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님 칼럼] 돈가스, 돈까스, 돈카츠

지금 40대 이상이라면 어린시절 부모님의 손을 잡고 예전 경양식집에서 따뜻한 크림스프와 함께 나오는 소스가 듬뿍 뿌려진 돈가스를 먹었던 기억이 한번쯤은 있을 것이다.

 

 

빵과 밥을 선택 할 수 있었고 말쑥한 정장을 차려 입은 웨이터나 웨이트레스가 서브하는 돈가스를 나이프와 포크를 이용해서 먹었던 기억, 그 당시만 해도 돈가스는 그리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식은 아니었다. 필자도 기념일이나 특별한 날에만 즐길 수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렇듯 돈가스는 특별하고 고급스러운 음식 중에 하나였다.

 

돈가스라는 이름은 국립국어원에서 표기하도록 되어있는 이름이고 일반적으로는 ‘돈까스’ 돈카츠‘ ’돈가츠‘ 등으로 많이 불리운다.

 

 

우리가 흔히 즐기는 돈가스의 기원에 대하여 기술 하자면 일본 메이지천왕의 육식 해금 23년 후인 1895년 도쿄(Tokyo) 긴자(Ginza)에 자리한 ‘렌가테이(煉瓦亭)’에서 처음으로 돼지고기를 이용해 돈가스의 시초가 된 ‘포크(pork) 가츠레츠(ポークカツレツ)’를 만들어 팔면서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가츠레츠는 영어의 ‘cutlet’을 일어의 가타가나로 표기한 것으로. 사람들은 ‘돼지고기’의 한자어인 ‘돈육’의 ‘돈(豚)’을 붙여 돈가츠레츠(豚カツレツ)라는 이름으로 불렀으나. ‘돈가츠레츠’의 레츠를 생략하여 부르면서 ‘돈가스’라는 이름이 탄생 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일본에서 탄생한 돈가스는 각기 지역과 조리법 돼지고기의 산지 등 특색에 맞게 발달해와 일본인들의 주식에 가까울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돈가스 전문 식당인 도쿄도의 “긴자바이린”의 경우 미슐랭 별점까지 받는 등 그 뿌리는 서구의 음식이었지만 그들만의 음식으로 발전시켜 일본 고유의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일본에서 시작된 돈가스는 우리나라로 건너와 한국동란 이후부터 전자에서 기술한 것처럼 경양식 식당에서부터 판매하기 시작했다. 

 

국민의 소득 수준 증가, 냉장, 냉동 기술의 발달로 돼지고기 유통이 수월해지고 식품가공기술의 발달함에 따라 이제는 식당이나 배달 음식등으로도 쉽게 접할 수 있다.

 

 

그 외 반조리된 여러 가지 스타일의 냉동, 냉장 상태의 돈가스를 가정에서도 쉽게 조리해 먹을 수 있다, 그리하여 이제 돈가스는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대중적이며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식 중에 하나가 되었다.

 

앞서 일본인들이 서양에 뿌리를 가진 커틀렛, 슈니첼등을 발전시켜 자신들 만의 고유한 음식으로 발전시켰듯, 우리 또한 일본에서 건너온 돈가스를 우리만의 특색과 여건에 맞추어 바뀌었다.

 

동네의 분식집에서부터 경양식 레스토랑, 일반전문식당 , 일본식 돈가스 전문점등 다양한 특색을 살리고 발전시켜 돈가스를 우리만의 음식으로 다시 만들어 내고 있다.

 

분식집과 기사식당 등에서는 서양식 커틀렛을 변형하여 얇고 넓게 두드려 편 고기에 서양식 건식 빵가루을 입히고 버터와 밀가루로 만든 루에 데미글라스를 넣어 만든 소스를 뿌린 ‘돈까스’.

 

뉴트로의 인기 추세에 따라 서두에서처럼 옛 감성을 살린 서양식 커틀렛 스타일의 ‘돈가스’.

 

 

‘안즈’나 ‘긴자바이린’ 등 일본 현지의 유명 돈가스 전문점들이 국내로 진출하기 시작하면서, 더욱 일본 현지의 스타일에 가깝게 고가의 프리미엄 돈가스를 추구하는 일본식 돈가스인 ‘돈카츠’.

 

이와 같이 각각의 개성과 특성을 앞세워 뿌리는 같으나 각기 독자적이고 다양하게 세분화 되고 자리를 잡아, 불리는 이름 또한 ’돈까스‘, ‘돈가스‘, ’돈카츠‘ 등으로 불리고 있다.

 

돈가스를 먹는 방법 또한 ‘돈까스’는 쌈장과 고추, 쫄면, 떡볶이등을 조합하여 먹기도 한다.

 

‘돈카츠’는 돼지고기를 세분화하여 등심, 안심 외에 갈비, 목살등 돼지고기의 다양한 부위를 고기의 숙성방식과 소스 및 양념의 차별화로 고기의 맛과 식감을 최대한 끌어내어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돈가스를 튀김요리가 아닌 고기 요리의 한 장르로 재해석한 것이다.

 

 

돈가스 소스 또한 기존의 데미글라스나, 우스터 기반의 소스에서 벗어나 우리 고유의 된장, 김치등을 접목 하기도 하고 크림이나, 로제, 바질페스타, 핑크솔트, 트러플오일, 고추냉이등 기존 돈가스 소스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한 여러 가지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 외 돼지고기로 치즈를 감싸 만든 치즈 돈가스, 돼지고기를 말아서 만든 롤가스, 저온 조리법, 튀김 기름의 다양화 등 조리법과 함께 새로운 재료, 타 요리와 조합 등을 통해서 매일 새로운 돈가스가 태어나고 있다.

 

이렇듯 돈가스는 일본에서 건너온 다른 나라와 민족의 음식이 아니라, 우리의 특성과 여건에 맞추어 만들어낸 우리의 음식으로 재탄생되어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돈가스의 변화는 진행 중이며 앞으로도 계속 변화 할 것이다.

 

참고문헌 “돈가스의 탄생” 오카다 데스 지음


푸드&라이프

더보기
경상북도 ‘저동커피’, ‘기안장’ 타고 울릉 바다 너머 넷플릭스까지
경북 로컬 크리에이터 기업 ‘저동커피’가 글로벌 OTT 넷플릭스의 화제 예능 프로그램 ‘대환장 기안장’의 촬영지로 등장했다. ‘대환장 기안장’은 울릉도 바다 위에 띄운 기상천외한 숙소를 설계자 기안84와 글로벌 톱스타 BTS 진, 예능 샛별 지예은이 함께 운영하는 신개념 민박 예능 프로그램으로 8일 첫 방영 이후 글로벌 TOP10 상위권에 오르는 등 전 세계 시청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특히 22일 공개된 마지막 회차에서는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을 통해 성장한 울릉 대표 로컬 브랜드인 ‘저동커피’가 촬영장으로 등장하며 시청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2023년 경북 로컬 체인지업 우수기업으로 선발된 ‘저동커피’는 특산물인 호박과 심층수 소금을 활용하여 캐러멜을 개발, 울릉도 대표 기념품이자 주요 관광코스로 자리 잡았다. 이외에도 저동커피는 ‘오징어 먹물 아이스크림’과 독도 굿즈 개발 등 지속적인 로컬 자원 발굴과 콘텐츠 기획으로 관광객의 호응을 얻으며 울릉도의 콘텐츠 사업을 선도하는 지역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은 ‘지역다움’을 살린 콘텐츠를 발굴, 현대적인 브랜드로 재해석하는 동시에 지역 문제를 인식하고 지역 구성원과의 협업을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광명시,‘업사이클 푸드’교육으로 저탄소 식문화 확산
광명시 업사이클아트센터가 오는 30일까지 기후위기 대응과 저탄소 식문화 확산을 위한 ‘업사이클 푸드’ 교육 프로그램을 참여자를 모집한다. ‘업사이클 푸드’는 식품 부산물이나 못난이 채소·과일을 활용해 만든 친환경 음식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고 식량 자원을 절약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교육은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공유주방에서 5월 한 달간 매주 금요일 진행한다. 참가자는 쌀누룩, 못난이 멸치,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된장 등을 활용한 조미료를 직접 만들며, 이를 일상 요리에 접목하는 방법도 배운다. 교육 대상은 저탄소 식문화와 기후 미식에 관심 있는 만 19세 이상 시민 20명으로,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누리집(upcycle.gm.go.kr)에서 신청하면 된다. 김봉섭 자원순환과장은 “이번 교육이 지속가능한 식생활 실천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시민들이 일상에서 업사이클 푸드를 쉽고 즐겁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이번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업사이클 푸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아트센터 공유주방은 공간 대관, 공모전, 협업 프로젝트 등 기업과 시민이 함께 업사이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