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벤치마킹]호주, 건강하게 성장하는 아침식사용 시리얼

호주에서 전통적인 간편식 시리얼이 아침식사용으로 뜨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9년 호주 아침식사용 시리얼 시장 규모는 9억65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7% 가량 성장했으며, 향후 5년 동안도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해 2024년에는 11억3720만 달러의 매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침식사 대체한 Hot·RTE 시리얼

작년 호주에서 소비된 아침식사용 시리얼은 12억 6000톤가량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 향후 5년간 연평균 2.3%의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호주에서 아침식사 대용으로 먹는 시리얼은 크게 핫(Hot) 시리얼과 RTE(Ready to eat) 시리얼로 나눌 수 있다. 핫 시리얼은 따뜻한 우유나 두유와 함께 타먹거나 우유, 두유, 물 등을 넣고 전자레인지에 돌려 제품으로 귀리 등의 곡물을 포함한 제품이 많다. 바로 먹을 수 있는 RTE 시리얼은 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일반 시리얼 제품을 뜻한다.

 

 

품목은 간단하며 더 다양한 종류를 갖춘 RTE 시리얼의 시장 점유율은 86.4%이며, 핫 시리얼은 13.6%이다. RTE 시리얼은 어린이용과 일반 가정용이 있고, 이 중 일반 가정용 시리얼은 플레이크(Flakes), 뮤즐리 및 그라놀라(Muesli and Granola), 그리고 기타 제품을 포함한다.

 

 

건강 및 웰빙 트렌드, 시리얼 시장 성장 견인

건강과 웰빙 트렌드는 호주 시리얼 시장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2019년 가장 높은 성장을 보인 시리얼 제품은 글루텐이 없는 Gluten free와 유기농 제품으로 특히 각종 곡물 및 견과류, 건조 과일 등으로 이뤄진 뮤즐리와 그라놀라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또한, 소화 및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프로바이오틱 제품의 출시 역시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호주 시리얼 회사 Select Harvests Ltd.의 ‘Sunsol 프로바이오틱’은 아몬드, 캐슈넛, 땅콩, 치아 씨앗(Chia Seed) 및 마누카 꿀 등의 주재료와 함께 섬유질 및 프로바이오틱 성분을 포함한 시리얼로 장 건강 개선에 관심있는 소비자에 초점을 맞췄다.

 

건강식 아침식사용 시리얼은 보다 폭 넓은 소비자들을 통해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높은 칼로리와 설탕이 함유된 기존 시리얼 대체식품을 고려하던 현지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호주 시리얼 시장 경쟁 동향

호주 아침식사용 시리얼 생산 시장은 상위 3개 업체가 전체 시장의 58%를 차지하고 있으며, 알디(ALDI), 울워스(Woolworths) 및 콜스(Coles)와 같은 대형마트의 PB(Private brand) 제품 역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켈로그 호주(Kellogg Australia)는 19개의 시리얼 및 시리얼 바(Cereal bar)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답게 다양한 종류의 시리얼을 생산한다. 특히 최근 건강에 대한 호주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글루텐 프리, 비건(Vegan), 섬유질, 단백질 및 곡물 중심의 제품 등 기존 취급하던 일반 시리얼 제품 외에도 건강을 강조한 신제품들을 꾸준히 선보이는 중이다. 

 

네슬레 호주는 시리얼 제품 외에도 각종 스낵 및 식품을 취급하고 있으며, 오세아니아 지역 본부를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주 Rhodes 지역에 두고 있다. 주요 브랜드로는 호주 아침식사용 시리얼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한 ‘Uncle Tobys’와 ‘Milo’, ‘Nesquik’ 등이 있다.

 

 

건강을 강조한 호주 브랜드의 강세도 돋보인다. 세니타리움은 호주 건강 및 채식 관련 식품 제조 및 유통업체로 호주와 뉴질랜드 전역에서 12개의 생산, 판매 및 유통 회사를 운영한다.

 

가볍고 건강함을 강조한 ‘Weet-Bix’ 제품은 관련 시장 브랜드 점유율 2위로 호주와 뉴질랜드 외에도 전 세계 30개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지난 5년간 아침식사용 시리얼 시장의 소비 패턴은 맛과 영양에서 건강과 가벼움을 지향하는 제품으로 이동했다. 특히 호주인의 건강에 대한 의식 증가는 각종 곡물을 주재료로 한 제품의 판매량을 늘린 주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설탕 및 지방의 함유가 높은 제품의 수요는 지속 감소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대형 식품기업에서도 잇달아 설탕 및 인공 향료를 제거한 제품을 다수 선보였다.

 

이러한 건강 시리얼 제품에 대한 고객 수요는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판단되며, 특정 기능을 강조한 제품(단백질, 장·소화 기능 개선, 다이어트, 채식 등)및 다양성(맛, 곡물 종류, 설탕 함유 정도 등)을 갖춘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딸기막걸리’, 2025년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 최우수상 수상
진안군에 자리한 농업회사법인 (주)성수주조장의 ‘딸기막걸리’가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주관하는‘2025년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에서 저도수 탁주 부문 최우수상을 받았다.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는 우리술의 품질 향상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0년부터 시작된 국내 유일의 정부 주관 전통주 경연대회로, 올해는 전국 246개 양조장에서 총 402개 제품이 출품됐다. 그 중 ‘딸기막걸리’가 저도수 탁주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받는 영예를 얻었다. 100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농업회사법인 ㈜성수주조장의 ‘딸기막걸리’는 진안산 고당도 딸기가 주세법상 과실 최대 함량 수치(20%)에 근접한 19% 이상 함유된 제품이며, 20여 일간 3번 빚은 뒤 한 달간 저온 숙성을 거쳐 그 맛과 향이 깊다. 이 제품은 과거에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은 물론, 세계 3대 주류 품평회 중 하나인 ‘몽드 셀렉션’금상, 국제식음료평가원 은상, 홍콩 주류박람회 동상 수상 등 전 세계적으로 그 품질을 인정받은 바 있다. 진안군 관계자는 “지역 농특산물로 생산된 우수 전통주가 한국 최대규모 전통주 경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여 매우 자랑스럽다”며, “앞으로도 진안군 전통주의 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기획]'딸기 막걸리'부터 '장미청'까지..고양시 농업창업의 도시로
고양특례시가 농산물가공지원센터의 혁신으로 농업인의 창의성과 기술, 유통을 아우르는 종합 창업 플랫폼을 구축하며, 단순 가공시설을 넘어 농업의 산업화를 실현하는 선도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시는 2017년 덕양구 원흥동 농업기술센터 내에 농산물가공지원센터를 개소한 이후, 2021년부터 1년 10개월간의 증축 공사를 거쳐 2023년 9월 공유주방으로 운영방식을 전환했다. 창업 농업인을 위한 전 주기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농산물가공지원센터는 순수 가공시설을 넘어 농업인이 직접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창업의 거점”이라며 “앞으로도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 아우르는 전방위 지원으로 농업인의 자립과 성장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이디어가 상품으로...‘딸기 막걸리’,‘꽃청’등 창의 제품 개발 지원 고양시는 농산물가공지원센터를 공유주방 기반 창업지원 체계로 전환하면서, 농업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실제 제품으로 탄생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구조로 진화하고 있다. 시는 '농업인 농산물가공제품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2024년에는‘딸기 막걸리’와 ‘꽃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흑염소 보양탕· 전골· 흑염소불고기' 흑염소 요리의 모든것 전수한다
이제 개고기 대신 '흑염소'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후 바로 외식현장에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한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셰프가 맡아 현장 중심 교육으로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 낸다. 미토요 대표메뉴 수타 ‘사누키우동’ 기술전수 레시피 개발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