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식품동향]아시아식품 수요 증가하는 크로아티아

유럽 국가 크로아티아에서 지난 5년간 아시아 식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세를 보여왔다.

그 중 아시아식 면류 및 라면 매출은 각각 18.5%, 49.6% 성장했다.  또한, 한국을 찾아 식문화를 경험하는 유럽 관광객 증가, K-POP, K-Beauty 영향으로 한국식 라면, 김치, 김 등을 찾는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크로아티아 식·음료 시장 규모

2018년 크로아티아의 식품 음료시장 규모는 40억 유로 규모로 2010년 이후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44억 유로 규모로 예상된다.

 

 

2018년 기준 유제품, 제과제빵 제품, 육류 및 육가공식품, 컨펙셔너리(단간식류) 순으로 높은 매출을 보이고 있다. 이 중 성장세가 큰 제품군은 유제품, 제과제빵 제품 및 간편식이다.

 

크로아티아 통계청 및 유로스타트(Eurostat)의 조사 결과을 보면 크로아티아는 유럽에서 총 가계지출 중 식료품비 차지 비중 1위 국가로 루마니아와 세르비아가 각각 26%, 22%로 뒤따랐다. 영국은 7.2%로 유럽에서 식료품 지출이 가장 적다.

 

라면 등 아시아 면류에 대한 수요 증가

유로모니터(Euromonitor International)에 따르면 2019년도 면류 판매는 1450만 쿠나(약 194만 유로)를 기록했고 2014년 이후 매년 3.40% 성장했다.

 

 

이 중 2014~2019년 크로아티아의 아시아식 라면 판매량은 2014년 210만 쿠나(약 28만 유로)에서 2019년 320만 쿠나(약 43만 유로)로 5년 동안 50% 이상 증가, 컵라면과 라면이 전체 매출에서 각각 70%, 30%를 차지했다.

 

요리용 아시아식 면의 판매도 2014년 이후 꾸준히 성장해 2019년 1130만 쿠나(약 151만 유로)의 매출을 올렸다. 라면 품목에서 인기가 많은 브랜드는 Blue Dragon(영국), Indomie(인도네시아), Nissin(일본) 제품이며, Indofood는 낮은 가격을 경쟁력으로 인기가 상승하고 있다.

 

 

KOTRA 자그레브 무역관에서 조사한 크로아티아 식료품 소매점 1위 브랜드 콘줌(Konzum)의 아시아식 라면·식품 판매 현황에 따르면 식품 코너는 크게 소스류(간장, 테리야키, 고추냉이, 핫소스, 카레 등)와 면류(컵라면, 봉지라면, 소면 등)로 나눌 수 있다.

 

그 외 라이스페이퍼, 식초, 마늘, 김 등도 판매하며,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제품과 서유럽 식품 글로벌 기업인 네슬레(Nestle)의 식품 브랜드인 마기(Maggi)의 제품을 찾아 볼 수 있다.

 

 

크로아티아 수도 자그레브 소재 아시아 식료품점은 Asia Store, Asian Cash&Carry, Beijing Duck, Kim’s Kitchen Korean Mart로 총 4곳이다.  Asia Store는 아시아 식품 전문 벤더로 소매점 외에 크로아티아 내 다수의 중국 음식점 및 쇼핑몰 내 중식 간편 식당을 운영한다.

 

한국 제품에 대한 니즈는 2015년부터 확연하게 늘었으며, 특히 라면과 김치의 수요가 가파르게 성장했다. 이는 급증하는 한국인 관광객(2013년 7만 4001명에서 2018년 40만 8110명으로 증가)으로 인해 한국에 대한 인식 확산이 제품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아직 크로아티아 식품 음료 시장 규모 중 아시아식 면류 시장의 비중은 미미하지만 최근 5년간의 면류 및 라면 시장이 50% 이상 성장했고 향후도 이러한 흐름은 이어질 전망이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화이트비, 도마여사 여부희 명장과 손잡고 ‘K-도마 세계화 프로젝트’ 시동
커뮤니케이션 아티스트 그룹 화이트비(WHITEB)가 대한민국 대표 엔드그레인 도마 장인 도마여사 여부희 명장과 함께 ‘도마여사 마스터피스 에디션’ 와디즈 앵콜 감사 펀딩을 11월 7일 오후 2시에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서는 ‘도마는 평생 단 하나면 된다’는 여부희 명장의 철학이 담긴 ‘100년 도마’를 선보이며, 펀딩금은 ‘K-도마 세계화 프로젝트’를 위한 신제품 개발 및 대한민국 본질 예술가 브랜딩 마케팅 지원에 투자할 예정이다. 3.2억 펀딩, 평점 5.0점 신화… ‘100년 도마’로 대한민국 주방의 품격을 바꾸다 도마여사 여부희 명장은 누적 펀딩액 3.2억, 평점 5.0을 달성하며 K-도마의 우수성을 증명한 바 있다. 여부희 명장은 기존 도마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칼집, 거스러미, 세균 번식 등으로 몇 개월에 한 번씩 도마를 교체해야 했던 요리인들의 평생 골칫거리를 해결하는 데 주력했다. 그 결과, 김칫국물이나 냄새 스밈, 칼자국, 뒤틀림, 손목 및 칼날 보호 등 도마의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 100년 이상 사용 가능하며 대대손손 물려줄 수 있는 도마 ‘마스터피스 에디션’을 완성했다. 19만6000시간 바쳐 이룬 ‘K-도마’ 독보적 기술력의 비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