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제과전시회 ‘ISM 2024’ 성료, 한국 ‘떡볶이맛 젤리’ 혁신 제품으로 소개

독일 쾰른 국제 제과 전시회 ISM 2024가 지난달 31일 4일간의 여정을 성황리에 마쳤다. ISM은 매년 초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B2B 전시회로, 스낵류, 초콜릿, 사탕, 젤리, 제과제빵류, 아이스크림, 견과류 등 폭 넓은 제품군을 자랑한다.

74개국 1,427개 사가 참가해 이색적인 신제품을 선보였고, 이 중 88%에 달하는 1,255개 기업이 독일 외 국가였다. 슈거 플레이션과 국제 밀 가격 상승 추이 등으로 업계가 골머리를 앓고 있는 가운데, ISM 2024가 ‘글로벌 사랑방’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는 평이다.

 

‘날고 기는’ 유통사는 다 갔다

 

140개국의 약 3만 명의 해외 바이어가 ISM 2024에 방문했다. CVS(미국), 로블로우(캐나다), 매그니트(러시아), 메르카도나(스페인), 메트로(독일), 미그로스(스위스), 세인스버리(영국),아홀드 델레이즈(네덜란드), 오샹 (프랑스), 월그린(미국), 월마트(미국),이온(일본), 인터막쉐(프랑스), 제이디닷컴(중국), 코스트코(미국), 쿱(이탈리아), 크로그(미국) 등 전 세계 시장 트렌드를 이끄는 거대 유통사가 전부 방문해 더욱 눈길을 끌었다. 벨기에, 영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우크라이나, 중국, 이스라엘, 일본, 캐나다, 미국 바이어의 비중이 상당했으며, 독일 외 국가의 바이어만 2만 명이 넘는다.

국내에서는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슈퍼, CJ 푸드빌, 코스트코코리아, 투썸 플레이스 외에도 농심, 서주, 오리온 등 70개 기업이 방문해 업계 동향과 트렌드를 살폈다.

 

 

한국인의 맛, 전 세계를 사로잡다

ISM 2024에서 돋보이는 키워드는 ‘프롬 코리아(from Korea)’였다. 해외 제조사뿐만 아니라 유통사도 한국 간식을 내세웠다. 지난 회 김과자로 ISM 어워즈 1위를 수상한 네덜란드의 미츠바(Mitsuba)사는 올해 ‘코리안 바비큐 맛 쌀과자’로 이목을 끌기도 했다.

ISM에 꾸준히 참가해 온 ‘나무인터내셔널’의 떡복희 젤리(㈜에스디푸드 제조)는 혁신적인 신제품(New Product Showcase)으로 전시됐다. 한글로 적힌 “떡복희 젤리”와 이색적인 맵단(맵고 단)의 조합은 해외 바이어의 눈길과 입맛을 사로잡았다. 지난 10월, 세계 최대 규모 식품전시회 ‘아누가’에서 삼립㈜의 미니 약과가 혁신상을 받은 데 이어, 국내 식품 기업의 시장 입지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과·제빵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을 끼친 인물을 선정하는 ISM Awards는 에카파이 싸웻쏨폽(Ekachai Savetsomphob) 시노 퍼시픽 회장에게 돌아갔다. 에카파이 싸웻쏨폽 회장은 태국 식품 유통의 ‘큰 손’이자, 국내 유수의 기업과 협력을 통해 한국 식품 수출 확대에도 기여한 바 있다.

 

ISM 신제품 혁신상에서 1위를 수상한 초비바(Choviva)는 Planet A Foods 사가 개발한 초콜릿 대체재로, 귀리와 해바라기씨로 만들어진다. ‘제로 열풍’에도 불구하고 초콜릿은 마땅한 대체재가 없었으나, 초비바는 시중에 유통되는 초콜릿 맛과 매우 흡사하다는 평이다. 소비자의 뜨거운 반응에 힘입어, SNS 투표로 ‘2024 최고의 디저트’를 선정하는 ISM Consumer Awards는 Ja! 사의 ‘초비바 웨이퍼’가 수상했다.

 

 

ISM 2024는 사상 최대 규모였던 2019년의 85%에 달하는 규모였다. 지난 회 대비 약 20% 증가한 방문객 수는 차기 전시에 대한 기대감을 끌어올렸다. ISM 2025는 2025년 2월 2일부터 5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며, 참가 문의는 ISM 주최사 쾰른메쎄 한국대표부 라인메쎄(shyu@rmesse.co.kr, 02-798-4102)에 할 수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성북구-카카오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 업무협약 체결
서울 성북구가 7월 3일 성북구청에서 ㈜카카오, 사단법인 함께만드는세상,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승로 성북구청장, 권대열 ㈜카카오 CA 협의체 ESG 위원장, 김용덕 사단법인 함께만드는세상(사회연대은행) 이사장, 이정욱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서울지역본부장, 장위전통시장과 정릉시장, 정릉서경대길 골목형상점가, 월곡달빛오거리 골목형상점가, 성북동길 로컬브랜드 육성상권 상인회장 등이 참석해 협약서에 서명했다. 이들은 전통시장과 골목형상점가의 디지털 활성화와 지역상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은 ㈜카카오,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사단법인 함께만드는세상(사회연대은행) 등이 공동으로 2025년부터 추진하는 신규 지역상생형 사업이다. 서울시 자치구 중에서는 성북구가 유일하게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본 사업의 대상지는 장위전통시장, 정릉시장, 정릉서경대길 골목형상점가, 월곡달빛오거리 골목형상점가, 성북동길 로컬브랜드 육성상권 내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점포이며, 2025년 7월부터 하반기 내 운영될 예정이다.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올여름 부산여행 중 하루는 일본 어때…부산-대마도 당일치기 여행 상품 주목
올여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정 등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루만 더 여유를 내서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대마도 당일치기 여행’을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 일본 전문 여행사 ‘일본만’이 부산과 일본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실속 당일치기 코스 여행상품을 출시했다. 일본 대마도는 부산을 찾은 수도권 관광객뿐 아니라 부산 시민들에게도 이미 일상적인 해외 여행지로 자리잡았다. 마트 쇼핑, 일본 간식 사오기, 데이트, 소규모 출국 체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하루에도 여러 편이 운항되는 부산-대마도 배편은 흔한 일상 속 여행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대마도 여행 수요는 온라인 검색 트렌드에서도 확인된다. 네이버에서는 ‘대마도 배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검색되며, 여름철에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 10위권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 보편화된 관광지가 됐다. 여권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한 일본 당일치기 여행 대마도는 부산항에서 팬스타 링크호, 대아고속 씨플라워호, 스타라인 니나호 등 매일 3개선사가 운영 중인 고속선 노선을 이용해 약 1시간 10분 거리에 위치해 하루 안에 왕복 가능한 실속 해외 여행지다. 현재는 왕복 2만9900원대의 특가 대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