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NEW 식품원료 ‘히알루론산나트륨’ 식품 시장

민텔(Mintel)의 통계에 따르면, 2020년 5월 기준, 전 세계 히알루론산나트륨 함유 식품은 총 2,000개 이상의 품목이 있고 이중 일반식품은 554개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히알루론산나트륨 원료 제조·판매국이다.

 

글로벌시장 조사기관 프로스트앤설리번은 2024년이면 전 세계 히알루론산나트륨 식품 시장규모는 약 31억달러(약 3.51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 안신연구원(安信研究院)은 향후 중국 히알루론산나트륨 함유 식품 시장규모는 154억위안(약 2.68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중국에서는 해당 법규에 따라 보건식품에만 제한적으로 히알루론산나트륨이 사용돼 일반소비자가 접하기는 쉽지 않았다. 하지만 올해 1월 7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음료, 주류를 포함한 5가지 유형의 일반식품에 히알루론산나트륨 사용을 허가하며 빠르게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위 내용을 담은 신식품원료 공고 발표가 있은지 몇 개월이 채 지나지 않아 히알루론산나트륨을 셀링포인트로 삼은 식품들이 시중에 등장했다.

 

유명 히알루론산나트륨 원료 제조기업 화시생물은 히알루론산 식품브랜드 헤이링을 론칭했다. 히알루론산&흰강낭콩 츄잉 태블릿, 히알루론산&GABA 수면캔디, 히알루론산&서양삼 음료, 히알루론산&콜라겐 물광 음료 등이 있다.

 

히알루론산과 건강에 이로운 기타 원료와 결합해 건강·다이어트, 수면 개선, 스트레스 해소, 미백 등 다양한 기능을 내세운다. 중국의 미용식품 시장은 2022년까지 239억위안(약 4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돼 히알루론산과 미용 기능 성분을 결합한 식품이 인기를 끌 전망이다.

 

 

식사대용 식품 브랜드 원더랩은 올해 2월, 중국 최대 온라인 몰인 티몰의 자사 플래그샵에 히알루론산나트륨 젤리 제품을 출시했다. 젤리 한 알에 12mg의 히알루론산나트륨을 첨가한 과일맛 젤리로 손 쉽게 피부 수분을 보충할 수 있다. 패키지는 젊은 층이 선호하는 클랭블루 색상을 적용했다.

 

 

텐즈워줘는 자체 연구·개발한 첫 히알루론산나트륨음료제품을 출시하며 미용식품시장에 진입했다. 다중분자량과 고농도 히알루론산나트륨을 함유하고 있어 이너뷰티를 추구하는 소비자 수요에 부합한다. 이외에도 요거트나 초콜릿에 히알루론산나트륨 등 성분을 첨가한 상품들도 등장하고 있다.

 

히알루론산나트륨이란

보습, 조직적합성 등 특징을 가진 물질로 일상생활과 임상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섭취를 통한 히알루론산나트륨 보충은 피부 보습과 탄력 유지에 도움이 되는 미용효과 외에 관절액 증가, 연골 회복에 도움이 되고 위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알코올 또는 매운 음식으로 인한 자극을 완화해주는 등 기능으로 영양보충제나 일반식품에 사용된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 연수특집] 2025년 '사누키우동' 순례길 최신판
먹방투어와 미식기행의 인증샷이 인스타그램, 유튜브의 단골아이템이 되면서 여행에서도 식도락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해외여행에서도 관광명소 탐방이 아닌, 맛집순례가 목적인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가가와현의 사누키우동 투어는 이런 글로벌 식도락 투어 붐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 네 개의 섬 중 가장 작은 섬인 시코쿠에는 우동왕국 ‘가가와현’이 있다. 우동에 미처 사는 사람들이 의리를 지키는 고장, 그래서 붙여진 별명이 ‘우동 현’이다. 이 시골마을에서 사누키우동이 발전한 것은 우동을 만드는데 최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양질의 밀, 세토우치해에서 잡히는 잔멸치, 그리고 쇼도시마에서 만들어지는 간장 등 우동의 주재료들을 쉽게 구할수 있었기에 우동은 그들 삶에 자연스레 스며들었다. '사누키우동 순례'는 하루 두끼 이상 사누키우동을 즐기며 유명 우동집을 2~3일에 걸쳐 맛보고 다니는 여행을 말한다. 여행 상품을 보면 우동버스 투어, 우동학교 체험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동은 가게마다 그 맛이나 특징이 제각각이다. 착한 가격의 우동집들이 즐비해 있어, 하루 종일 우동을 먹고 돌아다녀도 우동값으로 1000~2000엔 정도가 든다고. 우동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부터 내 식당 창업 위한 맞춤컨설팅까지! 외식창업 전문 교육 주목
맛집 창업의 꿈을 꾸는 예비창업자, 업종변경과 메뉴, 기술 등의 보완을 고민 중인 자영업자를 위한 솔루션 과정이 주목받고 있다. 30년 경력의 외식전문컨설팅기업 ㈜알지엠컨설팅 산하 교육기관인 <알지엠푸드아카데미>의 ‘외식창업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맛집 브랜딩 전략부터 메뉴개발, 비법전수 등 외식업 경영의 핵심 노하우를 전한다. 시장성과 사업성이 뛰어난 외식 아이템만을 엄선, 지역 맛집으로 자리 잡은 오너셰프들과 최소 10년에서 30년에 이르는 경력을 갖춘 조리명장이 교육을 진행, 메인 상품부터 각종 찬류 등 한상차림까지 사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가능토록 몸에 익을 때까지 충분한 반복 연습을 지원한다.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의 경우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와 장사비법을 전수했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내 가게 홍보전략 등의 실무 중심의 기술도 함께 교육, 진행했다. 2025년 10월 진행되는 외식창업 과정 교육은 다음과 같다. ▲ 사누키우동 연수 ▲ 개성손만두 요리전문점 ▲ 안동국시 전문점 창업과정 ▲ 이자카야 메뉴개발 ▲국밥 전문점 창업과정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 연수특집] 2025년 '사누키우동' 순례길 최신판
먹방투어와 미식기행의 인증샷이 인스타그램, 유튜브의 단골아이템이 되면서 여행에서도 식도락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해외여행에서도 관광명소 탐방이 아닌, 맛집순례가 목적인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가가와현의 사누키우동 투어는 이런 글로벌 식도락 투어 붐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 네 개의 섬 중 가장 작은 섬인 시코쿠에는 우동왕국 ‘가가와현’이 있다. 우동에 미처 사는 사람들이 의리를 지키는 고장, 그래서 붙여진 별명이 ‘우동 현’이다. 이 시골마을에서 사누키우동이 발전한 것은 우동을 만드는데 최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양질의 밀, 세토우치해에서 잡히는 잔멸치, 그리고 쇼도시마에서 만들어지는 간장 등 우동의 주재료들을 쉽게 구할수 있었기에 우동은 그들 삶에 자연스레 스며들었다. '사누키우동 순례'는 하루 두끼 이상 사누키우동을 즐기며 유명 우동집을 2~3일에 걸쳐 맛보고 다니는 여행을 말한다. 여행 상품을 보면 우동버스 투어, 우동학교 체험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동은 가게마다 그 맛이나 특징이 제각각이다. 착한 가격의 우동집들이 즐비해 있어, 하루 종일 우동을 먹고 돌아다녀도 우동값으로 1000~2000엔 정도가 든다고. 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