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트렌드]말레이시아, 새롭게 진화 중인 편의점 트렌드

말레이시아의 편의점 시장이 점차 확대되며 새롭게 변화하고 있다. 편의점 내에 별도의 휴게, 업무 공간을 마련해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즉석조리식품을 판매하는 이동편의점까지 등장했다.

 

 

또한, 편의점 업체들은 도심 및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운영하던 기존의 방식을 깨고 전역으로 사업 확장에 나섰다. 패밀리 마트(Family Mart)는 멜라카 라야와 조호바루에 신규 점포를 오픈, 세븐일레븐(7-Eleven)은 마랑과 알로르 세타르에 매장을 열며 외곽, 시골 지역에도 영역을 넓히고 있다.

 

말레이시아 편의점 시장 규모

말레이시아 편의점 시장은 2005년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도 성장 추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유로모니터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말레이시아 편의점 시장은 총 매출 80억 링깃(약 2조 2,700억원), 12%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말레이시아 국민 전체 소득증가와 사회 활동으로 인해 변화한 소비패턴이 성장을 이끌고 있다. 훼밀리 마트 해외사업부 타로 코사키 매니저는 “말레이시아 소비자들은 개인 소득 증가로 인해 편리함에 돈을 지불할 여유가 생겼고 이에 따라 편의점 식품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이라 밝혔다.

 

편의점 시장 주요기업 동향

현재 말레이시아 편의점 시장을 이끄는 건 99 스피드마트(99 Speedmart)이다. ‘니어 앤 세이브(Near n Save)’란 슬로건을 내걸고 주거지역에 입점해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판매한다.

 

 

미니마켓 형태의 매장으로 신선하고 다양한 제품을 찾아 볼 수 있다. 현재 전국에 1500여 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싱가포르 시장에도 진출하는 등 사업을 계속 확장 중이다.

 

일본의 대표 편의점 프랜차이즈 브랜드 세븐일레븐, 패밀리마트도 말레이시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세븐일레븐은 말레이시아에서 단일 브랜드로는 최대인 2240개 이상의 점포를 보유했다. 주로 교통량이 많고 접근이 용이한 대로변, 고속도로 휴게소, 주유소, 쇼핑센터에 있으며, 다른 브랜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품 가격이 높다.

 

 

판매되는 모든 식품의 할랄 인증을 받는 등 엄격한 품질관리 시행해 2천만에 육박하는 현지 무슬림 소비층을 공략하고 있다.

 

패밀리마트는 2016년 말레이시아 편의점 시장에 뛰어든 후발주자이다. 작년 기준으로 약 150개 점포를 운영, 2022년까지 신규 점포를 300개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일본 편의점을 그대로 본떠서 내부 구성, 어묵과 라면 등 즉석조리식품과 소프트콘 아이스크림이 대표 상품이다. USB 포트 충전 가능, 세면도구가 비치된 패밀리라운지(Familounge) 등 복합 공간으로 신규 고객 유치에 힘쓰고 있다.

 

 

마이뉴스닷컴(myNews.com) 말레이시아 최초 이동편의점 ‘모바일 트럭(Mobile Truck)’를 운영 중인 기업으로 샌드위치, 삼각김밥, 샐러드 등 다양한 즉석조리식품을 판매한다.

 

케이케이 그룹이 작년에 선보인 KK Mart 컨셉 스토어는 24시간 종합 휴게공간이다. 100가지가 넘는 즉석식품, 신선식품은 물론 현지 두리안을 사용해 만든 버블티 등을 맛볼 수 있다.

 

 

손님들은 별도로 마련된 공간에서 업무를 보거나 안마 의자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캐시리스(Cashless)형 매장으로 현금 없는 결제방식을 택했다.

 

말레이시아에서도 위상 높은 K-FOOD

 

 

작년 패밀리마트는 새로운 즉석 조리식품으로 ‘코리안 치즈 라면’과 ‘쉐이크-쉐이크 코리안 치킨’을 선보였다. 또한, 한국판 매운 국물을 곁들인 어묵을 선보이며 현지 젊은 층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세계적으로 인기인 삼양의 불닭볶음면 역시 말레이시아 편의점에서 인기 품목으로 꼽힌다. 또한, 농심의 신라면 빙그레 바나나우유, 농심 포스틱, 팔도 뽀로로 음료 등도 편의점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제품이다.

 

이제 말레이시아 소비자에게 편의점은 단순히 식품을 구입하는 곳이 아닌 한 끼 식사를 해결하고 관리비 납부, 휴대폰 요금 충전 등 일찍이 편의점 문화가 정착된 나라처럼 복합 서비스 공간으로 인지되고 있다.

 

앞으로 말레이시아 편의점은 유통 채널 내 점유율 또한 계속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말레이시아는 수많은 할랄 기업과 무슬림 소비층이 두터운 만큼 원활한 진출을 위해선 철저한 현지 시장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푸드&라이프] "약용버섯, 이제 맛있게 즐긴다" 활용 요리법 공개
농촌진흥청은 약용버섯의 가치를 알리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평소 쉽게 해 먹을 수 있는 약용버섯 요리법을 공개했다. 약용버섯은 면역력 강화, 항암, 항산화 등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버섯을 말한다. 우리나라 대표 약용버섯으로는 상황버섯, 잎새버섯, 영지버섯 등이 있다. 농촌진흥청은 일상생활에서 주로 차로 마시거나, 가루로 만들어 건강식품처럼 섭취하는 약용버섯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버섯 종류별로 10개씩 총 30종류의 요리 방법을 제안했다. 상황버섯은 참나무나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서 자생하며, 황금빛 색감과 단단한 목질 구조가 특징이다.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세포 노화 방지와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 상황버섯 우린 물에 닭과 삼계탕용 약재, 마늘, 대추를 넣고 끓이면 부드러운 육질에 고단백, 탄수화물 식단 ‘상황버섯 누룽지 삼계탕’이 완성된다. 잎새버섯은 밤나무, 느릅나무에서 자생하며, 잎사귀처럼 펼쳐진 갓과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항암, 염증성 질환 예방, 장 건강 개선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 잎새버섯을 먹기 좋은 크기로 찢은 뒤, 대파, 양파, 통조림 햄, 양념장을 넣어 끓이면 매콤하면서 진한 ‘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달서구,‘대구로 달서데이’운영…골목상권에 활력 더한다
대구 달서구는 지역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을 도모하고 침체된 골목상권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대구로 달서데이(Dalseo Day)’를 운영한다 ‘달서데이’는 지역 소비 활성화를 위한 캠페인으로, 매주 토요일 시민생활종합플랫폼 ‘대구로’ 앱을 통해 1만 원 이상 주문 시 3천 원의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쿠폰은 4월 5일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매주 발급되며, 달서구 소재 ‘대구로’ 입점 업소에서 사용 가능하다. 달서구는 골목상권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병행 추진 중이다. 지난 1월에는 장기동 먹거리상가와 성서계대 로데오거리 상가를, 3월에는 삼성명가상가를 각각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하며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지역 내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 구청 구내식당의 ‘외식의 날’을 주 1회로 운영하고 있으며 오는 6월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또한 ‘대구로’ 가맹 소상공인 매장에서 1만 원 이상 구매 후 인증 시, 추첨을 통해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하는 SNS 참여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 상권 활성화 아이디어도 달서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상시 접수하고 있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이번 ‘대구로 달서데이’가 지역 소비 촉진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전수창업] 갈비대가 ‘소갈비찜·갈비탕’ 전수한다
30년 경력의 갈비대가이자 조리기능장을 보유한 특급셰프의 ‘소갈비찜·갈비탕’ 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메뉴개발 과정이 오는 4월 10일(목)에 열린다. 이번 과정에서는 '소양념갈비찜'과 '갈비탕'을 중심으로 전수가 진행된다. 갈비찜, 갈비탕에 사용하는 비법양념과 만능육장은 물론 갈비와 어울리는 상차림(깍두기/겉저리/궁채·삼채나물무침)까지 갈비탕 창업에 필요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교육을 맡은 박종록 셰프는 90년대초부터 30년간 국내 대형호텔의 한식셰프로 근무했으며, 2011년 북경교육문화회관이 오픈할 당시 총책임자로 중국에 건너가 현지 조리사들에게 한식 기술을 전수하기도 했다. 청와대에서도 근무, 특히 국가에서 조리에 관한 최상급 숙련 기능을 인정받은 셰프에게 주는 자격인 조리기능장을 보유하고 있다. 특급셰프의 소갈비찜·갈비탕 기술전수 대한민국 갈비대가의 레시피 제공 교육에 참여하면 박종록 셰프가 직접 개발해 메뉴로 출시한 소갈비찜·갈비탕의 레시피와 기술을 배울 수 있다. 독자적으로 터득한 만능육장, 비법앙념 제조법 등을 상세하게 알려줄 예정​이다. 또한, 한우, 수입산(미국, 호주, 뉴질랜드)에 따라 고기를 삶는 최적의 시간 등 갈비탕 전문점 운영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