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트렌드]헝가리에 불고 있는 비건 열풍

미래 식품업계를 이끌 비건(vegan) 열풍이 헝가리에서도 불고 있다.

완전한 채식주의자인 비건은 육류와 생선은 물론 우유와 동물의 알, 꿀 등 동물에게서 얻은 식품을 일절 거부하고 식물성 식품만 섭취한다. 나아가 실크나 가죽 같이 동물에게서 원료를 얻는 제품을 사용하지 않기도 한다.

 

 

헝가리 소비자들 사이에서 비건 식문화에 대한 관심의 증가하며 전문 음식점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글로벌 패스트푸드점, 마트, 드럭스토어들도 비건 제품을 선보인다.

 

비건 수요 증가하며 채식 정원까지 등장

헝가리 구글에서 ‘비건(vegán)’의 검색빈도가 지난 5년 간 5배 가까이 증가했다.

 

 

전 세계 비건들을 위한 채식과 비거니즘에 관련된 식당 및 업체의 목록을 제공하는 웹 기반 서비스인 해피카우(HappyCow)에 등록된 헝가리 부다페스트 내 비건 전문 음식점은 31곳이 있다. 비건 메뉴를 제공하는 일반 음식점은 60곳으로, 부다페스트는 유럽의 비건 친화적(Vegan-friendly) 도시로 꼽힌다.

 

그 중 부다페스트의 비건 음식점 비건 가든(Vegan Garden)은 채식과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둔 세계 최초의 ‘채식 정원’ 공간이다. 푸드트럭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비건 음식들을 맛볼 수 있다.

 

 

방부제와 인공 착색료는 물론 설탕, 유제품, 글루텐, 콩, 달걀을 넣지 않은 아이스크림를 판매한다. 또한, 식물성 성분만을 함유하는 제과류는 건강을 중시하는 사람, 음식 과민증이 있는 이들에게 반응이 좋다.

 

Las Vegan’s라는 푸드트럭은 햄버거를 곁들인 채식주의 길거리 음식점으로, 햄버거뿐만 아니라 스무디, 감자튀김을 비롯해 함께 곁들일 수 있는 다양한 비건 소스들을 판매하고 있다. 버섯 패티, 당근 베이컨과 같은 특색 있는 메뉴들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패스트푸드·마트도 점령한 비건 푸드

글로벌 패스트푸드점도 비건 제품을 개발해 선보여 대표 메뉴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소비자들은 환경적이고 윤리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진 대체고기로 고기의 맛을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감을 나타낸다.

 

 

버거킹(Burger King)에서는 ‘100% 비건 0% 고기’를 타이틀로 내세워 콩으로 만든 식물성 패티와 신선한 야채 등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생산한 재료들로 만든 비건 버거를 출시했다. 이외에도 감자, 콩, 옥수수로 만들어 튀긴 패티가 들어간 비건 와퍼를 함께 판매한다. KFC에도 이와 유사하게 염소 치즈와 송로버섯을 주재료로 한 비건 버거 메뉴도 있다.

 

드럭스토어와 슈퍼마켓에서도 다양한 비건 식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디엠(dm)은 현재 헝가리에 260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 독일계 대형 드럭스토어다. 자체 브랜드인 바이오(bio)를 이용해 ‘비건’과 ‘유기농’을 마케팅 전략으로 내세워 콩으로 생산한 비건 파스타 소스나 동물성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요거트 제품들을 판매하고 있다.

 

 

독일계 슈퍼마켓 체인점 리들(Lidl)은 넥스트 레벨 미트(Next Level Meat)라는 브랜드의 콩 단백질을 바탕으로 만든 식물성 대체고기 제품을 판매한다. 버거 패티나 다진 고기 등의 형태로 판매해 소비자의 선택 폭을 넓혔다.

 

이외에도 헝가리의 대중적인 슈퍼마켓 체인 스파(Spar)는 전국 약 123개의 지점에 최근 비건즈(Veganz)라는 브랜드의 비건 식품을 공급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단백질이 풍부한 과자류, 유기농 초콜릿, 시리얼, 야채 칩 등이 있다. 유기농 생산을 중요시 여겨 생산 과정에서도 천연 자원을 고집한다. 현재 헝가리 전역에서 해당 브랜드의 디저트를 찾아볼 수 있다.

 

 

최근 1인당 육류 소비량이 감소하며 비건을 위한 대체육류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의 시장조사 컨설팅 기관인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Allied Market Research)는 글로벌 비건 식품 시장이 2019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10.5%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이라 전망했다.

 

 

리들의 비건 분쇄육은 일반 분쇄육에 비해 75% 정도 가격이 비싸며, 현재 비건 제품은 일반 제품에 비해 전반적으로 가격이 더 높다. 소비자 수요에 맞춰 일반 제품과 유사하게 맛, 품질을 보장하는 동시에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한다면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올해 마지막 ‘GO! 군산 섬해진미’ 가 온다!, 11월 말 열리는 미식관광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군산시가 정통 섬 미식관광 프로그램 ‘GO! 군산 섬해진미’ 프로그램을 올해 마지막으로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아름다운 해안경관과 쥐똥섬 풍경으로 유명한 무녀도에서 28일~29일, 29일~30일 총 2회차로 진행된다. 이번 투어는 선착순 사전 모집으로 진행되며 참가 신청은 군산시 공식 사회관계망 계정(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에 있는 ‘GO! 군산 섬해진미’ 안내 게시글의 정보인식부호 (QR코드)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GO! 군산 섬해진미’는 군산에서 처음으로 선보였으며, 고군산군도의 바다·식재료·어촌문화를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된 1박 2일 체류형 미식관광 체험 프로그램이다. 올해 초에는 전북 미식관광활성화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사업의 방향성과 가능성도 인정받았다. 지난 7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 프로그램은 모집 때마다 정원이 넘는 신청자가 전국 각지에서 몰리며 조기 마감됐고, 마감 이후에도 참여 문의가 이어지는 등 뜨거운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섬해진미 프로그램의 가장 큰 특징은 각 회차마다 섬의 자연환경과 문화, 생활양식, 계절에 맞춰 다양하고 독창적인 체험으로 구성되어, 매 회차가 새로운 경험으로 찾을 때마다 다른 미식여정을 즐길 수 있다는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한식창업 선호도 1위 ‘국밥’의 모든 것, '한우국밥&미나리곰탕' 비법전수
잘 팔리는 강력한 상품으로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외식사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이번 메뉴개발 아이템은 점심 한 끼 식사로도 저녁 장사로도 접근성이 좋은 ‘국밥’이다. 한식 창업 선호도 1위인 ‘국밥’은 계절을 타지 않는 꾸준한 수요와 최근엔 배달 창업 아이템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오는 11월 27일(목) ‘한우국밥’, ‘미나리곰탕’ 비법 레시피 전수 ‘국밥’은 다양한 종류만큼 특색 있는 맛과 각기 다른 매력으로 매일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음식으로 꼽힌다. 그중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들과 유명 국밥맛집을 비교·분석, 국밥계의 베스트셀러인 명품 ‘한우국밥’과 떠오르는 신예 ‘미나리곰탕’ 비법을 전수하는 교육과정이 오는 11월 27일(목) 진행된다. 먼저 대파와 무. 그리고 양지, 사태 등 소고기가 한 솥에 어우러져 시원하고 깊은 맛을 자랑하는 원조 한우국밥 비법을 전수한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칼칼하고 매운 국물을 위해 소기름과 고춧가루로 만든 고추기름을 넣어 텁텁하지 않고 깔끔하게 매운맛을 가미했다. 또한 최근 국밥전문점에서 매출 견인의 효자메뉴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미나리곰탕’ 레시피도 함께 전수한다.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