 포함된다는 점에서 대체소재를 찾는 것이 시급하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동남아 최초로 말레이시아의 Nlytech Biotech Sdn Bhd에서 자체개발한 쌀 빨대를 선보였다. 쌀과 타피오카를 원료로 삼아 사용 후 먹을 수도 있는 빨대가 참관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Nlytech Biotech의 Law Yee Tee 대표는 현재 말레이시아 페낭에 제조시설설립을 준비하고 있으며, 할랄 인증까지 완료한 제품으로서 올해 5월부터 국내외시장에 선보일 계획을 밝혔다.

 

싱가포르 설탕세 도입 대비책으로 대체 감미료 물색 활발

2016년 4월, 싱가포르 보건부는 ‘당뇨병과의 전쟁(War on Diabetes)’을 선포하고 당뇨병 발병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2018년 기준으로 40만명 이상의 국민이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현 상황이 지속 될 경우 2050년까지 당뇨병 환자수가 10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보건부는 당뇨병 예방을 위해 포장음료(packaged drinks) 제품에 설탕세 부과 도입을 고려하고 있으며, 현재 공개 의견 수렴(public consultation) 단계에 있다.

 

싱가포르 전체 음료시장의 약 70%를 차지하는 Coca-Cola, F&N Foods, Malaysia Dairy Industries, Nestle, PepsiCo, Pokka, Yeo Hiap Seng 등 7개사는 2020년까지 싱가포르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설탕 함유량을 12% 이하로 낮추기로 약속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스테비아, 알룰로스, 이소말트 등 다양한 대체 감미료가 전시됐다. 동남아 시장에서는 아직 생소한 감미료로서 참관객의 호기심을 끌었다.

 

현장에서 전시 중인 대체 감미료 제조사 관계자에 따르면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 설탕을 완벽히 대체할만한 감미료가 없는 주된 이유를 설탕과의 가격경쟁, 미묘한 맛의 차이, 그리고 생소한 것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으로 꼽았으며, 꾸준한 개발과 검증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카페산업에도 거세게 부는 친환경 바람

친환경적 외식문화가 점점 정착되며 빨대, 컵, 컵뚜껑 등 재활용 가능한 비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늘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 차원에서도 에코시티(eco-city)를 조성하기 위해 요식업자의 친환경 제품 구매사용을 적극 장려 및 지원하고 있다.

 

아직까지 기존 값싼 플라스틱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친환경 제품의 원가가 몇 배 비싸 당장 도입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하지만 환경보호에 대한 대중의 경각심과 국가적 지원이 점차 커질수록 시장규모가 팽창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러한 친환경적인 제품도입에 대해 ASEAN 국가들이 싱가포르를 본으로 여기기에 국내 제조사들은 싱가포르를 테스트베드로 삼을 수 있다.

 

제품 주요 평가 항목인 설탕 함유량

싱가포르 정부의 설탕 줄이기 노력에 따라 바이어도 음료제품 소싱(sourcing) 시 설탕 함유량을 중요하게 평가한다. 저설탕 음료라면 이를 마케팅 포인트로 최대한 활용하여 어필할 것. 설탕 함유량이 높을 경우 싱가포르 시장 진출 자체가 앞으로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1년 싱가포르 건강진흥청(HPB, Health Promotion Board)은 소비자의 건강한 식품구매를 장려하기 위해 HCS(Healthier Choice Symbol)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기준치보다 당분 또는 염분이 낮은 제품은 건강진흥청의 평가 후 제품 패키지에 HCS를 부착할 수 있다.

 

 

이는 HCS 가이드라인을 준수한 음료 제품만 취급 가능한 모든 정부 관련 시설 내 자판기, 상점 등 더욱 다양한 유통망 확보가 가능하다.

 

따라서, 우리 기업들은 싱가포르 진출 고려 시, 제품의 HCS 기준 충족 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바이어와 거래 진행 시 이를 영양소 분석 보고서(nutrient analysis report)와 함께 어필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의 대표 카페산업 전시회로서 입지 다져

올해는 싱가포르, 대만, 그리고 베트남의 국가관이 전시됐으며, 싱가포르 대표 카페산업 전시회로서 현지 바이어뿐만 아니라 외국기업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해외시장 트렌드를 파악하기 적합한 기회였다.

 

 

우리나라 기업 참가율은 지난해와 비슷하나, 다양한 카페문화와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더욱 다양한 국내기업이 본 전시회를 동남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으로 삼을 기회였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화이트비, 도마여사 여부희 명장과 손잡고 ‘K-도마 세계화 프로젝트’ 시동
커뮤니케이션 아티스트 그룹 화이트비(WHITEB)가 대한민국 대표 엔드그레인 도마 장인 도마여사 여부희 명장과 함께 ‘도마여사 마스터피스 에디션’ 와디즈 앵콜 감사 펀딩을 11월 7일 오후 2시에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서는 ‘도마는 평생 단 하나면 된다’는 여부희 명장의 철학이 담긴 ‘100년 도마’를 선보이며, 펀딩금은 ‘K-도마 세계화 프로젝트’를 위한 신제품 개발 및 대한민국 본질 예술가 브랜딩 마케팅 지원에 투자할 예정이다. 3.2억 펀딩, 평점 5.0점 신화… ‘100년 도마’로 대한민국 주방의 품격을 바꾸다 도마여사 여부희 명장은 누적 펀딩액 3.2억, 평점 5.0을 달성하며 K-도마의 우수성을 증명한 바 있다. 여부희 명장은 기존 도마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칼집, 거스러미, 세균 번식 등으로 몇 개월에 한 번씩 도마를 교체해야 했던 요리인들의 평생 골칫거리를 해결하는 데 주력했다. 그 결과, 김칫국물이나 냄새 스밈, 칼자국, 뒤틀림, 손목 및 칼날 보호 등 도마의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 100년 이상 사용 가능하며 대대손손 물려줄 수 있는 도마 ‘마스터피스 에디션’을 완성했다. 19만6000시간 바쳐 이룬 ‘K-도마’ 독보적 기술력의 비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