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감각으로 만든 약과 ‘생과방’
‘생과방’은 전통 약과의 고유한 형태를 지키면서도, 다채로운 맛으로 현대적인 감각을 더한다.
구수한 누룽지 향과 화이트 초콜릿의 조합이 신선한 ‘바닐라 누룽지’, 유기농 보성 녹차와 발로나 초콜릿이 부드럽게 어우러진 ‘녹차’, 단호박 반죽 위에 라즈베리를 얹은 ‘단호박 라즈베리’ 등 익숙한 재료를 새로운 조합으로 만나게 된다. 모든 제품은 국내산 조청만을 사용해 집청하고, 온도와 습도, 건조 시간까지 정교한 관리 속에서 완성된다. 4구, 8구, 12구, 16구 구성으로 만나볼 수 있으며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품은 보자기 포장으로 선물의 격을 더했다.
조각마다 새겨진 유산 ‘선미한과’
강릉 사천면 130년 한과 마을의 유산 위에 켜켜이 쌓인 시간의 밀도를 품은 ‘선미한과’. 발효 찹쌀의 깊이 있는 고소함과 튀밥의 담백함이 만나 유과를 완성한다. 20일 넘게 자연 발효시킨 국산 백옥찰을 순수한 콩물만으로 반죽하고, 열풍 건조가 아닌 구들장 방식으로 건조하는 것이 유달리 고소한 맛의 비결. 폭신한 동시에 바삭한 식감은 균일한 부풀림을 위해 오롯이 손끝의 감각에 집중한 결과물이다.
한과마을 곳곳에 우직하게 서 있는 소나무를 닮은 녹색의 청송 보자기를 풀면 기본 찹쌀 유과를 비롯해 백년초, 포도, 커피, 치자로 맛과 향을 물들인 5가지 한과가 개별 포장으로 담겨 있다. 기계로는 흉내 낼 수 없는, 세대를 거쳐 고집스럽게 지켜온 전통의 결이 조각마다 고스란히 배어 있다.
하나의 잎에 머무는 마음 ‘한국제다’
맑은 물과 기름진 토양 그리고 따스한 햇살. 전남 호남다원에서 ‘한국제다’는 70년 넘게 직접 찻잎을 기르고 거두며 한국 녹차의 맥을 고집스럽게 이어가고 있다.
찻잎의 수확 시기와 가공 방식에 따른 다양한 차를 선보이는데, ‘우전감로 작설차’는 봄의 끝자락, 곡우가 지나기 전 수확한 찻잎으로 만들어 풋풋하고 그윽한 향을 지닌다. 함께 구성된 꽃잎과 잎새를 본 딴 스푼이 차를 마시는 시간을 더욱 향기롭게 장식해준다. 대한민국식품명인 서민수 명인의 손길 면면을 느낄 수 있는 ‘한국명인세트’도 준비되어 있다.
어린 잎을 반발효해 호박색 빛깔에 고소하고 은은한 향을 간직한 ‘황차’, 햇빛을 가려 더욱 진한 초록을 품은 어린 잎을 맷돌에 곱게 갈아 깊고 부드러운 풍미를 지닌 ‘말차’. 그리고 6년근 홍삼분말과 말차를 혼합해 담백하고 은은한 맛을 전하는 ‘홍삼 말차’가 정갈히 담긴다.
찻잎의 수확시기를 세심히 고려하는 태도는 한복 옷감 보자기 포장에서도 이어진다. 맑은 초록빛에 수놓인 꽃과 나비, 짙은 보랏빛에 스며든 꽃결, 형형색색 고운 색동무늬까지. 한국제다와 처음 만나는 고객에겐 복을 기원하는 색동으로 설렘을, 이후엔 계절별 어울리는 정서를 전한다.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