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탐방]어머니가 차려주는 한 상, 성수동 믹스커피카페까지, 5월의 신상맛집

 

커피와 티, 칵테일을 모두 맛볼 수 있는 취향 탐색 바, 이탈리아 남부 가정식을 기반으로 지중해 음식을 차려내는 다이닝 바, 프렌치 스타일을 기반으로 유러피언 퀴진을 선보이는 성수동 다이닝, 모던 광둥식 요리를 추구하는 아시안 레스토랑, 규방공예가가 오픈한 안국의 식문화 공간까지. 따뜻한 봄을 맞아 기지개를 켜고 활짝 문을 연 신예를 소개한다.


​어머니가 차려주는 한식 한 상, 규방도감집

 

지난 2월, 20년 이상 규방공예가로 활동한 우영미 작가가 식문화 공간 <규방도감집>을 새롭게 오픈했다. 여자들이 관장하는 ‘의식주’의 공간을 의미하는 업장명 그대로 침구와 한복을 제작하는 수예 작업실과 함께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이닝 공간을 조성했다. 다이닝 공간에서는 우영미 작가의 집안에서 내려오는 방식 그대로 만든 경상도 기반의 가정 요리를 한 상 차림 형태로 맛볼 수 있다.

 

 

현재는 생일 잔칫상에 올랐던 ‘삼신할머니상’을 모티프 삼아 ‘수육상’, ‘갈비 상’, ‘술 상’으로 나누어 선보이고 있다. 수육과 문어숙회, 잡채, 한우육전 등의 메인 요리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국과 반찬은 지리산 취나물, 포항 문어, 통영 홍합 등 각 지방의 제철 식재료를 활용해 매일 다른 스타일로 구성한다. 직접 만든 들기름과 참기름, 소금, 간장 등을 최소한으로 사용해 재료 본연의 맛을 최대한 살린다. 또한 모든 메뉴에는 동동주, 약주 등 맛을 북돋아주는 한국 술도 제공한다.

 

 

그릇은 모두 도예 작가 이세용의 작품으로, 요리와의 어울림과 견고한 내구성을 고려해 선택했다. 옛 정취가 그대로 남아 있는 공간은 장독대, 나무 소쿠리, 복북어, 목각 인형 등의 소품으로 꾸며 고풍스럽게 연출했다. 인테리어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부분은 바깥 풍경을 내부로 들여오는 것. 중정, 물치, 기와지붕 등 기존 한옥의 골조는 그대로 살리면서도 통창을 설치하고, 마당을 파내 건물에 단차를 주는 등의 마감 처리로 시각적인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

 

‘수육 상’은 다양한 한식 요리가 담긴 한 상 차림 메뉴. 도라지생채와 수육, 울외장아찌와 산초장아찌를 곁들인 문어숙회, 채식 잡채, 3종류의 나물, 더덕전, 연근전, 김치, 연잎밥, 미역국, 숭늉을 함께 즐길 수 있다. 수육에는 삭힌 콩잎장아찌를 함께 내는데, 짭조름한 양념이 담백한 수육에 감칠맛을 더해주고 콩잎의 향긋함으로 기분 좋게 마무리된다. 육해공의 진미로 완성한 ‘술 상’은 멸치와 고추장, 다시마와 채소구이, 채소전, 문어무침, 한우육전, 채소 겉절이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마와 채소구이는 멸치진젓을 찍어 먹는데, 멸치 살과 매운 고추, 고춧가루, 대파가 어우러져 매콤 짭조름한 매력을 선사한다. 함께 곁들이는 술은 경상남도 산청의 막걸리를 추천한다. 단맛이 적고 목 넘김이 부드러워 모든 요리와 두루 어울린다.

 

  • 규방도감집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1길 24-4 규방도감집

 

메밀단편

 

 

외식 브랜드 교촌에프앤비에서 올해 2월 영등포에 오픈한 메밀 전문점. 강원도 봉평의 순 메밀가루와 파주에서 3대째 이어오는 기름집의 들기름을 사용하는 등 식재료 선정부터 예사롭지 않다.

 

물, 들기름, 비빔, 바작 골동 4가지 스타일의 메밀 면요리와 메밀 전병 같은 곁들임 요리를 즐길 수 있다.

 

  • 메밀단편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2길 32 201호

 

코부네

 

교토의 가이세키 전문점 <기온 마루야마>를 거쳐 <스시산원>에서 헤드 셰프를 역임한 마준현 셰프가 서장원 셰프, 조현석 셰프와 함께 운영하고 있다. 코스는 계절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되며, 현재는 청어소바, 삼치 덴푸라, 새조개 초밥 등 제철 해산물을 활용한 요리를 맛볼 수 있다.

 

  • 코부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615 103동 지상1층 102호(아이파크)

 

뉴믹스커피

 

 

배민 창업자 김봉진이 믹스커피의 매력을 전파하기 위해 성수동에 론칭한 한국식 커피 전문점이다.

 

종이컵과 검은 커피 봉지가 꽂혀 있는 벽면 인테리어가 이곳의 정체성을 그대로 보여준다. 한국인이 선호하는 고소한 향미의 다양한 믹스커피를 맛볼 수 있으며, 떡와플, 오란다 등의 함께 즐길 레트로 스낵도 준비됐다.

 

  • 뉴믹스커피
  • 서울특별시 성동구 연무장3길 3 1층

 

서낭당

 

 

한식 기반의 안주와 샴페인, 전통주를 즐길 수있는 우드 파이어 바. ‘육회 쌈밥’과 농어찜 요리인 ‘연잎 파피요트’ 등 한국 고유의 맛이 담긴 메뉴가 주를 이룬다. 이외에도 안동 묵은지와 버터, 라면이 어우러진 ‘묵버라’, 단새우와 나박김치, 표고버섯된장을 곁들인 ‘단새우’ 등 주전부리 메뉴도 준비되어 있다.

 

  • 서낭당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1길 17-7 2층

 

혀끝에 감도는 아시아의 감칠맛, 소마

 

 

종로구 운현궁 인근 주택가 골목에 모던 광둥식을 추구하는 아시안 레스토랑이 새롭게 문을 열었다. 샌프란시스코의 미쉐린 1스타 중식 레스토랑 <미스터 지우스 Mister Jius’s>와 시드니의 <미스터 웡 Mr.wong>에서 광둥 요리를 익힌 문종현 셰프가 지난해 12월 오픈한 공간이다.

 

 

‘소마’라는 업장명은 문종현 셰프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생활한 지역 ‘South of Maket’의 약자에서 따온 것. 그곳에서 처음으로 편안한 삶을 즐겼던 기억을 떠올리며 <소마> 역시 오랫동안 추억될 공간으로 기억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름 지었다. 메뉴는 삼각지에 위치한 와인 바 <엔엠 NM>에서 합을 맞춘 이석용 셰프와 함께 개발했는데, 창펀, 바오자이판, 백합계란찜 등 정통 광둥 요리 위주로 구성됐다.

 

“제철 식재료와 광둥 요리의 조화로운 풍미, 그리고 한국의 장에서 느껴지는 깊은 감칠맛이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한다”는 두 셰프는 핵심이 되는 주재료의 맛을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고명, 소스, 재료의 배합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직접 끓인 맛간장과 씨간장, 후암동 ‘고창방앗간’에서 수급한 참기름 등 사용하는 조미 재료에도 많은 신경을 쏟는 편. 주류는 요리와의 마리아주를 고려해 스파클링 와인, 맥주, 하이볼 위주로 마련했다. 뱅쇼 역시 입안을 개운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레드와인을 끓여낸 후레몬즙과 스파클링 워터를 더해 완성한다.

 

 

공간은 주방을 마주한바 테이블과 홀로 나뉘며 한쪽 면을 차지하는 통창으로 주변 풍경을 훤히 내다볼 수 있다. 따듯하고 밝은 느낌의 목재와 격자무늬 몰딩, 팔각형으로 마감한 테이블 등으로 ‘동양의 미’를 강조했으며, 크고 작은 화분을 곳곳에 비치해 싱그러운 분위기가 감돈다.

 

‘창펀’은 그물망 모양의 쌀피에 다진 연근과 새우를 넣어 튀긴 후전분피에 말아 내는 광둥식 딤섬 요리다. 씹는 식감을 더하기 위해 데친 청경채를 고명으로 사용하고, 웍에 태워 훈연 향을 입힌 부추 소스와 참기름, 참깨, 산미를 더한 간장 드레싱을 뿌려 복합적인 풍미를 강조했다.

 

 

‘병어맑은찜’은 광둥식 맑은 생선찜 ‘칭정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메뉴. 병어 살을 발라 미소 된장에 재운 다음 호부추와 생강, 대파를 올려 찜기에서 쪄내고, 삭힌 고추를 섞은 백간장을 뿌려 마무리했다. 조리 마지막 과정에 땅콩기름을 끼얹어 고소한 풍미가 은은하게 느껴지는 효과를 냈다.

 

  • 소마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32길 49 1층

 [미식탐방] 5월의 새얼굴, 신상맛집은-2편으로 이어집니다.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메뉴개발·식당창업] 한식대가 오는 31일 '한방삼계탕&닭곰탕' 비법전수 한다
'한방삼계탕'과 ‘닭곰탕’으로 서민갑부 반열에 오른 식당의 비결을 전수한다. 왠만큼 이름이 알려졌거나 인지도가 있는 삼계탕 전문점의 기술을 전수를 받으려면, 수백만원의 전수비나 체인 가맹비를 내야한다. 30년 외식 컨설팅 알지엠컨설팅은 예비창업자와 업종변경을 고려중인 사업주들을 위해 비용적인 부담을 대폭 줄인 전문 업소용 레시피 전수과정을 진행,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외식 전수창업 전문가단이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 삼계탕 전문점을 비교·분석해 현장에서 직접 시연·시식하고 교육생들에게 검증된 레시피를 제공한다. 이번 삼계탕&닭곰탕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한식대가 ‘박종록 셰프’는 90년대초부터 30년간 국내 대형호텔의 한식셰프로 근무했으며, 2011년 북경교육문화회관이 오픈할 당시 총책임자로 중국에 건너가 현지 조리사들에게 한식 기술을 전수하기도 했다. 특히 국가에서 최상급 숙련 기능을 인정받은 셰프에게 주는 조리기능장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줄서 먹는 ‘명품삼계탕’부터 ‘닭곰탕’, 초계 샐러드까지 비법전수 1+2 혜택 ‘삼계탕’과 ‘닭곰탕’ 모두 닭을 재료로 하여 '탕'으로 만든다는 점에서는 그다지 큰 차이가 없다. 삼계탕과 닭곰탕에 들어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국민이 뽑고 전문가가 인정한 농촌체험휴양 ‘스타마을 20선’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체험휴양마을을 대상으로 국민과 함께 ‘스타마을’ 20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스타마을’ 선정은 각 지역의 고유한 특색과 자원을 바탕으로 차별화 전략을 가지고 있는 마을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농촌관광과 농촌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시작됐다. ‘스타마을 20선’은 지역 고유의 자원 활용, 체험콘텐츠의 독창성·차별성, 숙박·식사의 질, 스토리텔링, 타 관광자원과의 연계 등의 요소를 전문 심사위원단이 평가하고 국민 온라인 투표를 거쳐 전국의 1200여개 농촌체험휴양마을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20개 마을을 선정했다.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약선밥상과 핀란드식 사우나를 체험할 수 있는 ‘달래촌마을’을 포함하여 전통 다랭이논의 멋진 경치를 한눈에 담을 수 있는 ‘두모마을’, 국내 최초 치즈체험을 실시한 ‘임실치즈마을’, BTS의 영상 및 화보 촬영지인 ‘오성한옥마을’ 등이 선정됐으며, ‘스타마을 20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농촌여행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는'웰촌'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성우 농촌정책국장은 “앞으로 선정된 마을의 매력을 보여줄 수 있는 홍보 콘텐츠 제작, SNS 홍보를 집중지원 하는 한편, 스타마을 우수사례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식당창업] 한식대가 오는 31일 '한방삼계탕&닭곰탕' 비법전수 한다
'한방삼계탕'과 ‘닭곰탕’으로 서민갑부 반열에 오른 식당의 비결을 전수한다. 왠만큼 이름이 알려졌거나 인지도가 있는 삼계탕 전문점의 기술을 전수를 받으려면, 수백만원의 전수비나 체인 가맹비를 내야한다. 30년 외식 컨설팅 알지엠컨설팅은 예비창업자와 업종변경을 고려중인 사업주들을 위해 비용적인 부담을 대폭 줄인 전문 업소용 레시피 전수과정을 진행,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외식 전수창업 전문가단이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 삼계탕 전문점을 비교·분석해 현장에서 직접 시연·시식하고 교육생들에게 검증된 레시피를 제공한다. 이번 삼계탕&닭곰탕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한식대가 ‘박종록 셰프’는 90년대초부터 30년간 국내 대형호텔의 한식셰프로 근무했으며, 2011년 북경교육문화회관이 오픈할 당시 총책임자로 중국에 건너가 현지 조리사들에게 한식 기술을 전수하기도 했다. 특히 국가에서 최상급 숙련 기능을 인정받은 셰프에게 주는 조리기능장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줄서 먹는 ‘명품삼계탕’부터 ‘닭곰탕’, 초계 샐러드까지 비법전수 1+2 혜택 ‘삼계탕’과 ‘닭곰탕’ 모두 닭을 재료로 하여 '탕'으로 만든다는 점에서는 그다지 큰 차이가 없다. 삼계탕과 닭곰탕에 들어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