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자영업 엿보기]지역 농산물 활용, 전국구 히트상품 만들어 지역경제 활성화

일본 규슈지역 미야자키현에서 만들어진 규슈 팬케이크는 지역 농산물을 활용해 전국구 수준의 히트상품을 탄생시킨 성공사례로 주목 받고 있다.

 

 

쇠퇴하는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일은 일본에서도 큰 사회적 과제이다. 지역의 농산물 소비 활성화를 넘어 규슈 경제를 이끄는 팬케이크 상품에 대해 알아본다.

 

지역 경제 살리는 규슈 팬케이크

규슈지역에서 나온 원재료만을 사용해서 만든 규슈 팬케이크는 소비자의 호평을 얻으며 동명의 카페가 일본 국내에 8개, 대만에 2개, 싱가포르에 1개 점포가 각각 운영될 정도로 성공을 거뒀다.

 

가정용 팬케이크 가루는 인터넷 홈쇼핑 및 슈퍼, 유명 호텔 등 약 3,000개 유통 채널을 통해 판매되고 있으며 농산품의 고부가가치화의 성공사례로 식품업계 관계자들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대표적인 검색 포털사이트 Yahoo JAPAN에서 규슈 팬케이크를 검색하면 관련 상품을 비롯해 2,000만 건 이상의 웹이 검색되는 등 지명도도 매우 높다.

 

경제산업성(한국의 산업부에 해당) 인증 및 일본 내 권위 있는 식품 분야 상을 다수 수상하는 등 대외적으로 품질과 콘텐츠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규슈 팬케이크의 성공 요인

규슈 팬케이크 성공 배경에는 무엇보다 ‘100% 규슈산 원재료 사용’이라는 원칙을 철저히 고집하면서 우수한 품질을 구현한 점이다.

 

규슈 팬케이크의 창업자인 무라오카 사장은 사업 아이디어를 구상하던 중 하와이에서 10여 종의 잡곡을 원재료로 한 팬케이크를 보고 이를 벤치마킹해 규슈에서 생산되는 양질의 곡물을 배합한 팬케이크 가루 만들기에 착수했다.

 

 

규슈 내 7개 현의 농가를 구석구석 다니며 원재료를 발굴하고 오이타현의 밀을 빻은 밀가루를 주원료로 미야자기현산 발아 현미, 가고시마현산 멥쌀, 후쿠오카현산 홍미쌀 등을 사용해 혼합 가루를 완성했다.

 

소재를 모두 규슈산으로 한정했을 뿐만 아니라 대기업의 대량 생산방식과 철저히 차별화를 꾀해서 원재료의 배합, 첨가물 배제, 영양소 등을 전문 제분 회사와 몇 해에 걸쳐 공동 연구했다.

 

규슈 팬케이크에는 일반적인 빵에 대부분 포함된 글루텐이 포함돼 있지 않아 건강에 좋으며, 탁월한 촉감과 맛을 구현해 상품성을 높였다.

 

본격적인 해외진출 앞둔 규슈 팬케이크

‘규슈 팬케이크’라는 명칭을 써서 팬케이크 메뉴를 제공할 수 있는 음식점 및 카페의 운영은 일본 내에서는 규슈지역에 한정하고 있다.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만들어 먹을 수 있으나 전문가가 만든 ‘규슈 팬케이크’는 규슈 지역을 방문해야만 먹을 수 있다'는 콘셉트이다.

 

규슈 각 지역 총 8개 점포가 운영 중인데 점포마다 각각 전혀 다른 메뉴를 제공하는 것도 큰 특징 중 하나다. 모든 점포의 팬케이크를 맛보기 위해 각 지역을 방문하는 규슈 팬케이크 마니아 등이 생겨나며 관광객 유치에 기여하는 바가 높다.


 

 

또한, 해외진출도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중이다. 현재 대만, 싱가포르에 운영 중인 3개 점포 외에 향후 중국 주요 도시 및 홍콩, 마카오 등에 총 19개 점포가 프랜차이즈로 오픈할 예정이다.

 

규슈 각 지역에 팬케이크 홍보대사를 두고 독창적인 레시피 개발과 개별 SNS를 통한 홍보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으며,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새로운 조리법이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자 무라오카 사장은 규슈 팬케이크의 원료로 쓰이는 발아 현미를 무농약 유기농 공법으로 재배하는 노하우를 미야자키 농가에 전수해주고 생산품을 팬케이크 가루 공장에서 구매하고 있다.

 

규슈 팬케이크용으로 재배되는 쌀은 시중 가격보다 비싸게 팔리기 때문에 농가 입장에서도 이득이 더 크다.

 

 

2016년 4월에는 구마모토 대지진이 발생하자 규슈산 제품인 규슈 팬케이크로 규슈 전체가 구마모토를 돕자는 캠페인을 추진한 바 있다. 규슈 팬케이크의 온라인 쇼핑몰 및 직영점에서 1개 제품이 팔릴 때마다 10엔씩을 적립해 기부금으로 전달했다.

 

무라오카 사장은 “규슈가 풍요로워지면 자연스럽게 내 고향인 미야자키도 풍요로워질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로컬이 아닌 ‘리저널’(regional, 로컬보다 넓은 지역·지방) 단위로 발상을 전환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진도홍주 하이볼 페스타’ 오는 8일 개최
진도군이 천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명주(名酒) ‘진도홍주’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축제인 ‘진도홍주 하이볼 페스타’를 오는 11월 8일 오후 2시에 진도개테마파크 국화축제장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하이볼’이라는 새로운 감성의 음료 문화를 진도 홍주와 결합한 ‘세대 공감형 축제’로 기획됐으며,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색다른 즐길 거리를 선보일 예정이다. 행사장은 ▲하이볼 바 ▲디제이(DJ) 공연 ▲벼룩시장(플리마켓) ▲체험활동 등 참여형 행사로 꾸며지며, 군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진도의 대표 문화 행사로 발전할 전망이다. ‘진도홍주 하이볼 페스타’의 중심은 진도홍주를 활용한 ‘시그니처 하이볼’인데, 레몬, 허브 등 천연재료로 진도홍주의 붉은빛과 향을 살린 대표 음료와 술이 들어가지 않은 음료(논알코올 칵테일)도 함께 선보인다. 이날 오후에는 통기타와 국악이 어우러진 공연으로 여유로운 가을의 분위기를 선사하며, 밤에는 전자음악(이디엠)과 케이팝(K-POP) 무대가 이어져 젊음과 열정이 넘치는 축제의 밤을 연출한다. 행사장에는 진도 출신의 청년들이 운영하는 벼룩시장(플리마켓)과 지역 먹거리 판매장이 운영되며, 전복, 김, 울금 등 진도 특산물로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