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트렌드]2020 중국 영유아식품 시장 동향

중국의 출생율은 지난 몇 년간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0~6세 영유아 수는 9839만 명에 달하며, 소비자의 생활수준 향상 등의 영향으로 2020년 중국의 영유아시장규모는 400억 위안(약 6조 8400억 원)을 넘어섰다.

 

 

중국의 영유아 식품은 주로 곡물, 영양보충상품, 보조 반찬, 보조 간식으로 나뉜다. 중국 식품 공업협회 전망산업연구원의 데이터에 따르면 곡물 보조식품의 시장 점유율은 55%이며, 영양보충상품, 보조 반찬, 보조 간식은 각 25%, 10%, 10%로 나타났다.

 

온라인·오프라인 구매채널 동반 성장

 

 

시장조사기관 iResearch 전망산업연구원에 의하면 올해 영유아 상품 구매 중 온라인을 통한 구매 비율 중 영아식품은 66%를 차지했다. 또한, 2020년 중국인터넷 영유아 신세대 연구보고 자료를 보면 코로나19 전후 영아식품의 구매 수요는 3위에서 2위로 한 단계 올라갔다.

 

 

전문매장, 백화점 및 슈퍼 등 오프라인 채널을 통한 소비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어린 자녀가 먹는 음식인 만큼 전문 판매원의 상담을 받고 직접 보고 구매하길 원한다. iResearch 설문조사에 따르면 44.4%의 소비자가 영유아 전문매장에서 영유아 간식을 구매, 42.4%는 백화점, 슈퍼에서 곡물류 영유아 식품을 구매한다고 답했다.

 

코로나로 무역길 막히며 기회 생긴 중국 브랜드

중국 부모 소비자 사이에서는 하인즈(HEINZ), 네슬레(Nestlé), 카리케어(Karicare) 등 해외 브랜드의 인기가 가장 높았다. 2019 중국 영유아식품 브랜드 영향력 탑10 중 7개가 해외브랜드였으며, 가장 영향력이 있는 브랜드는 하인즈, 네슬레, 카리케어였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수출입무역이 제한되며 해외 영유아식품 브랜드 생산 및 수출에 차질을 빚으며, 중국 브랜드에게 기회가 찾아왔다. 1분기 중국산 영유아식품의 판매량이 전년대비 상승했다. 세분화 시장에서도 50% 이상의 네티즌이 중국산 영유아 식품을 구매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66%의 네티즌은 중국산 곡물류 영유아 식품을 구매했다.

 

 

중국 영유아 식품 업계에서 상품 품질 불합격 문제가 자주 발생하면서 소비자들은 영유아식품을 구매 시 상품 안전문제를 가능 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 iResearch 전망산업연구원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61.3%의 중국 네티즌은 영유아 식품을 구매 시 상품 안전 문제를 가장 우선으로 고려한다고 밝혔다.

 

프리미엄 제품 선호하는 바링·지우링허우 부모

바링허우(80년대생), 지우링허우(90년대생) 등 젊은 연령대의 부모들은 식품 안전, 영양 성분을 더 꼼꼼히 따지는 경향을 보였다. 상품도 고품질, 유기농 재료를 사용한 프리미엄급 제품을 선호했다. 특히 네슬레와 리틀 프레디(Little Freddie)가 중국 프리미엄 영유아 시장을 선도하는 중으로, 2019년 두 기업은 동년대비 각각 28%, 50% 판매증가율을 보였다.

 

 

중국 정부의 영유아식품에 대한 감독 및 관리가 엄격해지고 젊은 부모들이 영유아의 영양건강을 더욱 중요시하게 되면서 미래 중국 영유아식품 시장은 프리미엄 및 유기농 상품군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자료참조 : kati 농식품수출정보


푸드&라이프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광양시 ‘K-푸드’ 김의 뿌리, 인류 최초 김 양식지 ‘광양김시식지’로 초대합니다
광양시가 인류 최초 김 양식의 현장이자 김 수출 10억 달러 시대를 연 주역인 세계 유일의 ‘광양김시식지’를 꼭 방문해 봐야 할 광양의 역사·문화 명소로 소개했다. 최근 K-콘텐츠와 K-푸드 등 한국 문화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광양김시식지’는 K-푸드 김의 뿌리를 간직한 역사적 현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곳은 400년 김 산업의 역사가 시작된 상징적 공간으로, 인류 최초로 김 양식법을 고안해 바다를 경작의 영역으로 확장한 김여익 공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조성됐다. 김여익은 병자호란 당시 의병으로 활약했으나, 조정이 청과 굴욕적인 화의를 맺자 통탄하며 광양 태인도에 은둔했다. 그는 바다 위를 떠다니는 나무에 해초가 걸리는 모습에서 착안해, 1643년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역의 특징을 활용한 ‘섶꽂이 양식법’을 인류 최초로 창안·보급했다. 수라상에 오른 김의 맛에 감탄한 인조 임금이 “광양의 김여익이 진상했다”는 말을 듣고, 그의 성을 따서 ‘김’이라 부르게 됐다는 흥미로운 유래도 전해진다. 후손들은 매년 음력 10월이면 김시식지 내 인호사에서 제향을 올리며 김여익의 업적을 기리고,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는 ‘용지큰줄다리기’ 전통도 300여 년째 이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