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UP] 외식기업 해외진출 미국·일본 늘고 중국 줄어

aT, '2022 외식기업 해외진출 실태조사' 보고서 발표

지난해 국내 외식기업이 가장 활발히 진출한 국가는 미국과 일본 베트남이었던 반면. 중국 진출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2022 외식기업 해외진출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국내 외식기업 2천999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외식기업 중 해외에 진출한 곳은 4.2%인 124개였다.

 

진출 국가는 총 35개였으며, 브랜드 수는 141개, 점포 수는 3천833개였다.

 

 

전년도 조사와 비교하면 외식기업은 1개, 브랜드는 6개, 점포는 430개 각각 증가했다.

 

외식기업이 가장 많이 진출한 국가는 미국으로 46개였고, 이어 베트남(37개), 중국(36개), 일본(31개), 태국(23개), 필리핀·호주(각 22개), 말레이시아·싱가포르·홍콩(각 21개), 인도네시아(20개) 등 순이었다.

 

점포 수 기준으로는 미국이 673개로 가장 많고, 중국(648개), 베트남(519개), 캐나다(236개), 태국(210개), 대만(209개), 필리핀(190개), 일본·말레이시아(각 135개) 등이 뒤를 이었다.

 

 

미국과 베트남은 전년보다 각각 8개 늘었고, 일본은 10개 증가했다. 반면 중국은 11개나 줄었다.

 

중국에 진출한 외식기업은 2020년 65개, 2021년 47개, 지난해 36개로 꾸준히 줄었고, 점포도 같은 기간 1천368개에서 886개에 이어 648개로 감소했다. 2년 만에 '반토막'이 났다.

 

 

조사 대상 2천999개 외식기업 중 해외 진출 의향이 있는 기업은 70개였는데, 이들 기업이 가장 진출하기를 희망하는 국가로는 베트남(20개), 미국(18개), 일본(10개)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그 뒤를 중국이 9개, 태국이 5개로 이었다.

전년 대비 베트남은 8개, 미국과 일본은 각각 7개, 4개가 증가했지만 중국은 8개 줄었다.

 

 

aT는 "2021년에는 중국과 대만에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이 가장 많았으나 코로나로 인한 봉쇄 조치가 다른 국가에 비해 오랫동안 지속되며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낮아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진단했다.

 

진출 국가 선정 시 고려 요인(복수응답)으로는 현지인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선호도(31%)와 식재료 공급의 원활성(16%), 현지 외식 시장 규모(13%) 등이 많이 꼽혔다.

 

교민의 현지 진출 현황(11%)이나 지리적 접근성(10%)은 상대적으로 적었는데, 이는 과거처럼 한국 교민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현지인들을 주요 고객층으로 접근하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aT는 설명했다.

 

조사 대상 외식기업 2천999개 중 91.8%인 2천752개는 해외 진출 의향이 없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 11월 5~9일 개최
올해로 13회째를 맞는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가 11월 5일 화려한 막을 올린다. 진주시는 ‘2025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가 ‘농업과 함께하는, 힐링나들이’라는 슬로건으로 오는 11월 5일부터 9일까지 5일간 진주종합경기장 일원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올해 박람회는 국내외 16개국, 261개사, 519개 부스 규모로 열리며, 7개의 대형 테마관과 야외 행사장에서 지역 우수 농특산품 및 농가공품 등을 선보이고 농업 체험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며, 다양한 먹거리로 풍성하고 알차게 개최된다. ◆ 7개 테마별 전시관과 야외행사장 구성 올해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는 ▲종자생명관 ▲홍보관 ▲녹색식품관(2개 관) ▲농기자재관 ▲농업체험관(2개 관)으로 구성된 7개의 테마별 전시관과 야외행사장을 마련해 풍성한 볼거리와 참여하는 행사로 재미를 더한다. 유관기관의 홍보 및 전시공간인 ‘홍보관’에는 경상남도와 사)대한민국GAP연합회, 경상국립대, 농산물품질관리원, 국립진주박물관, 국제교류도시, 국립산림과학원, 진주농업관 부스로 이뤄져 있다. ‘녹색식품관’ 두 개관은 총 130개 부스로 구성되며 진주시와 경상남도, 경남벤처농업협회, 남해안남중권 및 타도 소속 시군의 우수 농식품을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하동야생차문화센터, 대한민국 차 문화 중심지로 떠오르다
'하동야생차문화센터'가 올해 전년 대비 120%의 수익 증가를 달성하며, 하동 차 산업과 지역관광의 핵심 거점으로 급부상했다. 하동야생차문화센터는 우리나라 차의 본고장 하동의 전통과 현대 차(茶) 문화를 아우르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박물관·체험관·판매장·치유관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전시·판매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특히 쌍계사 템플스테이, 태교여행, 켄싱턴리조트 협업 등을 통해 대상자별 특화된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하여 방문객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율을 끌어올렸다. 가장 인기를 끈 프로그램은 ‘티소믈리에’ 체험 프로그램으로, 하동군 티마스터와 함께 하동암차·잭살차·말차 등 다양한 차를 직접 시음하며 차의 향과 맛을 비교해 보는 교육형 체험이다. 참가자들은 하동차의 품질과 제조 방식에 대한 전문적인 설명을 들으며 색다른 경험을 즐길 수 있다. 녹차 족욕 체험은 하동차를 활용하여 족욕을 즐기는 힐링 프로그램으로, 피로회복 효과가 뛰어나 관광객들의 호응이 높았다. 이외에도 차와 명상, 다례인성체험, 삼색 다식 만들기, 찻잎 염색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연중 운영되며 가족 단위 관광객과 외국인 방문객의 발길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티카페하동은 최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