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최고의 제과 전시회 독일 쾰른 ISM 2023, 올해 더욱 특별하다

70개국 1,200 개사, 32개 국가관으로 올해도 열띤 전시장 예상
제과 업계에 닥친 어려움 돌파구 마련을 위한 ‘논의의 장’ 될 것

국제 제과 전시회 ISM 2023이 오는 4월 23일에서 25일까지 3일간 독일 쾰른에서 개최된다. 총 6개의 홀에서 초콜릿, 비스킷, 스낵류, 아침식사 대용의 간편식과 유기농 제품, 그리고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홈베이킹 유행에 맞추어 생지와 냉동 제과류까지, 더욱 확장된 제품 스펙트럼을 한 자리에서 만나 볼 수 있다.

 

 

70개국 1,200여 개 업체가 참가 예정으로, 올해도 역시 제과업계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음을 보여줬다. 세계적인 제과 기업 벨기에의 바로니(Baronie), 이탈리아의 로아커(Loacker), 스페인의 발로르(Valor), 오스트리아의 마너(Manner), 덴마크의 탐스(Toms) 등의 참가는 ISM 2023의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

 

또한 32개의 국가관과 더불어 중국,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대만 업체까지 대거 참가하면서, 올해는 ISM의 국제성이 더욱 돋보일 예정이다.  

 

특히 ISM 2023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올해의 키워드 “Encourage. Enable. Excite!”에 있다. 최근 국제 곡물 가격 급등과 원유 가격의 인상으로 제과업계가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에, 이를 타개하기 위한 공론장의 필요성이 두드러졌다. ISM 2023은 글로벌 인플레이션 기조 속에서 해결책 모색을 위한 업계 내 국제적 협력과 교류에 강조점을 찍는다.

 

그 일환으로, “인플레이션이 유럽 제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국제 시장 조사 기관 ‘유로모니터 (Euromonitor)’의 리서치 분석가 트리스탄 호버가 강연을 할 예정이다. 강연은 전시 첫날인 23일 Expert Stage에서 진행된다. 전시 마지막 날인 25일에는 Expert Stage에서 식자재 유통 연구 디지털 플랫폼 시드트레이스(Seedtrace)가 에너지 위기와 원자재 공급 및 조달 문제에 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본격적인 코로나 엔데믹 체제로의 전환을 맞이하는 해인 만큼, 올해의 트렌드를 한발 앞서 파악하여 전화위복(轉禍爲福)의 기반을 다져야 한다. ISM 2023은 제과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해답과 올해의 소비 흐름을 한눈에 확인할 유일무이한 기회다.  

 

혁신 제품 특별 전시 'New Product Showcase'

 

제과 산업의 트렌드를 “선견(先見)과 선점(先占), 그리고 선도(先導)”하기 위해서는 ISM의 “New Product Showcase”에 주목해야 한다. 업계 변화를 선도하는 혁신적인 제품과 새로운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New Product Showcase”는 ISM에 방문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이다.

 

지난 회 2위를 수상한 네덜란드의 Mitsuba는 아시아 지역에서 오랫동안 소비되어 왔던 ‘김’을 활용한 과자로 이목을 집중시켰다. New Product Showcase는 ISM 전시장 내 5.2홀에서 전시된다

 

트렌드를 보여주는 제과 시상식 ISM Award와 ISM Consumer Awards

 

매년 개최되는 ISM의 대표 행사 “ISM Award”는 올해 더욱 특별하다. 전문가가 당해 제과산업의 혁신에 크게 기여한 제품을 선정하는 ISM Award와 더불어, 전시회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의 투표를 기반으로 수상작을 선정하는 ISM Consumer Awards가 처음으로 개최되기 때문이다. 이로써, 전문가의 관점에 대중의 시선이 더해져 한 해의 트렌드를 더욱 면밀히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오직 ISM 2023에서만, 이색적인 경험의 공간 Lab 5

올해 ISM의 하이라이트는 5.2 홀에 위치한 “Lab 5”이다. “특별한 경험”을 테마로 꾸며진 Lab 5는 최적의 비즈니스 장소이다. 올해는 “낮카밤바(낮에는 카페, 밤에는 바)” 컨셉에 착안하여, 낮에는 기존의 Coffee Bar로 운영되는 Lab 5가 오후에는 쾰른 지역 대표 맥주를 제공하는 쾰쉬(Kölsch)바로 바뀐다. 편안한 자리에서 다양한 업계 관계자가 ‘소통’할 수 있도록 이색적인 방편을 마련한 것이다. 또한 제품을 직접 맛볼 수 있는 샘플 체험과 신규 업체와 스타트업을 위한 공간도 마련된다.

 

ISM은 제과기자재 전시회 “프로스윗츠쾰른(Prosweets Colonge) 2023” 과 동시 개최된다. 이로써, 제과 산업의 원자재 생산부터 포장까지 전 과정의 관계자 간 더욱더 활발한 네트워킹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 사항은 ISM 주최사 쾰른메쎄의 공식 한국대표부 라인메쎄㈜ (02-798-4102, shyu@rmesse.co.kr) 에 문의할 수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전북자치도 미래 식품 패러다임 전환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본격 육성
전북특별자치도가 초고령화와 개인 건강관리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 육성에 착수했다. ‘맞춤형 케어푸드’는 단순한 기능성 식품을 넘어, 개인의 유전정보·건강상태·식습관을 종합 분석해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는 고부가가치 식품을 의미한다. '맞춤형 케어푸드' 신산업 육성 통해 미래 먹거리 창출 14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국내 케어푸드 시장은 2022년 약 5천억원 규모로 전년 대비 15.3% 성장했으며, 연평균 8% 이상의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도 2023년 236억 달러에서 2028년 360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사회적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전북도는 과학적 근거 기반의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을 육성함으로써 식품분야 미래 먹거리 창출 뿐만 아니라, 국민 건강수명 연장, 사회경제적 부담 완화를 동시에 달성한다는 전략이다. 이번 계획은 ‘푸드테크,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R&D 강화’를 통한 미래농산업 전환’이라는 대통령 공약과도 맞물려 있으며, 관련 산업을 세계적 수준으로 육성한다는 국가적 목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D·기업지원·지역연계로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낮에는 예술, 밤에는 낭만 … 8월의 진주로 떠나는 특별한 여행
진주시는 역사·예술·미식이 어우러진 8월 이색 관광콘텐츠를 준비해 전국에 있는 가족단위 관광객을 초대한다. 진주시가 준비한 이색 관광콘텐츠는 빛으로 물든 진주의 여름밤을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와 무더위를 피해 아이들과 시원하고 유익하게 보낼 수 있는 실내 관광지를 포함한 ‘8월에 꼭 가봐야 하는 진주 여행 8선’을 엄선한 것. ‘8월에 꼭 가봐야 하는 진주 여행 8선’은 관광객들이 물과 빛이 흐르는 아름다운5 도시, 진주만의 매력을 느끼면서 황홀경에 빠지고, 낭만적인 여름밤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올여름 가장 빛나는 진주성의 밤,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은 다양한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콘텐츠를 진주성에 적용해 문화유산 가치를 쉽고 흥미롭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 사업은 국가유산청 공모사업으로, 진주시는 전국 8개의 미디어아트 사업 수행 지자체 중 유일하게 2년 연속 공모에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했다. 올해는 ‘법고창신, 진주성도’라는 주제로 오는 9월 7일까지 진주성 일원에서 펼쳐진다. ▲공북문의 융복합 미디어 파사드 ▲영남포정사의 소리와 빛으로 교감하는 인터랙티브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일본 ‘돈카츠’ 현지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전수창업 교육이 오는 8월 25일(월)에 진행된다. 두툼한 고기 두께의 ‘돈카츠’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수요층이 넒은 메뉴다. 등심 부위를 이용한 ‘로스카츠’, 안심 부위의 ‘히레카츠’, 돼지고기 사이에 치즈를 넣은 ‘치즈카츠’는 이제 남녀노소 모두 즐겨 찾는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 주재료인 돼지 안심과 등심 부위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해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고 우동, 소바 등 면류와 잘 어울려 객단가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다. 또한, 우동, 소바 등 다양한 메뉴와 구성을 할 수 있고 홀, 배달, 테이크아웃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이번 돈카츠 전수교육은 일본 도쿄에서 돈카츠전문점을 운영한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이 교육을 진행한다.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고기 손질 등 기초 과정부터 ▲돼지고기의 등심, 안심 손질 및 숙성방법, ▲시즈닝부터 빵가루의 종류 및 용도에 따른 사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