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 천연상품박람회, Natural Products Expo West 2019 참관기

- 최대 규모 천연·유기농·건강 관련 상품 교류의 장
- 핵심 트렌드는 ‘Plant-based’와 ‘CBD’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규모의 천연(Natural), 유기농(Organic), 건강(Healthy) 관련 상품 박람회인 ‘Natural Products Expo’가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서 지난달 5~9일, 5일간 개최됐다. 행사의 핵심인 박람회는 6~9일간 애너하임 컨벤션 센터 North Hall 및 인접한 Hilton 호텔, 애너하임 컨벤션 센터의 Main Halls(Hall A~E)에서 열렸다.

 

 

이번 박람회는 천연 상품 업계의 종합 미디어 기업인 New Hope Network의 주최로 올해 39회째를 맞았으며 컨벤션 및 각종 교육 프로그램과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는 최대 행사로 자리 잡았다. 미국 서부뿐 아니라 동부에서도 매년 진행된다.

 

 

전 세계 3천 4백 개 이상 기업이 참가

올해 Natural Products Expo West에는 총 112개국, 약 3천4백여 개 기업이 전시에 참가했다. 이 중에서 미국 기업 2천8백여 개 외에도 캐나다, 중국, 유럽계 기업이 다수 참가했다. 전년 행사에서는 총 8만5천여 참관객을 유치했으며 올해 참관객은 8만6천 명 이상일 것으로 보인다.

 

올해는 각 나라의 특색 있는 분위기로 꾸며진 브라질, 멕시코, 스페인, 프랑스, 아르헨티나, 스웨덴, 태국, 중국 등과 같은 다수의 국가관(Country Pavilion)이 눈길을 끌었다, 한국 또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서 주관하여 24개의 한국 기업이 참가한 한국관을 마련했다.

 

 

이밖에도 개별적으로 참가한 각 나라 다수의 기업이 다채로운 상품으로 참관객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풀무원, 연두(샘표), Jayone, SeaSnax, C-weed Snack(예맛), 에코매스 등 여러 한국계 기업들 또한 전시 현장에서 만나볼 수 있었다.

 

유기농·천연 식품 등 5개 주제로 구성

전시장은 크게 유기농(Organic), 천연·특색 식품(Natural & Specialty Foods), 라이프스타일(Lifestyle), 건강·영양보조제(Supplements), 떠오르는 상품(Hot Products)의 5개 주제로 나뉘었다.

 

세부적인 주요 전시 품목으로는 식품(신선, 냉동, 저장·가공, 육류 및 해산물, 간편식, 각종 음료 등), 유제품, 향신료 및 오일·소스류, 베이커리·디저트 및 영·유아용 식품, 반려동물 식품 등을 꼽을 수 있다.

 

전시 외에도 각종 이벤트 22개와 전시업체가 참가한 27개의 세미나를 포함, 총 93개의 교육 프로그램 및 이벤트 세션이 마련됐다. 천연 상품 업계의 다양한 주제들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식물 성분 기반의 제품, ‘Plant-based’

미국 소비자 시장의 가장 큰 화두로 떠오른 'Plant-based' 트렌드가 이번 행사에서도 돋보였다. 현장에선 다양한 식물 성분의 식품, 음료, 생활용품, 화장품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육류나 유제품 등 경우에도 합성 성분의 사료가 아닌 천연 목초를 먹고 자란 동물로부터 생산된 상품임을 강조했다.

 

식물 성분인 콩(Soy)단백으로 만든 제품뿐만 아니라, 콜리플라워(Cauliflower), 주키니(Zucchini), 고구마 등 다양한 식물 성분으로 만든 제품들 또한 많이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유제품 프리, 글루텐 프리, 곡류 프리, GMO 프리’ 제품들도 눈길을 끌었다.

 

 

다양한 종류와 식감의 김과 김 스낵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계 참가 기업인 신안천사김(예맛식품) 관계자는 “김 스낵과 김을 원료로 한 다양한 제품이 이번 행사에서 관심과 반응이 폭발적”이라 전했다. 신안천사김은 회원제 대형 할인점인 코스트코(Costco Wholesale)에 6~7년째 납품하며 미국 소비자들에게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이외에도, 버섯이나 체리와 같이 새로운 식물 성분의 식음료 및 건강·영양 보조 제품 또한 많은 관심을 받았다.

 

가장 눈에 띈 헴프(Hemp)와 CBD

헴프(Hemp)란 대마(Cannabis)의 일종으로 보통 마약으로 알려진 마리화나(Marijuana)와 구분되는 식물이다, CBD(Cannabidiol; 칸나비디올)라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CBD 성분은 아직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환각 등 향정신성 효과는 거의 없고 통증과 발작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졌다.

 

 

 

이번 행사에서 가장 눈에 띄었던 제품이 헴프·CBD 성분을 강조한 제품이었다. 음료, 농축 오일, 알약이나 젤리 형태로 된 각종 영양제뿐만 아니라 화장품, 헤어 제품, 연고 등 매우 다양한 분야의 CBD 제품들을 찾아볼 수 있었다.

 

친환경, 유기농, 식물 중심 트렌드는 전 세계 화두

현재 전 세계에서는 ‘친환경’, ‘유기농’ 제품의 시대를 겪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Statista의 미국 유기농 식품 시장 보고서(Organic Food Market in the US, 2018년 발간)에 따르면, 전 세계 유기농 식품의 판매는 매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인다, 2017년을 기준으로 10년 전과 비교해 2배 이상 성장한 약 970억 달러의 판매를 기록했다.

 

미국은 전 세계 유기농 식품 소비 규모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이다. 2017년 기준 약 450억 달러의 유기농 식품 매출을 기록했다. Statista가 2017년 진행한 설문 조사에 의하면 유기농 식품을 구매하는 미국 소비자 중 34%가 전년보다 더 많은 유기농 식품을 구매했다.

 

 

29세 이하의 소비자들 중 46%는 선택이 가능하다면 가급적 유기농 식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밀레니얼 세대로 대표되는 미국 주류 소비자의 환경과 건강에 대한 인식이 점차 변화했다. 이에 따라 유기농 및 천연 제품 시장이 크게 성장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전을 할 것으로 분석된다.

 

행사 참가 바이어 N사 관계자는 이번 Natural Products Expo West에 참관하며 천연·유기농 제품의 분야와 영역이 무궁무진하게 확대되고 있음을 느꼈다며 “건강과 웰빙에 도움이 되는 제품을 선호해왔던 미국 시장에서, 이제는 재료마저도 천연이나 유기농을, 성분과 생산 공정 또한 단순한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더 강해질 것”이라 전했다.

 

한국기업, USDA(미국 농무부) 유기농 인증 적극 활용해야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유기농 식품 시장을 보유했다. 그만큼 각종 천연·유기농 식품과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하는 국가가 상당하다. 동시에 해당 제품 수입에 대한 인증과 규제도 까다롭다.

 

식품을 미국으로 수출하는 한국 기업도 다수이다. 하지만 천연 및 유기농 식품의 경우 USDA(미국 농무부)의 유기농 인증 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기업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천연·유기농 식품의 경우 USDA 유기농 인증의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 밖에도 코셔(Kosher) 인증이나 할랄(Halal) 인증 등 종교적 성격의 식품에 특화된 인증도 다양한 소비자에게 어필할 좋은 마케팅 수단이 될 수 있다.

 

한편, 최근 로스앤젤레스 한인 타운에서는 한국인이 아닌 손님으로 가득한 한국 식당을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도 김치맛 혹은 불고기(Korean-BBQ) 맛 등의 가공식품도 자주 찾아볼 수 있었다.

 

한국 음식에 대한 미국 소비자의 인지도와 선호도가 전에 비해 많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천연·유기농 성분을 접목하여 미국 소비자에게 접근한다면 더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흑염소 보양탕· 전골· 흑염소불고기' 흑염소 요리의 모든것 전수한다
이제 개고기 대신 '흑염소'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후 바로 외식현장에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막바지 피서객 맞이 낙산해변 썬셋마켓
양양군이 지난 7월말 낙산해변 비치마켓 & 불꽃쇼를 개최한데 이어 8월 22일부터 8월23일까지 이틀간 양양 낙산해변에서 ‘낙산해변 썬셋마켓’ 을 개최한다. 비치마켓 행사는 강원도가 추진하는 ‘테마해수욕장 운영사업’의 일환으로 열리며, 이번 썬셋마켓에는 30여팀의 셀러가 참여하여 △핸드메이드 창작품 △다양한 친환경 먹거리 △체험 프로그램 △양양 해파랑길 및 새활용센터 홍보 부스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건강·웰니스와 친환경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고 ‘해파랑길’과 ‘걷기’ 등 느린 여행 콘텐츠가 주목받고 있음에 따라 이번 썬셋마켓에서는 해파랑길과 양양군 새활용센터가 참여하여 지속가능한 여행과 친환경 활동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힐링 이벤트를 준비했다. 해파랑길 부스에서는 해파랑길 길동무 선생님이 상주하며 해파랑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오후 5시 해질녘에는 전문 요가강사와 함께 하는 썬셋 요가 및 해파랑길 44코스 명상걷기가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될 예정이다. ‘해파랑길 썬셋요가와 명상걷기’는 고고양양 앱을 통해 무료로 사전 신청 받고 있다. 또한 수입주류, 와인, 양주병 등을 수거해 업사이클링하여 환경적으로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있는 양양군 새활용센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흑염소 보양탕· 전골· 흑염소불고기' 흑염소 요리의 모든것 전수한다
이제 개고기 대신 '흑염소'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후 바로 외식현장에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일본 ‘돈카츠’ 현지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전수창업 교육이 오는 8월 25일(월)에 진행된다. 두툼한 고기 두께의 ‘돈카츠’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수요층이 넒은 메뉴다. 등심 부위를 이용한 ‘로스카츠’, 안심 부위의 ‘히레카츠’, 돼지고기 사이에 치즈를 넣은 ‘치즈카츠’는 이제 남녀노소 모두 즐겨 찾는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 주재료인 돼지 안심과 등심 부위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해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고 우동, 소바 등 면류와 잘 어울려 객단가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다. 또한, 우동, 소바 등 다양한 메뉴와 구성을 할 수 있고 홀, 배달, 테이크아웃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이번 돈카츠 전수교육은 일본 도쿄에서 돈카츠전문점을 운영한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이 교육을 진행한다.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고기 손질 등 기초 과정부터 ▲돼지고기의 등심, 안심 손질 및 숙성방법, ▲시즈닝부터 빵가루의 종류 및 용도에 따른 사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