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분기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은 31.8억불로 순항 중

라면‧소스류‧닭고기·포도, 동물용의약품·농약·종자·비료 등이 성장 견인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년 1분기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액(잠정)이 지난해보다 7.9% 증가한 31.8억불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농식품(K-Food)은 24.8억불로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하여 전년에 기록한 역대 1분기 최고 수출 기록을 다시 한번 경신했다. 대부분의 권역에서 수출이 증가한 가운데,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걸프협력회의(GCC, 37.9%↑)·유럽연합(EU영국포함, 34.1%↑)·북미(21.7%↑)·독립국가연합(CIS몽골포함, 15.7%↑) 순으로 높았다.

 

1억불 이상의 수출 실적을 보인 가공식품 중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 품목은 라면(27.3%↑), 연초류(14.5%↑), 소스류(9.1%↑)이다.

 

라면은 전 세계적으로 매운맛 유행이 확산하면서 중국, 미국 등 주요 시장뿐만 아니라 아세안, 유럽연합(EU), 독립국가연합(CIS), 걸프협력회의(GCC) 등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수출이 늘었다.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온·오프라인 유통체계를 유지하고 있고, 사회누리망(SNS)을 활용한 홍보도 한몫을 하고 있다. 연초류는 아랍에미리트(UAE) 등 걸프협력회의(GCC) 권역에서 한류 영향으로 한국산 얇은 담배에 대한 인기가 높고, 러시아, 몽골 등 독립국가연합(CIS) 권역으로 담배 수출이 증가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소스류는 고추장, 된장 등 전통적인 장류의 수출과 함께 현지 트렌드에 부합하는 ‘까르보불닭’, ‘불닭마요’ 등의 매운맛 소스, 한국식 치킨 양념 소스 등이 수출을 견인했다.

 

1천만불 이상의 수출 실적을 보인 신선식품 중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 품목은 포도(40.6%↑), 닭고기(14.1%↑)이다.

 

닭고기는 산란노계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베트남이 최대 수출국이며, 타국산과의 치열한 현지 경쟁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장세(13.0%↑)를 보였다. 삼계탕은 미국 내에서 간편식 소비 트렌드와 맞물려 가정간편식(HMR) 제품이 한인 마트 외에도 현지 유통매장 입점이 확대되면서 수출이 증가했다. 유럽의 경우, 지난해 첫 수출에 이어 올해가 수출 2년차이며, 1분기 수출 실적은 이미 전년도 수출 실적을 넘어섰다.

 

포도는 대만, 미국 등에서 선물용(프리미엄) 큰 송이보다 자가 소비용 작은 송이 판매 확대로 인해 수출이 증가했다. 정부는 녹색계 품종(샤인머스캣 등) 이외에도 국산 적색계 신품종(루비스위트, 레드클라렛 등)을 육성하면서 우리 포도의 수출 시장을 보다 확대할 계획이다.

 

농산업의 1분기 수출 실적도 7억불로 전년대비 2.3% 증가했다. 주요 수출 상위 품목은 동물용의약품, 농약, 종자, 비료이다.

 

동물용의약품은 2월 말까지 60.8% 성장한 66.4백만불 수출을 기록했다. 라이신, 백신, 의료기기 품목에서 수출이 증가하며 동물용의약품 전체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특히, 라이신(동물용 영양제)은 동유럽에서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174.0% 증가했으며, 백신은 중동 지역에서 양계 백신 수요 증가에 힘입어 16.6% 증가했다.

 

농약은 지난해(64.3%↑)에 이어 올해도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가며 33.7% 성장한 212.2백만불 수출을 기록했으며, 중국‧브라질‧베트남 시장 등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종자는 중국 등에서 국산 채소종자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에 힘입어 전년 대비 49.1% 증가한 12.6백만불을 기록했다. 비료는 주력 시장인 동남아에서 한국산 제품의 고품질 마케팅을 강화하여 전년 대비 16.9% 증가한 116.4백만불을 수출했다.

 

농식품부 강형석 농업혁신정책실장은 “대외 불안정 요인에도 1분기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 실적이 호조세를 보인 이유는 민·관이 ‘수출 원팀’이 되어 각고의 노력을 한 결과”라고 하면서, “정부는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이 성장세를 이어가 금년 수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대외 리스크 대응을 강화하면서 우리 수출기업의 애로 해소와 품질 경쟁력 강화, 물류 인프라 지원, 시장 다변화 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급식 1위 노하우 담았다! 삼성웰스토리, '스페셜 메뉴 솔루션 북'
삼성웰스토리가 식자재를 공급하는 케이터링(급식) 고객사를 지원하기 위해 ‘급식 스페셜 메뉴 솔루션 북’을 제작했다. 이번 솔루션 북 제작은 식자재 고객사 성장을 돕는 360솔루션의 일환이다. 삼성웰스토리는 “중소형 케이터링 고객사가 고객 선호도가 높은 프리미엄 메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솔루션 북은 오피스, 대학, 병원 등 급식 업종별 트렌드와 그에 맞는 스페셜 메뉴 정보를 담았다. 삼성웰스토리는 식자재 영업 전문가인 SD(Sales Developer)를 통해 8월부터 케이터링 고객사에 배포할 예정이다. 산업체와 오피스 구내식당은 창립기념일처럼 고객 기대가 높은 스페셜데이를 타깃으로 한 특식 메뉴를 추천했다. 대학교 학생 식당은 가성비를 추구하면서 화려한 색과 독특한 플레이팅으로 SNS(사회관계망서비스) 공유를 자극하는 메뉴로 구성했다. 또 병원·요양시설 급식은 영양을 유지하면서 맛과 질감을 개선한 연하 보조식과 면역력 증진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건강 강화 메뉴를 제안했다. 메뉴에는 예상 식재료비와 식자재 주문에 필요한 정보를 기재했다. 한 상 차림으로 같이 내기 좋은 부찬과 국을 추천하는 세트도 덧붙였다. 이 밖에도 유명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수원에서 '근대여행 골목길 투어' 참여하세요!
수원시는 수원 신작로(향교로 일원)에 남아 있는 근대 역사자원을 활용한 ‘근대여행 골목길 투어’를 운영하고 있다. ‘근대여행 골목길 투어’는 수원의 근대문화유산을 알기 쉽게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한 현장 중심형 역사문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속 여행 코스 ‘산루리 모-단길’은 수원화성이 위치한 팔달구의 옛 지명 ‘산루리’와 근대를 상징하는 단어 ‘모던’의 옛 발음 ‘모-단’의 합성어다. ‘산루리 모-단길’은 ▲구 경기도청에서 출발해 중앙도서관, 수원향교를 거쳐 매산초까지 걸어가는 ‘1코스’ ▲교동 인쇄골목에서 출발해 수원문화원, 부국원, 팔달사를 지나 남문로데오 공연장에 이르는 ‘2코스’로 구성됐다. 수원시는 ‘산루리 모-단길’ 해설 투어를 2025년 12월까지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총 6회 운영한다. 초등학생 이상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지난 7월 25일부터 모바일 스탬프 투어 프로그램도 운영을 시작했다. 참여자는 각 문화유산 앞에 설치된 안내판의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해 스탬프를 받을 수 있다. 9개소 중 7개소 이상 방문 시 행궁사랑채에서 기념품도 받을 수 있다. 수원시는 정보통신기술(ICT)기술을 활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식당창업] 한식대가 오는 31일 '한방삼계탕&닭곰탕' 비법전수 한다
'한방삼계탕'과 ‘닭곰탕’으로 서민갑부 반열에 오른 식당의 비결을 전수한다. 왠만큼 이름이 알려졌거나 인지도가 있는 삼계탕 전문점의 기술을 전수를 받으려면, 수백만원의 전수비나 체인 가맹비를 내야한다. 30년 외식 컨설팅 알지엠컨설팅은 예비창업자와 업종변경을 고려중인 사업주들을 위해 비용적인 부담을 대폭 줄인 전문 업소용 레시피 전수과정을 진행,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외식 전수창업 전문가단이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 삼계탕 전문점을 비교·분석해 현장에서 직접 시연·시식하고 교육생들에게 검증된 레시피를 제공한다. 이번 삼계탕&닭곰탕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한식대가 ‘박종록 셰프’는 90년대초부터 30년간 국내 대형호텔의 한식셰프로 근무했으며, 2011년 북경교육문화회관이 오픈할 당시 총책임자로 중국에 건너가 현지 조리사들에게 한식 기술을 전수하기도 했다. 특히 국가에서 최상급 숙련 기능을 인정받은 셰프에게 주는 조리기능장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줄서 먹는 ‘명품삼계탕’부터 ‘닭곰탕’, 초계 샐러드까지 비법전수 1+2 혜택 ‘삼계탕’과 ‘닭곰탕’ 모두 닭을 재료로 하여 '탕'으로 만든다는 점에서는 그다지 큰 차이가 없다. 삼계탕과 닭곰탕에 들어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