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활짝 웃은 제과업계...세계 최고 제과전시회 ISM 2023 성료

-70개국 1,300개사 참가, 135개국 25,000명 방문
-국내 식품업계의 가장 큰 고민거리,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필수 관문
-코스트코, 알디, 에데카, 미그로 등 굵직한 글로벌 유통기업 이목 사로잡아
-국내에서도 농심,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코스트코 코리아 포함 약 100개사 방문
-내년 1월 말 개최 예정인 ISM 2024, 참가 문의 쇄도

지난 25일 국제 제과전시회 ISM 2023이 독일 쾰른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ISM은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필수 관문으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했다. 제과업계가 직면한 어려움을 고려해 일회적으로 개최 시기를 늦췄음에도 불구하고, 전시장의 열기는 상당했다. 

 

70개국 1,300개 사의 참가로 ISM의 높은 국제성이 돋보였다. 벨기에의 바로니(Baronie), 이탈리아의 로아커(Loacker), 스페인의 발로르(Valor), 오스트리아의 마너(Manner), 덴마크의 탐스(Toms) 등 세계 유수의 기업뿐만 아니라, 신생 업체와 스타트업까지 대거 참가해 업계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 수준에 가까운 참가 열기만큼, 방문객의 반응도 뜨거웠다. 무려 135개국 25,000명의 전문 무역 방문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지난해 대비 1.5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세계시장 진출의 핵심 코스트코(Costco)와 18개국 9,000여 개 점포를 보유하고 있는 알디(Aldi), 국내에서 해외시장 진출 판로로 알려진 에데카(Edeka)와 미그로(Migro), 이외에도 스페인의 메르까도나(Mercadona), 독일의 메트로(Metro), 네덜란드의 스파(Spar) 등 내로라하는 글로벌 유통기업은 빠짐없이 전부 방문했다. 


올해 국내 리딩 기업이 대거 방문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농심, 롯데마트, 이마트, 코스트코 코리아, 홈플러스, 효성 인터네셔널 등 국내 제과 시장을 이끄는 대표 기업은 전부 방문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새로움을 발견하는 “온고지신의 관점”

국내 제과시장의 트렌드 변화 속도는 단언 세계 1등이다. MZ 세대를 겨냥한 “혁신 제품 개발” 경쟁 각축전이 나날이 격화되고 있다. 전에 없던 ‘미각적 경험 발굴’이 무엇보다 중요해진 시대에,  ISM 2023은 “신선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한 최적의 기회였다. 

 

ISM New Product Showcase 

이번 ISM 혁신제품 포인트는 “알던 맛의 재탄생”이다. 독일 Sweet Stories사의 설탕 없는 솜사탕이 New Product Showcase 1위를 차지했다. 호주 CAL Marketing Pty사의 흑설탕 보바 밀크티 모찌와 스페인 Worlds COCONUT Trading SL사의 자색고구마칩 BBQ맛이 잇따라 수상했다. 어른아이 할 것 없이 익숙한 솜사탕, 이미 오래전부터 아시아 지역에서 사랑받은 타피오카 펄과 모찌, 중남미 지역의 대표 간식 자색 고구마 칩 등 ISM 2023은 “기존의 것”을 새롭게 해석하는 관점을 제시했다.

 

올해도 이어지는 트렌드, “건강·지속가능성·새로움”

ISM 2023은 ‘뻔한’ 지속 가능성에서 벗어난 신선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탄두리와 블러디 메리 칵테일 같은 이국적인 맛을 활용한 유기농 스낵이 두각을 드러냈다. 
식물성 제품 분야에서도 톡톡 튀는 이색적인 제품이 업계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장미꽃으로 만들어진 비건 초콜릿과 구운 사과 맛의 초콜릿 쿠키 등 한층 더 확장된 비건 제품 스펙트럼을 엿볼 수 있었다. 
 

130년 전통이 보여준 “혁신”

초 단위로 변화하는 시장에 오히려 소비자는 “역사와 전통”에 갈증을 느끼고 있다. 이번 ISM Awards는 1891년부터 4대째 이어오고 있는 핀란드 초콜릿 명가 “파제르”에게 돌아갔다. 


동네 제과점에서 초콜릿 제국이 되기까지, 파제르는 순환 경제와 밸류체인 강화를 위한 적재적소의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투명한 공급망과 우수한 원재료 생산 시설 구축을 위한 노력이야말로 소비자가 원하는 “혁신”임을 보여줬다.

 

 

제과업계의 위기, 벗어날 구멍은 해외에 있다

“안 오른 것이 없다”지만, 유독 폭등한 설탕·밀가루·식용유 가격에 그간 제과업계가 골머리를 앓았다. 고물가, 고환율에 더해, 최근 정부의 가격 인상 자제 압박까지 이어져, 국내 식품업계는 오도가도 못하는 상황이었다.
지난 3월 24일, “슈퍼 주총데이”에서 논의된 제과업계 당면 과제 해결안의 핵심 키워드는 “해외 사업 확대”와 “수입국 다변화”였다. K컬쳐에 관한 국제적 관심이 최고조임을 감안하면, 전세계 유통 채널이 주목하는 ISM은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황금 동아줄이다. 

 

매년 개최되는 ISM은 2024년 1월 28일부터 31일까지 독일 쾰른에서 개최 예정이다. 세계 최대 제과 전시회 ISM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쾰른메쎄 한국대표부 라인메쎄㈜ (02-798-4102, shyu@rmesse.co.kr)에 문의할 수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여권 없이 떠나는 세계 미식·여행, 20개국 컬쳐쇼 참가자 모집
전 세계를 여행하지 않아도, 충북 음성에서 20개국의 생생한 문화와 미식을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열린다. 잼토리가 운영하는 음성군 청년마을 ‘글로컬타운’(대표 이아리)은 오는 8월부터 10월까지 주말마다 펼쳐지는 글로벌 문화 축제 ‘글로컬63 컬쳐쇼’의 참가자를 공식 모집한다. ‘글로컬63 컬쳐쇼’는 전국 군 단위 중 외국인 주민 수 1위를 자랑하는 음성군의 다채로운 특색을 바탕으로 기획됐다. 63개국 외국인 주민이 살아가는 지역적 특수성을 살려, 세계 각국의 문화와 전통을 현지 감성 그대로 느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문화쇼는 기획자, 여행 작가, 주한 대사관, 외국인 셰프, 방송인 등 다양한 전문가들과 협업해 완성도를 높였다. 특히 여행, 미식, 문화 콘텐츠에 관심 있는 청년과 일반인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8월에는 태국, 베트남, 프랑스, 네팔, 터키 등 5개국의 이색적인 테마로 컬쳐쇼가 진행된다. 태국의 음식문화를 체험하는 ‘미식쇼’를 시작으로, 동남아 열대과일 마스터수업 베트남 열대과일 해체쇼, 프랑스 미술과 다이닝을 결합한 ‘아트미식쇼’, 네팔 작가와 떠나는 ‘네팔여행미식쇼’, 터키 케밥 미식회 등 눈과 입을 모두 만족시킬 콘텐츠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숨 막히는 공포 체험…한국민속촌 ‘심야공포촌’ 매일 밤 24시까지
한국민속촌이 국내 최대 규모의 공포축제 ‘심야공포촌’을 시작한다. 매일 밤 자정까지 운영되는 심야공포촌은 ‘끝나지 않을 여름 밤’을 콘셉트로 조선시대 마을 전체가 귀신으로 가득한 공포마을로 탈바꿈한다. 이번 2025 심야공포촌은 기존 인기 콘텐츠의 리뉴얼과 신규 공포 포인트 도입으로 한층 업그레이드됐다. 관람객은 민속촌 곳곳에 숨어 있는 공포 체험과 다양한 몰입형 이벤트를 통해 더 짜릿하고 강렬한 여름밤을 즐길 수 있다. 귀굴·옥사창궐 등 워크스루 콘텐츠 대폭 강화 대표 워크스루 콘텐츠 △귀굴: 혈안식귀 △살귀옥은 신규 구간 증설과 공포 포인트 보강으로 한층 업그레이드된 코스로 재탄생했다. △미명귀전과 △옥사창궐에는 신규 미션과 장치가 추가돼 관람객의 긴장감을 최고조로 끌어올린다. 체험형 콘텐츠와 공연도 업그레이드 체험형 콘텐츠 △조선살인수사는 신규 미스터리 4종과 실제 도구 소품으로 리얼리티를 높였으며, △흉가체험: 내다리찾아줘는 청각·촉각 자극 요소를 추가하고 통로 난이도를 높여 한층 스릴 넘치는 코스로 변신했다. 인기 공연 △저세상콘테스트와 △극락파티도 업그레이드됐다. 관람객은 귀신 분장을 한 채 콘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으며, 우승자에게는 특별한 상품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식당창업] 한식대가 오는 31일 '한방삼계탕&닭곰탕' 비법전수 한다
'한방삼계탕'과 ‘닭곰탕’으로 서민갑부 반열에 오른 식당의 비결을 전수한다. 왠만큼 이름이 알려졌거나 인지도가 있는 삼계탕 전문점의 기술을 전수를 받으려면, 수백만원의 전수비나 체인 가맹비를 내야한다. 30년 외식 컨설팅 알지엠컨설팅은 예비창업자와 업종변경을 고려중인 사업주들을 위해 비용적인 부담을 대폭 줄인 전문 업소용 레시피 전수과정을 진행,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외식 전수창업 전문가단이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 삼계탕 전문점을 비교·분석해 현장에서 직접 시연·시식하고 교육생들에게 검증된 레시피를 제공한다. 이번 삼계탕&닭곰탕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한식대가 ‘박종록 셰프’는 90년대초부터 30년간 국내 대형호텔의 한식셰프로 근무했으며, 2011년 북경교육문화회관이 오픈할 당시 총책임자로 중국에 건너가 현지 조리사들에게 한식 기술을 전수하기도 했다. 특히 국가에서 최상급 숙련 기능을 인정받은 셰프에게 주는 조리기능장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줄서 먹는 ‘명품삼계탕’부터 ‘닭곰탕’, 초계 샐러드까지 비법전수 1+2 혜택 ‘삼계탕’과 ‘닭곰탕’ 모두 닭을 재료로 하여 '탕'으로 만든다는 점에서는 그다지 큰 차이가 없다. 삼계탕과 닭곰탕에 들어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