홋카이도의 대자연을 온몸으로 즐길 수 있는 스키 리조트 호시노 리조트 토마무의 ‘니니누푸리’가 리뉴얼 오픈했다. ‘숲의 레스토랑’ 컨셉트, 라이브 스튜디오 화제 이번 리뉴얼을 통해 이 레스토랑에는 눈앞에서 직접 치즈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감상할 수 있는 라이브 스튜디오와 토마무 우유로 만든 소프트 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유제품을 즐길 수 있는 코너가 새롭게 탄생했다. 먼저 니니누푸리 레스토랑 입구에 눈 앞에서 직접 치즈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감상할 수 있는 라이브 스튜디오가 들어섰다. 이곳에서 만들어진 치즈는 피자 등 레스토랑의 메뉴로 직접 맛볼 수 있다. 또한 토마무 우유의 소프트 아이스크림을 즐길 수 있는 코너 ‘소프트 아이스크림 스테이션’도 만나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토핑을 자유롭게 선택해 다양한 조합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스태프가 토마무 우유의 특징을 자세히 설명해주며, 체험을 통해 호시노 리조트 토마무의 농장인 팜 호시노의 구성과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수제 치즈를 맛볼 수 있는 2종류의 화덕 피자까지 니니누푸리는 라이브 스튜디오에서 만든 치즈를 사용한 마르게리타와 홋카이도의 명물 징기스칸과 산 와사비를 올린 피자를 새롭게 제공한다. 모차렐라 치
기린 홀딩스(Kirin Holdings Company, Limited)(이하 기린 홀딩스)가 2025년 CES 혁신상(CES Innovation Awards® 2025)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 및 접근성 & 에이지 테크(Accessibility & Age Tech)의 두 개 부문에서 혁신적인 신제품인 전자 소금 숟가락(Electric Salt Spoon)으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독특한 숟가락 모양의 장치는 저염 식품의 짠맛과 감칠맛을 강화해 건강한 식습관을 만들 수 있는 획기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번에 기린 그룹(Kirin Group)은 CES 혁신상을 최초로 수상했으며, 기린 홀딩스는 CES 2025에서 전시업체로 데뷔할 예정이다. CES는 매년 1월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연중 행사로, 최신 전자 기기와 서비스를 전시한다. 세계 최대 규모의 기술 박람회인 CES는 1967년 설립 이래 50여 년에 걸친 풍부한 역사를 보유하고 있다. CES 혁신상은 뛰어난 디자인과 기술을 갖춘 제품과 서비스를 선정하여 수상한다. 2025년 CES 혁신상에는 사상 최대인 3400여 가지의 제품이 출품되었다. ‘전자 소금 숟
태국 방콕의 복합 쇼핑단지 엠 디스트릭트(EM District)가 방콕에서 특별하고 멋진 크리스마스와 새해를 맞이하려는 전 세계 관광객을 위한 글로벌 축제의 중심지로 자리할 준비를 마쳤다. 방콕의 연말연시는 화려한 조명과 북적이는 인파로 생동감이 넘친다. 엠 디스트릭트는 이 같은 축제 분위기의 중심지이자 쇼핑과 식사,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는 핫플레이스다 쇼핑애호가들의 천국인 엠쿼티어(EmQuartier)는 상징적인 크리스마스 트리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트리 주변으로 하이 스트리트 패션 부티크가 즐비하고, 미식 레스토랑에서 풍성한 크리스마스 만찬부터 창의적인 퓨전 요리까지 다양한 진미를 맛볼 수 있다 방콕의 대표적 쇼핑몰인 엠포리움(Emporium)과 엠쿼티어(EmQuartier), 엠스피어(Emsphere)가 위치한 엠 디스트릭트는 2025년 1월 31일까지 영업시간을 오후 11시로 연장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특히 고메 마켓(Gourmet Market)과 고메이츠(Gourmet Eats)는 자정까지 문을 연다. 태국 수도의 중심부에 위치한 엠 디스트릭트는 럭셔리 쇼핑, 세계적 수준의 다이닝, 특별한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는 최고의 여행지로, 세계 각
6가지 한식이 모인 싱가포르 한식당 싱가포르의 리틀 코리아타운, 탄종파가 지역에 한식 업장 6곳을 모은 건물, ‘한식 다이닝 콜렉티브’ 가 11월 11일 오픈했다. 싱가포르에서 게장과 BBQ 요리를 선보여온 <고깃집>과 K-치킨을 소개해온 <꼬꼬나라>가 힘을 합쳐 인수한 건물에는 <할매국밥>과 <한양불고기> 등 4개의 식당과 전통 한국식 술집 <청사초롱>, 수제 맥주 가게 <마이 파티오> 2개의 바가 자리 잡았다. 건물 2층에 위치한 바 두 곳과 <꼬꼬나라>는 새벽 2시까지, 1층의 식당 세 곳은 24시 운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쉐린 가이드 텍사스 첫 공개 글로벌 미식 안내서 「미쉐린 가이드」가 미국 텍사스에 상륙했다. 11월 11일 텍사스 휴스턴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뿌려진 별은 1스타 15개와 그린 스타 2개. 멕시코와 미국 남부 전통에서 영감받아 현지 재료를 세련되게 요리해내는 컨템퍼러리 레스토랑 <발리 스와인>, 우드파이어 레스토랑 <헤스티아> 등이 1스타를 받았으며, 영양 살라미, 멧돼지와 딜 피클 테린 등을 선보이는 육류 전문 레스토랑 <다이 두
이탈리아에 떠오른 새로운 별 3개 글로벌 미식 안내서 「미쉐린 가이드」가 지난 11월 5일 모데나에서 2025년 이탈리아 에디션을 발표한 가운데, 새로운 미쉐린 3스타 레스토랑이 탄생했다. 베로나의 <카사 페르벨리니 12 아포스톨리>가 그 주인공이다. 잔카를로 페르벨리니 오너 셰프는 페이스트리 셰프 가문에서 태어난 배경을 바탕으로 농어 타르타르와 감초를 곁들인 참깨 웨이퍼 등 이탤리언에 기반한 컨템퍼러리 요리를 선보인다. 「미쉐린 가이드」는 “숭고한 맛과 흠잡을 데 없는 기술의 협주곡을 연출하며, 기억에 남을 경험을 약속하는 환대 정신을 보여준다”며 수상 사유를 밝혔다. 한편, 2개 레스토랑이 별 2개를, 33개 레스토랑이 별 1개를, 11개 레스토랑이 그린 스타를 새롭게 받았다. 싱가포르를 강타한 신상 베이커리 호주 우드파이어 레스토랑 <번트 엔즈 Burnt Ends>가 아우디 싱가포르와 손잡고 2025년 초 <번트 엔즈 베이커리>의 두 번째 지점을 싱가포르에 오픈한다. 아우디의 새로운 몰입형 라이프스타일 공간인 ‘아우디 하우스 오브 프로그레스 싱가포르’에 들어설 예정으로, 데이브 핀트 오너 셰프가 신선한 프레츨과 바이에른
일본 최고의 채식 레스토랑 전 세계 49개국 1500개 이상의 채식 레스토랑을 평가하고 순무 개수(1-5개)로 발표하는 ‘위어 스마트 그린 가이드’가 지난 9월 14일 일본 니가타현에서 ‘채식 레스토랑 톱 10 재팬’ 시상식을 열었다. 1위의 영광은 <빌라 아이다>. 이어 <사나부리>, <무츠카리>가 차례로 2위, 3위로 호명됐다. 고시히카리 쌀로 유명한 니가타 지역에서 개최된 만큼, 특별 손님으로 스페인에서 쌀 홍보대사를 맡고 있는 베고냐 로드리고 셰프가 초청되어 두 나라의 쌀 문화에 대한 토의를 이어나갔다. 셰프는 니가타 <사나부리>의 구와키노 게이코 셰프와 함께 이날 참석한 손님들을 위한 쌀 기반의 점심 식사도 준비했다. 한편, 오는 12월 10일에는 스페인 발렌시아에서 전 세계 최고의 채소 레스토랑 10곳을 발표하는 글로벌 시상식이 개최될 예정이다. 도쿄에 빛나는 새로운 별들 「미쉐린 가이드 도쿄 2025」의 레스토랑 셀렉션이 지난 10월 17일 발표됐다. 다니엘 칼버트 셰프가 운영하는 네오 프렌치 레스토랑 <세잔>이 별 하나를 더 획득하며 3스타 레스토랑에 이름을 올렸고, <덴푸라 모토요시&
CJ제일제당은 유럽시장에 컵우동 제품인 ‘비비고 우동누들(bibigo Korean Style Udon Noodles)’을 선보인다. 최근 아시안푸드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유럽에서 한국적인 맛을 더한 우동을 선보여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비비고 우동누들은 대표적인 K-푸드의 맛인 불고기맛, 떡볶이맛으로 출시됐으며, 전자레인지를 활용해 2분만에 간편하게 조리가 가능하다. CJ제일제당은 영국, 스웨덴, 스페인을 시작으로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까지 판로를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CJ제일제당은 컵우동 외에도 다양한 누들 제품을 전 세계 각국에 선보이고 있다. 각 시장의 소비자 선호도, 문화 등을 고려해 볶음면·파스타·아시안누들 등 각기 다른 제품들로 현지 소비자를 먼저 사로잡고, 이를 발판으로 주변국으로 영토를 확장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최근에는 면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한국 문화가 빠르게 침투하고 있는 태국에 봉지면인 ‘비비고 볶음면’을 선보였다. 비비고 볶음면은 매운떡볶이·치즈떡볶이·김치·K-치킨·스모키K-치킨 5종으로, 태국 세븐일레븐, 현지 대형마트인 로투스 등에서 판매되고 있다. 서양식 식문화, 특히 이탈리안이 인기를 끌고 있는 중국에서는 지난해 1
농림축산식품부는 한우 수출 활성화를 위해 한우협회·자조금·축산물품질평가원·수출업체 등 한우 수출팀과 함께 11월 21일부터 24일까지 홍콩을 방문, 홍콩총영사관·홍콩문화원과 함께 2024년 케이(K)-문화를 통한 한우 홍보실적을 점검하고 2025년도 계획을 논의하는 등 협력을 강화했다. 또한 홍콩 정부 당국과 우리 한우 수출작업장 추가 지정에 대해 논의했으며, 11월 23일부터 24일까지 홍콩에서 한우데이 행사를 개최, 한우 수입업체 및 일반 시민의 큰 호응을 얻었다고 밝혔다. 홍콩은 2024년 현재 수출되는 한우 물량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시장이다. 또한 현지에서 케이(K)-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고, 세계인이 자주 방문하는 금융·문화 중심지로 아시아 지역에 한우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한우 수출의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홍콩 총영사관, 홍콩문화원과 함께 11월 21일 업무협의를 가지고 한우 홍보실적을 점검하는 한편, 2025년도 계획을 논의했다. 2024년 농식품부와 홍콩문화원은 한우 수출 확대를 위해 “한우에 문화를 입히다”라는 슬로건으로 홍콩 케이콘(KCON), 워터밤(WATERBOMB) 등 홍콩에서 진행된 주요
노르웨이를 맛보는 럭셔리한 여정 노르웨이의 풍경을 탐험하고 미식을 맛보는 맞춤형 여정이 등장했다. 지속 가능한 럭셔리 여행을 선보이는 여행사 업 노르웨이가 지난 10월 초 출시한 ‘컬리너리 디스커버리 루트 Culinary Discovery Route’가 그것. 연중 4월부터 11월까지 운영하는 여정은 남부 항구 도시 베르겐에서 출발해 페디에섬, 튀스네스섬, 하르당에르 피오르를 거쳐 미식 도시 스타방 에르까지 12일간 이어진다. 섬에 위치한 페디 오션 증류소를 방문해 바다 에서 숙성한 위스키를 시음하는가 하면, 치즈 농장에서 파나오스트 Fanao st 전통 치즈를 맛보고, 피오르에서 직접 해산물을 채집하는 등 노르웨이 자연을 구석구석 탐방하고 맛볼 수 있다. 미쉐린 1스타를 받은 수중 레스토랑 <아이리스 Iris>, 노르웨이의 미식 전통을 혁신적으로 요리하는 <레나 Re naa> 등 파인 다이닝을 방문해 양 머리로 만든 전통 요리 스말라호베 Smal ahove, 전통 효모 크베이크 Kveik로 발효한 맥주 등 노르웨이 요리 유산도 경험하게 된다. 비용은 1인 기준 17만 크로네(한화 약 2140만원). 미국서 한국의 반찬을 소개하는 요리책
세계 ‘최고’의 빵을 비행기에서, 튀르키예 터키항공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빵’을 지난 9월 22일부터 기내식으로 선보이고 있다. 약 1만2000년 전 타쉬 테펠레 지역에서 시작된 고대 문명 아나톨리아에서 먹던 빵이다. 튀르키예 요리 역사학자 외무르 아코르와 역사 생태학자 체틴 셴쿨의 자문을 받아 아나톨리아 지역 발굴중 발견된 고대 밀 품종 아인콘 Einkorn과 엠머 Emmer 밀을 복원해 만들었다. 대륙 간 일부 노선의 비즈니스 클래스에서 식사 전 버터, 올리브 오일과 함께 개별 포장해 따뜻하게 제공한다. 오사카 미식계의 새로운 바람 일본 오사카 우메다 지구에 ‘캐노피 바이 힐튼’이 첫 상륙했다. 캐노피 바이 힐튼은 현지의 문화와 영감을 반영하는 힐튼 호텔의 부티크 브랜드로 오사 카역 앞의 복합상업시설인 그랑그린 오사카 북관에 지난 9월 자리 잡았다. 오사카 지역의 소울 푸드인 ‘다코야키’와 ‘꼬치구이’를 모티프로 한 조명 등 지역 특색을 재치 있게 풀어낸 공간 디자인이 돋보인다. 호텔 내에는 세계 각국의 요리를 스몰 디시로 제공하는 <씨씨 카본 카피>, 오사카의 길거리 음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선보이는 <쟈쟈 바>, 인기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