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이슈]베트남, 코로나로 때아닌 '제비집'이 인기!?

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면역력 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베트남에서 뜻밖에 제비집이 인기를 끌고 있다. 금빛제비둥지(일명 제비집)는 금빛제비가 침샘으로 만든 둥지를 말린 조각을 말한다.

 

 

면역력 증진 도움주는 ‘제비집’ 판매 증가

제비집은 단맛이 나며 폐를 정화해주고 바이러스 및 독감 등에 대응해 면역력을 높여주는 음식으로 베트남에서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베트남에서 열린 제비집 학술 세미나에서 제비집에는 아스파르트산, 세린 등 총 18가지 아미노산이 함유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포함된 성분들 모두 신체 필수 아미노산으로 밝혀졌다. 면역력 증진 효과 외에도 콜라겐과 미네랄도 많아 피부미백에 도움이 된다.

 

 

과거부터 베트남, 중국 등 다수의 국가에서 제비집은 영양식품 및 치료제로 사용됐으나 영양 식품으로 대중적으로 소비되지는 않았다.

 

제비집 판매업체인 카잉화 금빛제비둥지 기업(Khanh Hoa Salanganes Nest Company)의 응웬아잉흥(Nguyen Anh Hung) 상무는 “최근 코로나19가 발병하며 제비집이 베트남 카잉화 청정섬에서 생산되고 있다. 풍부한 미네랄 함유량을 보유하여 면역력을 길러주고 폐를 보호해주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베트남 현지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져 판매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전했다.

 

베트남 제비집 수출 및 내수시장 판매 현황

베트남 제비집은 ’18년 기준 홍콩(42.9%), 독일(38.4%), 한국(0.7%) 등으로 수출되었으며 총 수출액은 약 9백만불이었다.

 

 

베트남에서 제비집은 ‘또옌(To yen)’으로 알려져 있으며 카잉화 (Khanh Hoa)시에서 대부분 생산된다. 오프라인 매장보다는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주로 판매가 이뤄진다. 현지 가격대는 종류 및 포장에 따라 천차만별이나 2,000,000동/100g(한화 약 10만 원)~ 5,000,000동/100g(한화 약 25만원)등 고가에 팔린다.

 

면역력 증강 관련 건강기능식품 수요 상승

베트남은 현지 소비자들의 가계소득 증가와 베트남 정부 주도 베트남 국민들의 건강증진 계획으로 2019년 베트남 식품안전법 공표를 통해 일반식품과 건강 기능식품을 명확히 분류했다.

 

베트남 식품안전법 시행령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증진 및 면역력 증진을 위한 식품’과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지방산, 효소 등의 생물활성화물질 및 동식물 또는 미네랄의 추출, 정제, 분리 물질 식품’으로 규정한다.

 

 

과거 베트남인들이 즐겨 먹는 건강기능식품으로는 말린 영지버섯, 동충하초 등이 있었으나 평균 판매가가 1백만 동/kg(한화 약 5만 원)로 높은 편이며 생산량(연간 5~10톤)도 많지 않았다.

 

한편 한국산 인삼, 홍상 조제품도 베트남 현지에서 인지도가 높아 온라인몰을 통해 판매가 증가하는 추세다.

 

자료 : kati 지구촌리포트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전국 최대의 로컬브랜드 글로벌 비즈니스 플랫폼, ‘로컬브랜드페어 2025’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 최종 선정!
경주화백컨벤션센터가 주최하는 ‘로컬브랜드페어 2025’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5년 국내전시회 개최지원사업의 지역신규무역전시회 부문에 최종 선정됐다. 이번 선정은 국내 로컬 분야 최초로 해외 바이어를 초청해 수출상담회를 운영하고, 로컬브랜드의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실증하는 기획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결과다. 특히 3개국 이상에서 10명 이상의 해외 바이어를 직접 초청해 국내 로컬브랜드와의 1:1 비즈니스 매칭 상담회를 추진하는 차별화된 전략은 ‘글로컬(Glocal)’이라는 새로운 시장 접근방식을 실현하는 핵심 사업으로 주목받았다. 올해로 4회째를 맞는 로컬브랜드페어는 11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간 HICO와 경주시 일원에서 열리며, “로컬 × AI”를 주제로 주요 APEC 회원국 바이어를 초청해 2025 APEC 정상회의의 레거시를 계승하는 Post-APEC 행사로 치러진다. 총 80개 브랜드, 180개 부스 규모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해외 바이어 수출상담회(글로컬 바이어 상담회) △글로컬 국가관 △글로컬 브랜드 컨퍼런스 △글로컬 브랜드 나이트 등 국내 로컬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B2B 중심 프로그램을 대폭 강화할 계획이다. 해외 바이어들은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한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셰프가 맡아 현장 중심 교육으로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 낸다. 미토요 대표메뉴 수타 ‘사누키우동’ 기술전수 레시피 개발과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한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셰프가 맡아 현장 중심 교육으로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 낸다. 미토요 대표메뉴 수타 ‘사누키우동’ 기술전수 레시피 개발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