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이슈]'일본 꼬리표'에 불똥 튄 소상공인

"일본 불매운동이 워낙 거세져서 주변 시선들 때문에 초밥이나 라멘, 카레 파는 곳들 가기 꺼려지는 것 같아요.“


일본 경제보복으로 촉발된 일본불매운동의 '불똥'이 애꿎은 소상공인에게 튀고 있다.

한일갈등이 고조되면서 일식당과 로바다야끼, 라멘집 등 일본식 음식점이 된서리를 맞는 가운데 국산 원재료를 사용하고 주인과 직원이 모두 한국인인 매장까지 불매운동의 피해를 입고 있다.


이번 일본 불매운동은 예전과 다르다고 한다. 우선, 국민 스스로 시작한 부분이 상당히 많이 있고, SNS라는 강력한 전염성 있는 매개체도 큰 몫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애국심을 이용한 마녀 사냥식의 무조건적인 불매운동의 사각지대가 생긴다면 애꿎은 피해자가 생길 수 있다. 결국 그들도 우리 옆집에 사는 이웃일 뿐이다.

 

일본식 이름 브랜드, 잘못된 불매운동 지양해야

일본 음식을 판매하는 자영업자들은 조류독감이나 광우병처럼 스스로 절대 피하기 힘든 일본 불매운동과 마주하게 됐다.

 

일식 전문점은 우리 외식시장에서 주류가 된지 오래다.

일본 음식으로 대변되는 스시 매장이나 라멘집, 이자카야 등은 식자재도 대부분 국내산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런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매장의 주인도 대부분 한국인 자영업자이다. 일하는 종업원 대부분도 한국인이다.

 

'일본 꼬리표'가 붙었다는 이유로 소상공인들의 애꿎은 피해가 늘고 있는데, 특히 일본식 브랜드명을 가지고 있는 도쿄스테이크, 아리가또맘마, 멘무샤 등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잘못된 불매운동으로 큰 타격을 입고 있다.

 

견디지 못한 몇몇 음식점은 국산 원재료만을 사용한다고 써붙이거나 홍보에 나섰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여전히 냉랭하다.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 특히 외식 브랜드 중에는 일본식 조리방법으로 브랜드화시켜 전국에 가맹점을 오픈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국내 토종브랜드로 국산재료로 만들어진 자생적으로 100% 토종브랜드이다. 일본과는 아무런 연관 관계가 없다.

 

SNS 소셜네트워크 상에서는 “일본에게 지지 않겠다고 옆집 사장님 망하게하면 안됩니다”, “일본을 향해 경고를 줄 수 있도록 조금 더 합리적인 불매운동이 필요하다.”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회적 분위기에 휩쓸려 맹목적인 불매운동을 전개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봤을 대 일본의 수출규제 이상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애꿎은 소상공인 피해로 인한 내수경기 침체 등이 발생할 수 있을 만큼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자는 정부 차원의 캠페인도 전개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이번 불매운동으로 인해 외식분야 등 자영업자들의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며 “일본과 관련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불매운동의 타겟이 되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명한 불매운동 방향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우리 영세상인들이 피해를 보지 않는 선에서 불매운동이 전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딸기막걸리’, 2025년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 최우수상 수상
진안군에 자리한 농업회사법인 (주)성수주조장의 ‘딸기막걸리’가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주관하는‘2025년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에서 저도수 탁주 부문 최우수상을 받았다.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는 우리술의 품질 향상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0년부터 시작된 국내 유일의 정부 주관 전통주 경연대회로, 올해는 전국 246개 양조장에서 총 402개 제품이 출품됐다. 그 중 ‘딸기막걸리’가 저도수 탁주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받는 영예를 얻었다. 100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농업회사법인 ㈜성수주조장의 ‘딸기막걸리’는 진안산 고당도 딸기가 주세법상 과실 최대 함량 수치(20%)에 근접한 19% 이상 함유된 제품이며, 20여 일간 3번 빚은 뒤 한 달간 저온 숙성을 거쳐 그 맛과 향이 깊다. 이 제품은 과거에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은 물론, 세계 3대 주류 품평회 중 하나인 ‘몽드 셀렉션’금상, 국제식음료평가원 은상, 홍콩 주류박람회 동상 수상 등 전 세계적으로 그 품질을 인정받은 바 있다. 진안군 관계자는 “지역 농특산물로 생산된 우수 전통주가 한국 최대규모 전통주 경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여 매우 자랑스럽다”며, “앞으로도 진안군 전통주의 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기획]'딸기 막걸리'부터 '장미청'까지..고양시 농업창업의 도시로
고양특례시가 농산물가공지원센터의 혁신으로 농업인의 창의성과 기술, 유통을 아우르는 종합 창업 플랫폼을 구축하며, 단순 가공시설을 넘어 농업의 산업화를 실현하는 선도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시는 2017년 덕양구 원흥동 농업기술센터 내에 농산물가공지원센터를 개소한 이후, 2021년부터 1년 10개월간의 증축 공사를 거쳐 2023년 9월 공유주방으로 운영방식을 전환했다. 창업 농업인을 위한 전 주기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농산물가공지원센터는 순수 가공시설을 넘어 농업인이 직접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창업의 거점”이라며 “앞으로도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 아우르는 전방위 지원으로 농업인의 자립과 성장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이디어가 상품으로...‘딸기 막걸리’,‘꽃청’등 창의 제품 개발 지원 고양시는 농산물가공지원센터를 공유주방 기반 창업지원 체계로 전환하면서, 농업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실제 제품으로 탄생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구조로 진화하고 있다. 시는 '농업인 농산물가공제품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2024년에는‘딸기 막걸리’와 ‘꽃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흑염소 보양탕· 전골· 흑염소불고기' 흑염소 요리의 모든것 전수한다
이제 개고기 대신 '흑염소'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후 바로 외식현장에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한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셰프가 맡아 현장 중심 교육으로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 낸다. 미토요 대표메뉴 수타 ‘사누키우동’ 기술전수 레시피 개발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