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벤치마킹]고속 성장 중인 중국 가공치즈 시장

중국에서 스틱치즈, 슬라이스 치즈와 같은 가공치즈 시장이 고속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중국 치즈 시장은 매년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2018년 치즈 시장 매출액은 전년대비 약 16.4% 증가한 581억 위안을 기록했다.

 

 

중국 소비자의 구매력 상승과 서구문화의 유입으로 인해 치즈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전체 매출액의 74% 차지하는 가공 치즈

치즈는 크게 가공 치즈와 자연 치즈 총 2가지로 구분된다. 가공 치즈는 발라먹는 가공치즈(spreadable processed cheese)와 기타 가공치즈(Other Processed Cheese)로 나뉘며, 자연 치즈는 경질치즈(Hard cheese)와 연질치즈(Soft cheese)로 분류된다.

 

 

2018년 매출액 기준 가공 치즈는 전체 매출액의 약 74%를, 자연 치즈는 26%를 차지했다. 가공 치즈 중 슬라이스 치즈(slices cheese), 싱글즈 치즈(singles cheese), 스틱 치즈(sticks cheese)를 포함하는 기타 가공 치즈의 시장점유율은 전년 대비 18.4% 증가하여 가장 큰 폭의 성장을 보였다.

 

주요 브랜드별 판매현황

2018년 매출액 기준 치즈 시장점유율 1위 브랜드는 MILKANA(百吉福)로, 전체 점유율의 약 23.5%를 기록했다.

 

 

그 외 La Vache Qui Rit(乐芝牛), Anchor(安佳), Kraft(卡夫) 등이 뒤를 이었다. Milkground(妙可蓝多), Mengniu(蒙牛) 등 중국 브랜드도 있으나, 시장점유율 상위를 차지하는 브랜드 중 다수는 프랑스와 뉴질랜드 등 수입 브랜드이다.

 

 

작년 1위 브랜드인 MILKANA(百吉福)는 다양한 소비자군을 겨냥한 치즈 제품을 선보여 중국 소비자 시장에서 선두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다.

 

온라인 채널 통한 유통 소폭 상승

유로모니터(Euromonitor) 통계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약 66%의 치즈 제품이 오프라인을 통해 유통되고 있으며, 대부분 하이퍼마켓(17.2%) 및 슈퍼마켓(47%)이 차지했다.

 

최근 중국 온라인시장 성장에 따라, 치즈 역시 온라인 유통이 소폭 상승하고 있다. 2014년 온라인 유통은 25%에서 2018년 34%로 9% 증가했다.

 

 

현지 대형마트에서 유제품 판매를 담당하고 있는 직원은 “마트 내 판매량이 높은 치즈 브랜드로는 수입브랜드 MILKANA(百吉福), Kraft(卡夫) Président(总统牌), La Vache Qui Rit(乐芝牛) 등이 있다. 그 중 특히 인기가 많은 제품은 ‘kiri(凯瑞)’ 시리즈이다. 이 제품은 직육면체로 개별 포장되어 빵, 비스켓 등에 발라먹거나 치즈만 단독으로 먹을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고 말했다.

 

중국 내에서 치즈의 경우, 보통 성장기 자녀를 키우는 부모 혹은 20-30대 젊은 고객의 수요가 두드러진다. 과거에는 피자에 들어가는 모짜렐라 치즈, 샌드위치용 슬라이스 치즈 등이 주로 판매됐으나, 현재는 여러 종류의 치즈 상품이 출시되면서 간식으로 먹을 수 있는 스트링치즈, 크림치즈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약진하는 중국 로컬 브랜드

중국 로컬 브랜드가 수입 브랜드가 점유한 치즈 시장에서 빠른 성장을 이루고 있다. 치엔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2014년 65%였던 중국 치즈 시장 수입 의존도(순수입량/표관소비량)는 2018년 50.4%로 14.6%p 감소했다.

 

 

중국 치즈 시장은 성장 초기 단계로, 아직은 다수의 수입 브랜드가 강세다. 하지만 Milkground(妙可蓝多)사 등을 포함한 로컬 중국 브랜드 제품이 점차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대형 유제품 제조사 Yili(伊利)가 치즈시장에 진출했다.

 

2017년 세계에서 1인당 치즈 소비량이 가장 높은 지역은 유럽엽합(17.78kg), 미국(16.63kg), 일본 (2.43kg) 순이고 중국은 0.1kg로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적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서양 음식이 점차 보편화되며 치즈 잠재 수요량은 높다.

 

 

특히 중국에서 치즈는 영양이 풍부하고 칼슘 함유량이 높아 어린이용 간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중국 전자상거래 플렛폼 징둥(JD.com) 내 MILKANA(百吉福) 판매량 상위제품은 대부분 짜먹는 치즈, 떠먹는 치즈 등의 어린이를 타겟팅한 제품이다.

 

 

어린이용 치즈 수요가 크게 늘면서 다수의 브랜드는 과일맛 치즈 등 어린이의 입맛을 고려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해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푸드&라이프

더보기
1기 경쟁률 11대1, 뜨거운 관심의 '경기미 소믈리에 2기' 교육생 모집
경기도농업기술원은 경기미 신품종의 인지도를 높이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경기미 소믈리에 2기’ 교육생 72명을 모집한다. 경기미 소믈리에는 와인의 품질과 맛을 감별하고 안내하는 소믈리에 제도를 경기미에 도입한 것으로 다양한 쌀 품종별 차이를 이해하고 올바른 소비문화를 확산하는 역할을 한다. 교육 과정은 11월 4일 ‘인플루언서’ 반, 11월 5~6일 ‘외식업·소비자’ 반으로 나누어 운영된다. 주요 내용은 ▲참드림·여리향 등 경기미 주요 품종 이해 ▲식미평가 훈련 ▲솥밥짓기 실습 ▲품종별 밥맛·술맛 비교 등이며, 실습 중심의 체험형 교육으로 구성됐다. 참가 신청은 10월 13일부터 19일까지 배민아카데미 누리집에서 접수 가능하며, 최종 합격자는 10월 22일부터 개별 통보된다. 전 과정을 수료한 교육생에게는 11월 개최 예정인 경기미 품평회 식미 평가단 참여 기회가 주어진다. 성제훈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지난 1기 모집 당시 정원 30명에 전국에서 330명이 몰리는 등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며 “교육 후에도 참가자의 93%가 ‘만족’ 이상을 응답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만큼, 이번 2기 과정은 규모를 두 배 이상 확대해 더 많은 분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만두 먹고, 빚고, 즐기고' 원주 원도심에 '만두가게' 팝업스토어 운영
원주시는 원도심 활성화와 만두축제 홍보를 위해 오는 8일부터 26일까지 ‘만두가게’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 전통시장 인근 원일로 일원 상가에 차려지는 팝업스토어는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만두 시식 체험과 포토존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꾸며진다. 팝업스토어에서는 전통시장과 원주의 음식문화를 담은 영상이 상영되고, 만두 지도·빚기 가이드가 제공된다. 또한 만두 빚기 체험, 만두 라면 끓여 먹기, 만두가게 추천 및 명언 뽑기, 열쇠고리 제작 등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체험도 마련되며, 포토존에서는 만두를 형상화한 무대에서 특별한 인증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운영시간은 평일(수·목·금)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며, 주말 및 공휴일은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다. 월·화는 휴무일이며, 만두 축제 기간인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는 오후 8시까지 연장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팝업스토어 운영 시작일인 8일 오후 2시에는 강원감영에서 원주 ‘와락 버스킹’ 공연을 개최해 팝업스토어 홍보에 나설 예정이다. 홍순필 관광과장은 “이번 팝업스토어를 통해 원도심의 활력을 높이고, 지역민과 방문객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새로운 관광·문화 공간을 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동구, 청년 창업자 10개 업소에 맞춤형 간판 지원 완료
울산 동구는 올해 2월부터 9월까지 추진한 ‘힘내라 청춘! 대박 간판 달아주기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울산광역시 동구 관내 청년 창업자(만18세 이상~39세 이하)를 대상으로 간판 디자인과 제작, 설치비를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으로, 특히 신혼부부를 우대해 지원 대상자를 선정했다. 총사업비 3천만 원 규모로 추진된 이번 사업에는 신청자 중 내부 배점표를 통해 엄선된 10개 업소가 지원을 받았다. 동구는 지난 2월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3월~4월에 사업 홍보, 5월에는 신청서 접수와 대상 업소 선정 등을 추진했다. 선정된 업소에는 7월~8월 맞춤형 간판이 설치됐고, 동구는 9월 15일 지원금 지급을 완료하며 사업을 마무리했다. 이번 사업에 참여한 한 업소 대표는 “처음에 사업에 선정될 줄 몰랐는데 신혼부부라는 점이 우대되어 좋은 기회를 얻은 것 같다. 또, 창업 초기라 홍보에 어려움이 많았는데, 전문가가 디자인한 간판이 설치되어 손님 유치에 큰 도움이 됐다.”라며 “앞으로도 지역의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다양한 지원이 지속되길 바란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동구 관계자는 “이번‘힘내라 청춘! 대박간판 달아주기 사업’을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