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FOOD 비즈니스]신생 벤처기업과 유명 노포의 콜라보로 탄생한 ‘낫토 초콜릿’

일본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 국내에서도 건강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접해봤을 ‘낫토’.

지금 일본에선 코로나19 여파로 낫토 등의 발효식품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시장조사 업체 '인테이지'는 4월 27일부터 5월 3일까지, 전국 슈퍼마켓 약 3000곳을 조사한 결과, 낫토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26.5% 급증했다고 전했다.

 

 

이런 인기를 반영하듯 최근 일본에선 ‘낫토초콜릿’이 등장, 화제가 되고 있다.

창업한지 3년 된 신생 벤처 식품회사와 지역을 대표하는 70여년 된 유명 노포와 콜라보로 탄생한 ‘낫토 쇼콜라 ZERO(제로)’

특유의 식감과 향으로 호불호가 갈리는 이 ‘낫토’가 초콜릿의 토핑으로 사용된다면 과연 그 맛은 어떨까?

 

신생 벤처 회사와 지역 유명 노포의 만남

78년 역사를 자랑하는 후쿠오카현의 초콜릿 전문점 ‘초콜릿 숍’과 엄선한 원료로 바른 먹거리를 선보이고 있는 식품기업 ‘소노모노 주식회사(sonomono®)’가 머릴 맞댔다.

“창업 이래 식품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재료가 가진 본연의 맛을 최대한 살리는 것을 목표로 해왔다. 이러한 신념이 소노모노 주식회사와 같았고, 뜻을 모아 ‘낫토 쇼콜라 ZERO(제로)’를 개발했다. ZERO(제로)는 무설탕 초콜릿을 의미한다.”고 초콜릿 숍의 관계자는 전했다.

 

 

‘초콜릿 숍’의 시그니쳐 상품인 ‘ZERO(제로) 초콜릿’의 경우 세계적인 초콜릿 박람회인 ‘살롱 뒤 쇼콜라(Salon du chocolat)’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몸에 좋은 이 건강한 초콜릿에 소노모노 주식회사에서 엄선한 낫토가 풍미를 더한다. 낫토는 전통기법으로 재배한 사가현산 콩을 원료로 프리즈 드라이 공법으로 만들어 진다고.

프리즈 드라이 공법이란 공기와의 접촉을 철저히 방지해, 재료를 얼렸다가, 저열로 천천히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끈적거리는 식감과 특유의 향으로 디저트로 적합하지 않은 낫토가 초콜릿과 어울릴 수 있도록 많은 연구를 시도했다. 그 결과 초콜릿의 식감은 더욱 바삭하게 하고, 특유의 냄새를 제거, 풍미를 배가시킨 세상에 하나뿐인 초콜릿을 완성했다.”고 관계자는 강조했다.

 

낫토×초콜릿의 콜라보레이션 ‘낫토 쇼콜라 ZERO’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낫토와 초콜릿의 콜라보레이션의 과정은 결코 순탄치는 못했다.

아무리 좋은 재료를 사용해서 서로 어울리지 않으면 의미가 없기에 최고의 맛을 위해 개발에 집중할 수 밖에 없었다.

최종적으로 출시된 2가지의 초콜릿을 탄생시키기 위해 무려 4~50개가 넘는 초콜릿을 만들며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만 했다.

 

 

그 결과 낫토와 함께 라즈베리가 토핑으로 들어간 ‘낫토 쇼콜라 ZERO 누아르(다크)’와 다양한 견과류와 낫토가 토핑으로 들어간 ‘낫토 쇼콜라 ZERO 밀크’, 두 종류의 초콜릿이 개발되었다.

 

‘낫토 쇼콜라 ZERO 누아르(다크)’는 다크 초콜릿을 베이스로 카카오 자체의 산미와 낫토의 은은한 향과 감칠맛이 어우러진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 새콤달콤한 라즈베리가 입안을 산뜻하게 해준다.

 

우유가 풍부하게 들어간 ‘낫토 쇼콜라 ZERO 밀크’는 누아르(다크)보다는 보다 초콜릿의 달콤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밀크 초콜릿의 부드러운 식감과 견과류의 바삭한 식감이 입안을 즐겁게 해준다. 초콜릿을 입안에 넣으면 입에서 녹는 동시에 달콤한 향기와 견과류와 낫토의 고소한 맛이 그 뒤를 잇고, 마지막으로 우유의 부드러운 맛을 입안을 감싼다.

 

보통 초콜릿은 커피나 차와 곁들여 먹지만, ‘낫토 쇼콜라 ZERO’는 위스키나 와인과 같은 주류와도 궁합이 잘 맞아 새로운 감각의 디저트를 찾는 일본인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딸기막걸리’, 2025년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 최우수상 수상
진안군에 자리한 농업회사법인 (주)성수주조장의 ‘딸기막걸리’가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주관하는‘2025년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에서 저도수 탁주 부문 최우수상을 받았다.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는 우리술의 품질 향상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0년부터 시작된 국내 유일의 정부 주관 전통주 경연대회로, 올해는 전국 246개 양조장에서 총 402개 제품이 출품됐다. 그 중 ‘딸기막걸리’가 저도수 탁주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받는 영예를 얻었다. 100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농업회사법인 ㈜성수주조장의 ‘딸기막걸리’는 진안산 고당도 딸기가 주세법상 과실 최대 함량 수치(20%)에 근접한 19% 이상 함유된 제품이며, 20여 일간 3번 빚은 뒤 한 달간 저온 숙성을 거쳐 그 맛과 향이 깊다. 이 제품은 과거에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은 물론, 세계 3대 주류 품평회 중 하나인 ‘몽드 셀렉션’금상, 국제식음료평가원 은상, 홍콩 주류박람회 동상 수상 등 전 세계적으로 그 품질을 인정받은 바 있다. 진안군 관계자는 “지역 농특산물로 생산된 우수 전통주가 한국 최대규모 전통주 경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여 매우 자랑스럽다”며, “앞으로도 진안군 전통주의 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기획]'딸기 막걸리'부터 '장미청'까지..고양시 농업창업의 도시로
고양특례시가 농산물가공지원센터의 혁신으로 농업인의 창의성과 기술, 유통을 아우르는 종합 창업 플랫폼을 구축하며, 단순 가공시설을 넘어 농업의 산업화를 실현하는 선도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시는 2017년 덕양구 원흥동 농업기술센터 내에 농산물가공지원센터를 개소한 이후, 2021년부터 1년 10개월간의 증축 공사를 거쳐 2023년 9월 공유주방으로 운영방식을 전환했다. 창업 농업인을 위한 전 주기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농산물가공지원센터는 순수 가공시설을 넘어 농업인이 직접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창업의 거점”이라며 “앞으로도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 아우르는 전방위 지원으로 농업인의 자립과 성장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이디어가 상품으로...‘딸기 막걸리’,‘꽃청’등 창의 제품 개발 지원 고양시는 농산물가공지원센터를 공유주방 기반 창업지원 체계로 전환하면서, 농업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실제 제품으로 탄생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구조로 진화하고 있다. 시는 '농업인 농산물가공제품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2024년에는‘딸기 막걸리’와 ‘꽃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흑염소 보양탕· 전골· 흑염소불고기' 흑염소 요리의 모든것 전수한다
이제 개고기 대신 '흑염소'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후 바로 외식현장에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한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셰프가 맡아 현장 중심 교육으로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 낸다. 미토요 대표메뉴 수타 ‘사누키우동’ 기술전수 레시피 개발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