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체크] 똑똑해지는 주방

“오늘 아침엔 뭘 먹을까?” 스마트 냉장고의 전면 스크린에 현재 냉장고에 남아 있는 식재료로 요리할 수 있는 레시피가 뜬다.

 

추천 메뉴는 샐러드. 재료들을 꺼내 스마트 쿠킹 머신에 넣으니 입력된 레시피에 따라 채소들을 다듬고, 자르고, 섞어준다.

“발사믹 드레싱 부탁해.” 로봇 셰프가 찬장에서 병을 꺼내 샐러드에 드레싱을 뿌린다. 먼 미래의 일이 아니다.

 

 

모두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0’에서 공개된 기술이다.

주방이 점점 똑똑해지고 있다. 신선한 재료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주는 스마트 기기부터 가정용 조리 로봇까지 우리 생활을 바꿀 가전 기기들이 쏟아지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기술은 ‘스마트 냉장고’다. AI 기술을 탑재하여 효율적인 식재료 구매와 관리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파악하여 꼭 맞춘 식단까지 제안한다.

 

 

삼성이 올 4월에 선보일 ‘패밀리허브’는 이러한 푸드 AI 기술을 적용했다. 냉장고 내부를 확인하는 ‘뷰인사이드’ 기능을 업그레이드해 현재 가지고 있는 식재료로 요리할 수 있는 레시피를 제안하고, 필요한 식재료가 냉장고에 없다면 ‘쇼핑 리스트’에 올리며, 온라인 주문까지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선호 음식을 기반으로 평소 자주 사용하는 식재료가 무엇인지 분석해 각자의 식성에 맞는 맞춤형 식단과 레시피를 추천하기까지 한다.

 

LG 또한 AI기술로 요리법과 식재료 주문을 제안하는 냉장고 ‘LG 인스타뷰 씽큐’를 CES에서 선보였다.

 

 

자동화된 레스토랑에서나 도입됐던 조리 보조 기기나 로봇이 가정용으로 도입된 점도 흥미롭다.

미국의 가전회사 웨버가 이번 CES에서 공개한 ‘스마트 그릴링 허브’는 제품에 유선 온도계가 포함되어 고기 굽기에 최적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고기를 뒤집어야 할 적절한 타이밍에 알람을 울리는 식이다. ‘CES 2020’에서 혁신상을 받은 홍콩 업체 쿠킹팔의 스마트 키친 쿠킹 머신 ‘줄리아’는 AI 음식 인식 기능이 탑재된 제품이다.

 

다지기, 섞기, 찌기, 반죽하기, 에멀션하기, 무게 재기 등의 기능을 갖춰, 사용자가 조리하기 쉽도록 재료들을 알맞은 상태로 다듬어준다. 삼성전자가 공개한 가정용 조리 보조 로봇 ‘삼성봇 셰프’는 음성 인식 기능을 갖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소스를 붓거나 재료들을 섞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가정용 프리미엄 식물 재배기도 등장해 가까운 미래에 ‘팜투테이블’이 가정에서도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LG전자가 최근 공개한 식물재배기는 외형은 와인셀러처럼 생겼다. 문을 열면 4개의 선반이 보이는데, 여기에 상추, 케일, 새싹채소 등 24종의 채소를 재배할 수 있다.

직접 물을 주거나 온도를 조절해줄 필요도 없다. 식물재배기 내부 선반에 일체형 씨앗 패키지를 넣고 문만 닫으면 알아서 채소가 쑥쑥 자란다.

2주가 지나면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고, 6주 후에는 허브를 수확할 수 있다. 김치냉장고 딤채로 유명한 위니아도 새싹 재배 기능을 갖춘 냉장고를 개발 중이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보성녹차’ 2025 APEC 한중 정상회담 국빈 만찬에 올라
보성군의 대표 특산품 ‘보성녹차’가 지난 11월 1일 경북 경주에서 열린 2025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한중 정상회담 만찬에서 후식으로 제공돼 세계 각국의 주목을 받았다. 만찬에서는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중 수교 33주년을 기념해 한국의 삼색 매작과와 삼색 과일이 제공됐고, 이어 ‘보성녹차’가 중국 전통 디저트인 지마구와 함께 제공돼 만찬의 마무리를 더욱 품격 있게 장식했다. 특히, 이날 식단에서 ‘보성녹차’는 유일하게 지명(地名)이 표기된 지역 브랜드로, ‘녹차수도 보성’의 이름이 세계 정상들의 식탁에 오르며 글로벌 명차(名茶)로서의 상징이 됐다. ‘보성녹차’는 농산물 지리적표시 제1호로 등록돼 있으며, 지하 암반층 위에 쌓인 비옥한 토양과 잦은 안개 등 천혜의 자연환경 속에서 재배되고 있다. 또한, 항암효과·피부 보습·노화 방지 등 다양한 유효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친환경 인증을 통한 엄격한 품질관리를 통해 그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역사적으로도 보성은 『동국여지승람』에 차(茶) 재배지로 기록될 만큼 대한민국 전통 차 자생지로 자리매김해 왔으며, 과거 왕실에 진상되던 명차로서의 명성 또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보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재)부산디자인진흥원 부산 도시브랜드 가치 높이고 함께 성장할 2026년 상반기 부산 브랜드숍 팝업스토어 운영 업체 모집
부산시와 (재)부산디자인진흥원은 부산 도시브랜드 활용을 극대화하고, 지역 기업이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2026 상반기 부산 브랜드숍 팝업 행사’ 개최 희망 업체를 11월 3일부터 25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부산 브랜드숍 ‘Big Shop(Busan is good Shop)’은 중구 광복로에 위치한 도시브랜드 플랫폼으로, 부산의 정체성과 매력을 담은 다양한 도시브랜드 굿즈를 전시·판매하고 있다. 1층은 지역 기업과 협업하는 팝업스토어로, 2층은 부산 도시브랜드 굿즈 전시 및 판매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올해 총 4개 지역기업이 참여한 브랜드숍 팝업스토어를 성공적으로 운영해, 지역기업이 도시브랜드를 활용해 함께 성장하고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 이어 시와 진흥원은 브랜드숍의 민간 협력 모델을 지속하기 위해 2026 상반기 부산 브랜드숍 팝업스토어 운영 참여기업을 11월 3일부터 25일까지 모집한다. 모집 대상은 부산시에 본사 또는 지사를 둔 기업으로, 부산 도시브랜드를 활용한 굿즈(상품) 또는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부산 도시브랜드 가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기업이다. 또한 기업 간 컨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