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인사이트] 차세대 주류시장 이끌 3대 키워드는?!

‘무알코올·건강·수제’, 주류시장 핫 키워드

세계 주류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2조 달러(2,432조 원), 총 소비량은 2,711 백만 리터로 추정된다.
건강, 웰빙을 중시하는 소비문화가 퍼지며 주류 시장은 새로운 변화에 직면했다. 향후 재편될 주류 시장의 흐름에 대해서 살펴본다.

 

주류시장서 뜨는 무알콜음료

2019년 세계 주류 품목별 매출액을 보면 맥주 소비량이 664,344백만 달러(약 808조 원)로 다른 주류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하지만 2019~2024년 예상 연평균 성장은 3.2%로 와인(6%), 증류수(4.1%)보다 낮다.

 

 

주류 시장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보이는 건 아이러니하게도 무알코올 음료이다. 같은 기간 연평균 23.1%의 성장률이 예상돼 주류 업계에서도 관련 제품 개발에 한참이다.

 

밀레니얼 세대가 주 소비세대로 등장하며 과거와 음주 문화가 달라졌고, 건강과 웰빙이 메가트렌드로 자리 잡은 것이 주 원인으로 해석된다.

 

 

일본에서는 게코노미쿠스(ゲコノミクス : 술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 모임)가 주류 시장에 소비층으로 떠오르며 빠르게 성장 중이다. 일본의 무알코올 시장의 가치는 약 3,000억 엔(약 3조 원)으로 평가된다.

 

이에 반해 보드카, 럼주, 주정강화와인(알코올 도수를 18%이상 높인 와인)처럼 도수가 높은 주류는 하락세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친환경 소비하는 주류 시장

술을 보다 더 건강하게 마시려는 추세에 맞춰 과일이나 채소가 들어간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미국의 21Seeds(씨드)는 가장 잘 익은 오이, 오렌지, 자몽 등을 활용해 만든 데킬라를 선보였다. 화학 물질이나 착색제가 일절 포함되지 않았다.

 

 

천연성분 음료로 맛뿐만 아니라 150kcal의 저칼로리 술로 인기를 끈다. 21씨드는 최적의 맛을 내고자 증류소에 맞춤형 냉장 시스템을 구축했다.

 

친환경 소비 방식은 주류 시장에도 영향을 끼쳤다. 주류 제품을 선택할 때도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고려하는 소비자가 갈수록 늘고 있다. 이에 미국의 풀 세일 브루잉(Full Sail Brewing) 기업은 맥주 생산에 사용되는 물 소비량 줄이기에 나섰다.

 

 

맥주 양조장에서 맥주를 만들 때 6~8갤런(22~30리터)의 물을 필요하나 풀 세일 브루잉은 3갤런(11리터)으로 낮췄다. 이를 통해 매년 310만 갤런(1,100만리터)의 물을 절약하고 있다.

 

또한, 매월 풍력 발전기를 정기적으로 도입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하는데 투자한다. 맥주를 만들고 남는 곡물은 지역 농부에게 제공해 사료로 사용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양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기울인다.

 

활짝 열린 수제 맥주 시장

글로벌데이터의 소비자조사(2018년)에 따르면 밀레니얼 세대 약 35%가 수제 맥주에 대한 구매 의사를 밝혔다. 기성 맥주 소비는 둔화된 반면 소형 양조장마다 독특한 제조법으로 만든 수제 맥주에 대한 관심은 높다.

 

2013년 미국 콜로라도주에 설립한 와일리 루츠 브루잉 컴퍼니(Wiley Roots Brewing Company)는 매해 독특한 수제 맥주를 선보이고 있다.

 

 

메이플&피칸 스튜르델(독일식 패스츄리) 밀맥주는 맥주에 패스츄리 향이 첨가돼 쌉싸름하면서 달콤한 맛이 특징이다. 지난해에는 6주년을 기념해 체리와 라임을 곁들인 체리&라임에이드, 모히토 슬러시, 로제 슬러시 등 수제맥주를 한정 출시했다.

 

 

미국에는 8,000개가 넘는 소규모, 독립 양조장이 있으며, 지역마다 맥주 애호가를 위한 개성 있는 맥주를 찾아볼 수 있다. 매년 그레이트 아메리칸 비어바((Great American Beer Bars)를 주 별로 선정한다.

 

우리나라도 주세법이 종가세에서 종량세로 개편되고,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이 가능해지며 소규모 양조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된다. 맛, 향의 차별성이 중요한 만큼 지역 농산물 소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코로나19 이후 집에서 주류소비를 하는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에 소형 양조장들도 와일리 루츠 브루잉 컴퍼니처럼 드라이브 스루 등 비대면 판매 방식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한식창업 선호도 1위 ‘국밥’의 모든 것, '한우국밥&미나리곰탕' 비법전수
잘 팔리는 강력한 상품으로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외식사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이번 메뉴개발 아이템은 점심 한 끼 식사로도 저녁 장사로도 접근성이 좋은 ‘국밥’이다. 한식 창업 선호도 1위인 ‘국밥’은 계절을 타지 않는 꾸준한 수요와 최근엔 배달 창업 아이템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오는 11월 27일(목) ‘한우국밥’, ‘미나리곰탕’ 비법 레시피 전수 ‘국밥’은 다양한 종류만큼 특색 있는 맛과 각기 다른 매력으로 매일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음식으로 꼽힌다. 그중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들과 유명 국밥맛집을 비교·분석, 국밥계의 베스트셀러인 명품 ‘한우국밥’과 떠오르는 신예 ‘미나리곰탕’ 비법을 전수하는 교육과정이 오는 11월 27일(목) 진행된다. 먼저 대파와 무. 그리고 양지, 사태 등 소고기가 한 솥에 어우러져 시원하고 깊은 맛을 자랑하는 원조 한우국밥 비법을 전수한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칼칼하고 매운 국물을 위해 소기름과 고춧가루로 만든 고추기름을 넣어 텁텁하지 않고 깔끔하게 매운맛을 가미했다. 또한 최근 국밥전문점에서 매출 견인의 효자메뉴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미나리곰탕’ 레시피도 함께 전수한다.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한식창업 선호도 1위 ‘국밥’의 모든 것, '한우국밥&미나리곰탕' 비법전수
잘 팔리는 강력한 상품으로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외식사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이번 메뉴개발 아이템은 점심 한 끼 식사로도 저녁 장사로도 접근성이 좋은 ‘국밥’이다. 한식 창업 선호도 1위인 ‘국밥’은 계절을 타지 않는 꾸준한 수요와 최근엔 배달 창업 아이템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오는 11월 27일(목) ‘한우국밥’, ‘미나리곰탕’ 비법 레시피 전수 ‘국밥’은 다양한 종류만큼 특색 있는 맛과 각기 다른 매력으로 매일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음식으로 꼽힌다. 그중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들과 유명 국밥맛집을 비교·분석, 국밥계의 베스트셀러인 명품 ‘한우국밥’과 떠오르는 신예 ‘미나리곰탕’ 비법을 전수하는 교육과정이 오는 11월 27일(목) 진행된다. 먼저 대파와 무. 그리고 양지, 사태 등 소고기가 한 솥에 어우러져 시원하고 깊은 맛을 자랑하는 원조 한우국밥 비법을 전수한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칼칼하고 매운 국물을 위해 소기름과 고춧가루로 만든 고추기름을 넣어 텁텁하지 않고 깔끔하게 매운맛을 가미했다. 또한 최근 국밥전문점에서 매출 견인의 효자메뉴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미나리곰탕’ 레시피도 함께 전수한다.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