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산리포트]일본 식문화를 이끈 시부야 거리 30년 변천사

'시부야'는 일본 도쿄로 여행을 떠나는 관광객의 필수 방문지로 꼽힌다.

일본의 근대화 정책이 시작된 메이지시대(1868~1912년)부터 철도가 들어서기 시작했으며, 현재 시부야를 통과하는 철도 노선만 9개가 넘는다.

일찌감치 도쿄 교통의 중심지로 자리 잡으며 상업지구를 형성해 왔다.

 

 

시부야 상권이 지금과 같이 커지기 시작한 것은 80년대 후반부터 거품경제 시기를 거치면서다.

경제 호황과 맞물려 도큐백화점, 세이부, 파르코 등 대형 쇼핑 건물이 들어서며 다양한 음식점이 함께 생겨났다.

 

거품경제 이후 대규모 건설 사업은 멈췄으나 클럽, DJ 문화를 동경하는 10~20대 중심으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갔다. 음식점은 저렴한 임대료를 찾아 골목 안쪽으로 들어가 독특한 분위기로 승부를 보는 카페와 레스토랑이 주를 이뤘다.

 

지난 30년간 시부야 거리를 통해 일본 식문화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짚어본다.

 

글로벌 음식과 디저트가 주를 이루던 90년대

거품 경제가 정점을 향하던 80년대 후반 문화산업이 활성화되며 시부야에는 극장과 콘서트 홀이 등장했다. 대표적으로 분카무라(Bunkamura, 文化村 )가 있다. 분카무라는 복합 문화시설로 지하 1층에는 베이커리와 카페가 있고 그 위로 예술 영화를 상영하는 극장과 미술관 등이 있다.

 

이 시기에는 무엇보다 글로벌 음식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이타메시’라는 이탈리안 레스토랑, 캐주얼한 ‘바스타 파스타’(하라주쿠), 정통 ‘이루, 봇카로네’(에비스)를 필두로 이탈리아 요리점이 연이어 출점했다.

 

 

91년 시부야에 오픈 한 브라질 요리점 ‘밧카나’는 '슈하 스코'를 일본에 알렸다. 슈하 스코는 고기를 큰 덩어리째 꼬치에 꽂아 숯불에 굽는 남미 요리이다. 또한, 태국, 한국 요리 등 아시아 요리를 찾는 이들도 많았다.

 

 

90년대는 일본 디저트 문화가 꽃피운 시기이기도 하다. 큰 유행 한 티라미수(90년)를 필두로, 크림 브륄레 (91년), 타피오카 (92년), 나타데코코(93년, 코코넛즙을 발표시켜 만든 젤리), 판나코타(94년, 생크림에 우유, 설탕 등을 넣어 제라틴으로 굳힌 과자)가 차례로 인기를 끌었다.

 

뒷골목에서 시작된 2000년대 카페 붐

거품 경제가 몰락하며 시부야 거리에선 대규모 개발이 멈췄다. 대신 작지만 감각있는 패션점, 음식점이 시부야 뒷골목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때 시부야 문화를 이끈 건 DJ를 동경하는 10~20대 젊은 층이었다. 당시 우다가와 쵸 지역으로 다수의 레코드 가게와 클럽이 생겨났다. 이때부터 시부야는 롯폰기와 함께 도쿄 밤문화를 이끌었다.

 

이런 DJ 문화와 어울리며 2000년대 시부야는 카페 붐이 일었다. 시작은 99년 공원 길에 오픈한 ‘카페 아프레미디’다. 음악 업계 종사하던 사장이 친구와 커피를 즐기는 아늑한 공간을 만들고자 개업했다.

 

 

뒷골목에 조용한 분위기를 가진 ‘ANTENNA’, 동서고금 명작 의자를 모은 'Seat Mania'등 강한 개성을 가진 카페들이 속속 오픈했다. 시부야의 랜드마크인 스크램블 교차로 앞 큐 프런트에 출점한 ‘WIRED CAFE’는 카페와 식당을 결합하며 ‘밥 카페’라는 개념을 만들어냈다.

 

 

오피스 상권으로 변화한 시부야의 2010년대

2020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시부야 캐스트, 시부야 스트림 등 복합상업시설이 차례로 들어서며 오피스 상권으로 변화하고 있다.

 

처음으로 2012년 시부야역 동쪽 출구에 ‘시부야 히카리에’가 문을 열었다. 지상 34층, 지하 4 층의 고층 빌딩으로 음식점, 옷가게, 사무실을 비롯해 뮤지컬 극장과 이벤트 홀이 있다.

 

 

음식점은 전망이 좋은 6~8층, 11층에 총 28개 점포가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유명한 ‘덤플링 타임 교자시간’, 라자냐를 메인으로 한 이탈리안 레스토랑 ‘Vomero’, 캐주얼 소고기 식당 ‘THE MEAT & LABORATORY’, 일본 전국 47개의 도도부현의 음식을 테마로 매달 메뉴가 바뀌는 ‘D47 식당’ 등이 있다.

 

2017년에는 크리에이터를 위한 주상복합시설 ‘시부야 캐스트 (SHIBUYA CAST)’가 오픈했다. 작품이 전시된 카페 ‘Are’, 와인과 고기 요리를 즐길 수 있는 ‘THE RIGOLETTO’ 등 음식점이 입점해 있다.

 

시부야 역 남쪽에 위치한 ‘시부야 스트림’은 작년 9월부터 영업에 들어갔다. 복합 시설로 콘서트홀, 도큐 호텔, 사무실이 식당가와 함께 들어가 있다. 올해 구글 일본 법인이 옮겨 올 예정이며 지상 35층, 지하 4층 규모를 자랑한다.

 

 

음식점은 1~4층에 모여있다. ‘빠에야’를 메인으로 한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해산물 레스토랑 ‘찌린기토 · 에스쿠리바’, 멕시칸 푸드 ‘스미코쿠 회전 닭요리’, 캘리포니아풍 에스닉푸드전무점 ‘GH 에스니카’,  나고야 프랑스 음식 명장이 만드는 꼬치 커틀릿, 오뎅 카레, 카레빵이 있는 'SAKABA & CAFE' 등이 있다.

 

내년 도쿄올림픽이라는 대형 국제행사를 앞두고 집객력 높은 대형 상업 시설이 생기며 시부야 거리는 다시 한번 활기를 띠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흑염소 보양탕· 전골· 흑염소불고기' 흑염소 요리의 모든것 전수한다
이제 개고기 대신 '흑염소'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후 바로 외식현장에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순창, 제20회 장류축제 향토음식 부스 운영자 모집
순창군이‘제20회 순창장류축제’향토음식 부스 운영자를 오는 8월 4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부스 운영 신청 자격은 순창군 내 단체(법인) 또는 사업자등록이 된 개인 식당에 한하며, 참여를 희망하는 사업자나 단체는 순창군청 홈페이지 고시·공고란 또는 장류축제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고해 8월 4일까지 이메일 또는 환경위생과로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군은 바가지요금 방지를 위해 판매 가격을 1만 원 이하로 제한할 예정이며, 장류를 활용한 메뉴를 중심으로 부스 참가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올해 장류축제는 오는 10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순창전통고추장민속마을 일원에서 개최된다. 수백 년간 이어온 장맛의 고장에서 전통과 혁신이 어우러지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축제는 20주년을 맞아 다양한 신규 프로그램이 추가되며, 장류를 활용한 다양한 먹거리와 볼거리, 즐길 거리가 마련돼 남녀노소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는 풍성한 행사로 준비되고 있다. 최영일 순창군수는“우리 지역의 숨은 보석 같은 음식점과 업체들이 적극 참여해 순창의 맛과 멋을 전국에 알리고, 지역경제에도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면서“남은기간 축제가 안전하고 내실 있게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흑염소 보양탕· 전골· 흑염소불고기' 흑염소 요리의 모든것 전수한다
이제 개고기 대신 '흑염소'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후 바로 외식현장에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