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맛] 오감을 깨우는 6월의 신상 맛집-1

바앤다이닝이 고른 6월의 뉴 플레이스

다국적 이탤리언 요리부터 섬세한 맛이 두드러지는 중식, 프렌치와 스패니시를 접목한 요리와 책을 읽으며 즐기는 와인. 정감 있는 경양식과 지중해의 건강한 맛까지. 6월에 만나는 새롭고 흥미로운 공간들을 소개한다.

 

한남동에서 느끼는 동서양의 조화

코르소(CORSO)

 

 

리스토란테 <파스토>, <더아래>를 운영하는 팀 파스토가 ‘고메이 494 한남’에 오픈한 세 번째 프로젝트. 컨템퍼러리한 다국적 이탤리언 요리를 선보이는 곳으로 호주 르코르동 블루 출신 라파엘 리 헤드 셰프가 프렌치 테크닉에 현대적인 터치를 가미했다.

 

이탈리아어로 여정을 뜻하는 <코르소>는 미식으로의 여정을 이끌고자 하는 바람을 담은 상호. 공간은 젠(ZEN) 스타일로, 장식을 배제하고 석재 바 테이블, 자갈길 등 자연적 요소를 더했다.

 

주방의 원형 창은 요리사의 작업 공간을 훔쳐보고픈 호기심을 자극하는 요소이자 소음과 연기를 차단하는 기능성 장치. 키친과 이어지는 바 테이블은 고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공간 중심에 두었다. 한남동 일대의 지역적 특색처럼 나이, 인종을 떠나 다양한 사람들이 한데 어우러지는 공간을 추구한다고.

 

 

‘블러드 오렌지’는 여름 계절 메뉴로, 블러드 오렌지즙과 시소 오일에 오렌지 과육, 월넛 캔디, 우드소렐을 올린 애피타이저.

산뜻하고 과실 향 풍부한 와인과 곁들이기 좋다. ‘이베리코 폭찹’은 최고 등급인 베요타 갈비 부위를 스모키한 향을 입혀 구워낸 메뉴. 구운 레몬을 곁들이고 포크 주스 소스와 머스터드 시드를 올렸다.

 

  • 코르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대로 91 지하1층

 

섬세한 중식의 맛

피에세(PIECE)

 

 

중식을 프렌치 터치로 풀어내는 누벨 시누아(NOUVELLE CHINOIS) 퀴진. ‘마스터피스’에서 따온 상호는 모든 요리에 셰프의 정신을 담는다는 의미다.

 

튀기고 볶는 조리법에 국한하지 않고, 굽거나 찌고 절이는 등 다양한 조리법을 사용한 중식을 한 코스로 담아낸다. 런치는 보다 대중적인 메뉴로, 디너는 누벨 시누아의 진수를 담은 대표 메뉴로 구성했으며, 봄 시즌에는 제철 죽순을 숯에 굽고 백된장 소스를 곁들여 감칠맛과 아삭함을 느낄 수 있는 아뮈즈부슈를 전채 요리로 선보이고 있다.

 

1백여 종에 달하는 와인은 물론 준마이 다이긴조급 프리미엄 등 사케류와 고량주, 위스키, 맥주까지 다양한 주류를 갖춰 선택의 폭을 넓혔으며, 중국 전통 흑차, 황차, 청차는 소믈리에가 전문적인 방식으로 우려 직접 서브한다. 다양하게 변화하는 도화지 같은 공간이 콘셉트인 실내는 회색을 메인 컬러로 삼아 모던하게 완성했다.

 

 

‘새우소스를 곁들인 대하 칠리소스’는 발효 칠리소스로 절인 대하에 새우 머리로 만든 비스퀴 소스를 더한 요리. 자연스러운 단맛과 허브 샐러드의 산뜻함이 어우러진다.

‘전복요리’는 짧은 시간 동안 찐 부드러운 전복에 녹두 당면과 콩으로 만든 소스를 올려 바다 향과 장맛을 살렸다.

 

  • 피에세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대로 91 나인원한남 고메이494 지하2층 PIECE

 

강남역 번화가의 반전 다이닝

띠엘로(TIEL'O)

 

 

스페인의 미쉐린 3스타 레스토랑 <마르틴 베라사테기>, 덴마크 <스튜디오> 등에서 근무했던 류영기 셰프가 주방을 이끄는 유러피언 다이닝. 스페인어 티에라(TIERRA, 땅), 프랑스어 시엘(CIEL, 하늘), 오(EAU, 물)의 합성어를 내걸고 프렌치와 스패니시를 접목한 유러피안 퀴진을 선보인다.

 

노르딕 키친의 영향을 받아 제철 재료 본연의 맛이 살아 있는 단순하고도 클래식한 요리로 메뉴를 구성했다. 화이트 톤 벽면에 파란색 소품으로 포인트를 준 홀은 하늘과 바다의 조화를 떠올리게 하는데, 벽을 장식한 스페인산 타일의 디테일이 포인트.

 

지하 와인 저장고를 연상시키는 안쪽 룸은 작은 반전의 공간이다. 밤에는 1백50여 종의 와인을 즐길 수 있는 바로 변신하는 이곳. 프랜차이즈가 즐비한 강남역에서 순수한 맛으로 판도를 바꾸고 싶다는 셰프의 포부가 믿음직하다.

 

 

‘바질 딸리아뗄레’는 바질과 올리브 오일로만 만든 바질 페스토에 월넛 밀크, 초코민트 잎을 더한 파스타. 면과 비슷한 두께로 슬라이스한 생아스파라거스를 곁들여 다채로운 식감을 살렸다.

 

‘오리 꽁퓌’는 경북 봉화의 농장에서 수급한 오리고기를 오리 기름에 장시간 저온 조리한 요리. 감자 퓌레와 완두콩, 슈가피 순, 처빌 등을 함께 낸다.

 

  • 띠엘로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94길 14 2층

 

 

※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식품외식산업, 향후 10년을 전망한다! aT, '2026 식품외식산업 전망' 개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홍문표)는 오는 29일부터 30일까지 이틀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 4층 콘퍼런스장에서 ‘2026 식품외식산업 전망’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10주년을 맞아 ‘변화의 10년, 돌아보고 내다보고, 다시 나아가다’라는 슬로건 아래 총 16개의 강연이 진행된다. 기후변화, 푸드테크 등 급변하는 산업환경 속에서 지속 가능한 식품외식산업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향후 10년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할 예정이다. 첫날 ‘식품’ 분야에서는 생활변화관측소 박현영 소장의 ‘빅데이터로 살펴본 식문화 트렌드’를 시작으로, 글로벌 트렌드 조사기업 민텔(MINTEL) 코리아 백종현 지사장이 ‘2026 글로벌 식음료 트렌드’를 발표하고, 서울대학교 푸드비즈랩 문정훈 교수는 ‘푸드트렌드 2026’을 국내에서 최초로 공개한다. 또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상효 실장의 ‘산업 현황과 전망’, 풀무원 박종희 상무의 ‘대체식품 제품 혁신 전략’ 발표가 이어진다. 이후 식품업계의 성장에 있어 주목해 볼 만한 유통채널을 키워드로 ▲ 온라인 장보기(컬리 김지훈 본부장) ▲ 편의점(BGF리테일 진영호 전무) ▲ 수출혁신 전략(유로모니터 문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