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업 리포트]닭 없이 달걀을 낳는다. ‘저스트에그’ 한국 진출 가시화

미국 실리콘밸리의 푸드테크 스타트업 ‘저스트’사가 한국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저스트는 식물 단백질을 이용해 진짜 맛을 재현한 달걀을 만드는 회사이다.

 

 

이미 저스트의 조단 테르릭 대표는 지난 5월 한국을 방문해 식물성 달걀인 ‘저스트에그’를 소개한 바 있으며, 우리나라의 달걀전문기업인 가농바이오와 협업해 내년 상반기 인조달걀을 출시할 계획이다.

 

한국채식연합에 따르면 2018년 채식인구는 약 150만 명으로 10년 전과 비교해서 10배 가량 급격히 성장했다. 채식 위주의 식사를 지향하는 이들이 늘고 있고 공장식 사육 등 동물 복지 문제가 커지며 이와 관련된 대체육류, 채식 전문점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콩고기와 같이 콩, 채소, 견과류 등에서 추출한 식물성 단백질 식품이 시중에 많이 나오며 비거노믹스(veganomics)규모는 커졌으나 실제와 똑같이 맛을 재현하는 데에는 아쉬움이 있었다.

 

비거노믹스란 채식주의자(vegan, 비건)와 경제(economics)를 합친 신조어이다. 전 세계 대체 육류 시장은 2020년까지 약 3조 5천억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돼 잠재력이 큰 시장으로 평가받는다.

 

 

이번에 한국에 진출하는 ‘저스트’의 창업자 조단 테트릭은 진짜 달걀과 똑같은 맛과 식감을 내기 위해 2년간 식물학자, 생명공학자, 요리사와 세계를 누볐다. 65개국을 돌아다니며 1,000여 가지에 이르는 식물 단백질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었다.

 

연구 끝에 테트릭 대표와 연구진은 녹두에서 얻은 단백질이 가열했을 때 달걀과 가장 유사한 식감을 낸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후 녹두를 포함해 강황, 당근 등 10개의 식물 단백질을 조합해 스크램블 등 조리가 가능한 ‘저스트에그’ 개발에 성공했다. 기존 달걀과 같은 양의 단백질을 가지고 있어 맛과 조리방식도 동일하다.

 

 

테드릭 대표는 “저스트에그는 콜레스테롤·포화지방·향료가 없고, NON-GMO(유전자조작 농산물을 사용하지 않는 식재료)기준에 충족한다.”며 “건강이나 식이요법, 환경 등을 이유로 달걀이나 동물성 단백질을 소비하지 않는 소비자에게 적합하다.”고 전했다.

 

한편 저스트에그는 미국, 홍콩, 싱가포트에서 630만 개 이상 판매됐으며 중국에도 진출해 있는 상황이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보성녹차’ 2025 APEC 한중 정상회담 국빈 만찬에 올라
보성군의 대표 특산품 ‘보성녹차’가 지난 11월 1일 경북 경주에서 열린 2025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한중 정상회담 만찬에서 후식으로 제공돼 세계 각국의 주목을 받았다. 만찬에서는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중 수교 33주년을 기념해 한국의 삼색 매작과와 삼색 과일이 제공됐고, 이어 ‘보성녹차’가 중국 전통 디저트인 지마구와 함께 제공돼 만찬의 마무리를 더욱 품격 있게 장식했다. 특히, 이날 식단에서 ‘보성녹차’는 유일하게 지명(地名)이 표기된 지역 브랜드로, ‘녹차수도 보성’의 이름이 세계 정상들의 식탁에 오르며 글로벌 명차(名茶)로서의 상징이 됐다. ‘보성녹차’는 농산물 지리적표시 제1호로 등록돼 있으며, 지하 암반층 위에 쌓인 비옥한 토양과 잦은 안개 등 천혜의 자연환경 속에서 재배되고 있다. 또한, 항암효과·피부 보습·노화 방지 등 다양한 유효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친환경 인증을 통한 엄격한 품질관리를 통해 그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역사적으로도 보성은 『동국여지승람』에 차(茶) 재배지로 기록될 만큼 대한민국 전통 차 자생지로 자리매김해 왔으며, 과거 왕실에 진상되던 명차로서의 명성 또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보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재)부산디자인진흥원 부산 도시브랜드 가치 높이고 함께 성장할 2026년 상반기 부산 브랜드숍 팝업스토어 운영 업체 모집
부산시와 (재)부산디자인진흥원은 부산 도시브랜드 활용을 극대화하고, 지역 기업이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2026 상반기 부산 브랜드숍 팝업 행사’ 개최 희망 업체를 11월 3일부터 25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부산 브랜드숍 ‘Big Shop(Busan is good Shop)’은 중구 광복로에 위치한 도시브랜드 플랫폼으로, 부산의 정체성과 매력을 담은 다양한 도시브랜드 굿즈를 전시·판매하고 있다. 1층은 지역 기업과 협업하는 팝업스토어로, 2층은 부산 도시브랜드 굿즈 전시 및 판매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올해 총 4개 지역기업이 참여한 브랜드숍 팝업스토어를 성공적으로 운영해, 지역기업이 도시브랜드를 활용해 함께 성장하고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 이어 시와 진흥원은 브랜드숍의 민간 협력 모델을 지속하기 위해 2026 상반기 부산 브랜드숍 팝업스토어 운영 참여기업을 11월 3일부터 25일까지 모집한다. 모집 대상은 부산시에 본사 또는 지사를 둔 기업으로, 부산 도시브랜드를 활용한 굿즈(상품) 또는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부산 도시브랜드 가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기업이다. 또한 기업 간 컨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