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라이프] 씹을수록 건강해지는 곡식의 작은 낱알, '그래놀라'

건강한 식사는 국적, 연령을 불문하고 언제나 모두의 화두다.

 

최근에는 건강의 범위가 인간을 넘어 자연, 지구에까지 확장되고 있다. 비건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목소리가 커진 요즘, 건강하고 간편한 식사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그래놀라에 대해 알아보자.

 

 

그래놀라는 곡류를 기본으로 하여 견과류, 건과일 등을 설탕이나 꿀, 메이플시럽, 오일 등과 섞어 오븐에 구운 음식을 말한다.

 

그래놀라의 기본 구성 요소인 곡류는 어떤 것이든 가능하지만,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는 귀리를 납작하게 눌러 만든 오트밀이다. 통곡물의 형태를 유지해 건강함을 배가하는 그래놀라는 언제부터 섭취하기 시작했을까. 오늘은 그래놀라의 시작과 그 흐름에 대해 알아보자.

 

그래눌라? 그래놀라?

그래놀라는 뉴욕의 내과 의사이자 영양학자였던 제임스 케일럽 잭슨 Dr. James Caleb Jackson에 의해 ‘그래눌라 granula’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등장했다. 이는 곡식의 작은 낟알을 의미하는 ‘그래뉼스granules에서 따온 것이다.

 

요양원을 운영하던 그는 껍질까지 분쇄한 통밀가루를 반죽해 굽고 잘게 부순 후 다시 구워냈고, 이를 환자들의 아침 식사에 제공했다.

식이요법을 중시하는 채식주의자였던 그는 보편적인 미국 아침 식사 메뉴인 베이컨, 달걀 등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동물성 식품과 카페인 함유가 높은 차, 커피 등을 환자들의 식단에서 제외하고, 곡류, 과일, 채소 위주의 건강한 음식을 제공한다. 하지만 그가 만든 그래눌라는 최소 몇 시간은 물에 담가놓고 불려 먹어야 할 정도로 딱딱했다고. 편의성이 부족했던 그래눌라의 단점을 보완해 탄생한 것이 우리가 아는 ‘그래놀라’다.

 

켈로그의 그래놀라

 

미국 미시간주에서 요양원을 운영하던 의학박사 존 하비 켈로그 John Harvey Kellogg는 잭슨 박사의 요양원에서 머물렀던 지인을 통해 그래눌라를 알게 되었다.

역시 건강한 음식에 관심이 높았던 존 하비 켈로그는 동생 윌리엄 키이스 켈로그 William Keith Kellogg와 함께 통밀 대신 귀리를 납작하게 미는 방식으로 그래눌라를 만들었다.

잭슨 박사의 그래눌라보다 부드러웠던 켈로그의 그래눌라는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사실을 안 그래눌라 개발자인 잭슨 박사가 켈로그 형제를 고소하자, 이들이 법적 분쟁을 피하기 위해 1889년 상품명을 ‘그래놀라 granola’로 바꾸면서, ‘그래놀라’라는 이름이 탄생했다. 당시 켈로그 형제의 그래놀라는 일주일에 2톤가량 판매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고, 같은 해 밀과 옥수수 가루를 압착해 말린 ‘콘플레이크’를 출시했다.

 

맛있는 시리얼의 시대

 

환자의 건강식을 위해 그래놀라를 개발했던 존 켈로그는 ‘콘플레이크’에 설탕을 가미해 시장 경쟁력을 갖추고자 했던 동생 윌리엄 켈로그에 동의하지 않았다. 결국 윌리엄 켈로그가 홀로 회사를 설립해 시장 판매를 시작했다.

 

 

이것이 우리가 아는 시리얼 회사 ‘켈로그 Kellogg’s’다. 간편식인 시리얼의 인기가 치솟자, 여러 업체가 시리얼 시장에 뛰어들었다. 많은 회사가 판매를 위해 건강보다는 시리얼의 맛을 중시하기 시작하면서, 켈로그도 시리얼에 색과 맛을 가미한 후루트링 코코팝스, 초코 첵스 등을 출시했다. 환자들의 건강식을 위해 만들어졌던 그래놀라는 점점 사람들에게서 잊히게 됐다.

 

히피 운동과 그래놀라

1960년 발발한 베트남 전쟁으로 미국에서는 주류 Mainstream 문화에 반하여 비폭력, 평화, 행복을 지향하는 히피 운동 The hippie movement이 일어난다. 이런 흐름은 음악, 패션,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주었고, 식문화도 그중 하나였다.

 

가공되지 않은 채식 위주의 식습관을 추구했던 히피 문화는 건강식 그래놀라를 다시금 부상하게 했다. 2017년 「뉴욕타임스」는 “히피들이 승리했다”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보다 좋은 것을 소비하려는 현상을 ‘히피문화의 승리’로 본 것.

1970년대에 이런 시장 변화를 감지한 시리얼 회사들이 제품에 영양소를 표기하기 시작했고, 퀘이커 Quaker, 켈로그 Kellogg’s, 제너럴밀스 General Mills 등 대형 식품 회사들은 줄줄이 대중을 위한 그래놀라 상품을 출시했다. 하지만 가공 과정에서 곡물의 형태가 변하거나 설탕과 같은 첨가물이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아쉬움을 보완해 제작에 큰 비용이 들더라도 형태를 그대로 살린 곡류와 말린 과일, 마카다미아너트 같은 견과류, 코코넛, 메이플시럽, 카카오 파우더 등의 고급 재료를 여러 방식으로 조합하여 수제로 만든 아르티장 그래놀라 브랜드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푸드 큐레이터의 음식 이야기

박준영 JUN YOUNG PARK

고객과 마켓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진정성 있는 F&B 브랜드를 만드는 것이 목표인 푸드 큐레이터. 현재 SSG닷컴의 SSG푸드마켓 상품 기획을 맡고 있으며, 낮에는 회사 업무, 밤에는 음식 인문학 탐구로 열정을 불태우고 있다. 뉴욕과 코펜하겐 등에서 공부하고 경험을 쌓았다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흑염소 보양탕· 전골· 흑염소불고기' 흑염소 요리의 모든것 전수한다
이제 개고기 대신 '흑염소'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후 바로 외식현장에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소상공인 86억 펀딩 신화, 올해도 이어간다
후원형 및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서비스를 운영 중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오마이컴퍼니가 ‘2025 우리동네 크라우드펀딩 지원사업’에 참여할 소상공인을 모집한다. 소상공인에게 가장 큰 고민은 언제나 ‘자금’이다. 창업 아이디어가 있어도 실행으로 옮기기 어렵고, 성장의 기회를 눈앞에 두고도 발걸음을 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이 벽을 허무는 방식이 자리 잡고 있다. 소비자가 직접 투자자이자 든든한 후원자가 되는 크라우드펀딩이 그 무대다. 오마이컴퍼니는 2024년 ‘우리동네 크라우드펀딩’ 사업을 통해 약 86억원의 모금 실적을 기록하며 우리동네 크라우드펀딩 지원사업 운영사 7곳 중 펀딩금액 1위를 달성한 바 있다. 무엇보다 주목할 것은 펀딩 성공 기업들이 자금 확보를 넘어 매출 성장, 해외 진출, 정부 인증, 각종 수상 등 눈에 띄는 후속 성과를 거두며 크라우드펀딩의 효과를 입증했다는 사실이다. 대표적인 성공 사례인 ‘애니락’은 두 차례의 증권형 펀딩으로 1억3000만원을 조달해 자사 제품 ‘밀다 푸시풀’의 대중화에 성공했다. 해당 제품은 독일 iF디자인 어워드 본상을 수상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기술 우수 고령친화제품’으로 선정되는 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흑염소 보양탕· 전골· 흑염소불고기' 흑염소 요리의 모든것 전수한다
이제 개고기 대신 '흑염소'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후 바로 외식현장에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지금 일본은] 일본 최초 플래그십 스토어 ‘해리포터샵 하라주쿠’ 화제
도쿄관광한국사무소는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 재팬이 8월 14일(목) 일본 최초의 플래그십 스토어 ‘해리포터샵 하라주쿠’를 도쿄 하라주쿠 오모테산도에 오픈했다고 밝혔다. 트렌드의 발신지 하라주쿠 중심에 해리포터의 새로운 거점 탄생 ‘해리포터샵 하라주쿠’는 총면적 약 900㎡ 규모의 2층 매장으로, 한정 상품과 마법 세계의 매력이 담긴 다양한 아이템을 갖추고 있다. 또한 쇼핑 도중에 즐길 수 있는 ‘버터맥주 바’와 작품 속을 연상시키는 포토 스폿도 마련돼 있다. 하라주쿠를 찾는 누구나 부담 없이 방문해 ‘해리포터’ 세계관을 체험하며 작품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금지된 숲’ 테마, 올빼미와 히포그리프 ‘벅빅’이 맞이해 안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거대한 나무와 부엉이들이다. 매장 안 우뚝 솟은 나무 사이로 유유히 날아다니거나 무성한 녹색 가지 위에서 날개를 쉬는 부엉이들의 모습이 펼쳐진다. 또한 나무줄기 위에는 다양한 마법 동물들도 자리하고 있어 방문객들은 마법 세계를 한눈에 체험할 수 있다. 한정 굿즈부터 푸드까지 마법 세계를 만끽 하라주쿠 한정 패션 잡화, 문구, 과자를 비롯해 네 기숙사의 세계관을 체험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