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인사이트]넥타이부대, 점심문화 신풍속도

직장인 외식소비 트렌드

직장인들에게 점심시간은 단순히 배를 채우는 시간이 아니라 업무 중간에 휴식과 재충전을 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다.

한 끼를 먹더라도 제대로 된 식사를 하려는 직장인들로 인해 ‘집밥’, ‘건강한밥상’을 표방한 식당이 늘고 있으며, 이와 반대로 간단히 한 끼를 때우고 개인시간을 즐기고자 하는 ‘틈새끼니족’으로 인해 ‘스내킹’(Snackingㆍ간단한 식사)이란 식사문화도 자릴 잡아가고 있다.

본지에서는 최근 직장인들의 외식소비 트렌드에 대해 알아본다.

 

직장인 점심 1시간은 하루의 '중심', ‘2040법칙’을 잡아라

점심 1시간을 쪼개 20분은 식사, 나머지 40분은 커피와 휴식을 취하려는 직장인들이 니즈 에 부합되는 식당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주문에서부터 식사를 마칠 때까지 평균 25분 정도가 걸리는 분식업종들, 가령 김가네, 얌샘김밥, 국수나무, 용우동, 김밥천국 등 김밥과 국수, 라면, 덮밥 등을 주 메뉴로 판매하는 곳들이 대표적이다.

 

한식의 경우 ‘집밥’ 트렌드와 맞물려 직장인들의 최애 메뉴로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데 최근엔 짧은 시간 안에 한 그릇을 뚝딱 해치울 수 있는 ‘국밥전문점’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인다.

 

 

일명 ‘퀵 국밥전문점’으로 오피스상권에서 인기몰이 중인 프랜차이즈로는 ‘바우네나주곰탕’, '신의주찹쌀순대', ‘더진국’, ‘순남시래기’ 등이 있으며, 이곳의 경우 식품제조 기술을 활용해 맛의 핵심이 되는 육수를 완제품으로 매장에 공급해줘 대부분 주문 후 10분 이내로 조리가 끝나 테이블 회전이 빠른 것이 특징이다.

 

또한 눈에 띄는 현상으로는 도시락·배달음식 등 간편식을 즐기는 직장인이 크게 늘고 있다는 것이다.

주 52시간 근무제의 시행과 함께, 한층 더 타이트해진 점심시간을 편하게 즐기기 위해 ‘배달 주문’이 늘고 있는 것. 주로 밖에서 사 먹던 직장인들의 점심메뉴가 도시락이나 배달음식 등 간편식으로 바뀌고 있다.

 

실례로 배달음식 서비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점심(오전 11시~오후 2시)시간대의 음식 주문 건수는 전년 대비 약 70% 증가했다. 저녁(오후 4시~7시) 시간 주문 건수가 전년 대비 40% 늘어난 것과 비하면 증가폭이 훨씬 크다.

 

직장인들의 든든한 점심을 책임지는 ‘점심특화’ 매장 인기

외식업체 입장에서 점심시간 직장인 고객은 중요한 고객층이다. 짧은 시간 동안 빠르고 든든하게 식사를 해결해야 하는 이들을 위한 맞춤형 메뉴선별이나 서비스, 운영 등 다양한 부분에 신경을 쓰는 곳들이 있다.

 

 

차돌박이 전문점 ‘이차돌’은 고기메뉴 외에도 전문적인 서브메뉴로 점심고객들을 확보하고 있다. 이된장, 차쫄면, 맛김치말이 등의 한식메뉴는 고기에 곁들여도 맛있지만 단품메뉴로도 일품이다.

뿐만 아니라 매콤한 해물 토마토 파스타에 차돌박이를 더한 퓨전 메뉴인 차돌치즈파스타는 특히 젊은 고객층의 호응도가 높다. 각자의 입맛에 맞춰 선택할 수 있으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으로 즐길 수 있어 점심 고객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한식전문점 ‘직화한상’은 1인 고객, 점심시간 직장인을 공략할 수 있는 한상 메뉴를 선보인다. 혼자서도 편히 식사를 할 수 있는 매장 컨셉, 직화돼지불백, 제육, 소불고기 한상 등 정갈하게 나오는 한상차림과 실속 있는 가격과 매일 바뀌는 점심 메뉴 등을 내세운 것이 특징이다.

 

샤브요리는 주로 3인 이상 단체 회식메뉴로 인기였지만, 최근 1인 식사에 집중한 샤브요리전문점이 나와 인기를 얻고 있다.

1인 샤브샤브 전문점 ‘샤브보트’는 ‘ㄷ’자 형태의 바 테이블에 1인 인덕션 레인지가 비치되어 있어 신선한 각종 야채와 함께 호주청정우 샤브고기를 맛있게 즐기는데 걸리는 시간은 보통 20~30분 내외다.

 

주목받는 스낵킹 푸드

최근 샐러리맨들이 쏟아져 나오는 오피스상권에서는 스내킹(Snacking)콘셉트를 도입한 매장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스낵킹은 최근 유럽에서 유행하는 식문화 트렌드로 샐러드, 샌드위치, 부리또, 스무디, 수프 등 간편하면서도 건강을 고려한 가벼운 식사를 말한다.

스타벅스를 시작으로 커피 프랜차이즈들 또한 베이커리, 샐러드류 등의 식사대용 메뉴를 개발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스프와 파스타류, 브런치 세트 등 식당과 비슷한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20여가지가 넘는 신선한 샌드위치를 판매하고 있는 ‘써브웨이’가 대표적인 케이스다.

매일 매장에서 직접 구운 빵과 당일 공급되는 질 좋은 채소를 사용해 주문과 동시에 만들고,

메뉴의 평균 열량이 15cm 샌드위치 기준 소스류를 제외하고 약 395kcal에 불과해 직장인들의 가벼운 점심 한 끼로 인지도가 높다.

써브웨이 샌드위치는 빵과 8가지 신선한 채소, 각종 토핑이 어우러져 풍부한 영양과 높은 포만감을 줄뿐 아니라 빵부터 속 재료까지 취향에 따라 만들어 먹을 수 있는 특유의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샐러드런치’도 급부상 중이다. 샐러드런치라하여 각종 채소의 무기질과 비타민, 병아리콩, 퀴노아, 현미 등의 탄수화물, 닭가슴살, 연어 등 양질의 단백질을 한 그릇에 담은 ‘보울푸드’가 최근 인기다.

스내킹 컨셉의 샐러드전문점들을 보면 여의도, 종로, 강남, 역삼 등 구매력 있는 직장인들이 많은 오피스 상권이나 트렌디한 상권에 몰려 있는 모습이다.

 

자극적이지 않고 가벼운 식사로 ‘죽’을 애용하는 직장인들도 부쩍 늘었다.

제철 식재료를 활용한 다채로운 영양죽을 선보이고 있는 ‘죽이야기’는 유기농주스, 항아리커피를 판매, 식사부터 차까지 한 자리에 끝낼 수 있는 메뉴를 구성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또한 영양죽 31종 외에 볶음밥, 비빔밥, 육개장, 누룽지탕 등 한식도 구비되어 있어 일부 매장에서는 죽 2가지, 혹은 죽과 볶음밥을 반반씩 담아주는 ‘반반 메뉴’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월급 빼고 다 올랐다, 가성비 찾는 직장인 더욱 늘어

물가는 오르는데 월급은 오르지 않아 점심 값에 부담을 느끼는 직장인들이 늘면서 외식업계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비교적 저가 메뉴를 선보이는 외식업체들과 1만원 이상의 메뉴를 선보이는 곳들과의 차이가 극명하게 갈린다.

편의점은 식당 못지않게 북적인다. 하루가 멀다 하고 신제품이 쏟아지는 것은 편의점 도시락의 인기를 방증한다. '인기 도시락의 경우 점심시간에 조금만 늦게 가도 구하기 힘들다.

 

이에 외식업계는 직장인들을 겨냥, 6천원을 넘지 않는 가성비 높은 점심 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일부 고기 프랜차이즈들은 편의점 도시락 가격 수준인 4~5천원의 가격으로 돼지김치찌개, 된장찌깨 등을 판매, 고객몰이에 나서고 있다.

 

채선당의 ‘행복가마솥밥’은 가격경쟁력에서 편의점 도시락에 밀리지 않는 가마솥밥을 저렴한 가격에 제공한다. 5900원이면 갓 지어 온기가 담긴 솥밥을 먹을 수 있다. 게다가 매일 아침 들여오는 3가지 쌈 채소와 4가지 반찬을 무료로 제공한다.

가격은 저렴하지만 제대로 된 한식이라 편의점 도시락에서는 비교할 수 없는 정성이 깃들어 있어 직장인들에게 인기다.

 

 

깊고 진한 나주곰탕을 6,500원의 가격으로 즐길 수 있는 ‘바우네나주곰탕’도 가성비 맛집으로 인기다.

담백하고 고소한 국물 맛의 고기육수 베이스 ‘맑은곰탕’과 48시간 동안 정성으로 고아낸 진한 국물의 ‘사골곰탕’ 두 가지 전통 곰탕을 맛볼 수 있다.

바우네나주곰탕은 엄선된 원재료로만 생산한 육수를 사용하며, 곰탕의 대중화를 위해 6천원대의 합리적인 가격에 푸짐한 양의 한 그릇을 판매해 가성비를 높였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광양시 ‘K-푸드’ 김의 뿌리, 인류 최초 김 양식지 ‘광양김시식지’로 초대합니다
광양시가 인류 최초 김 양식의 현장이자 김 수출 10억 달러 시대를 연 주역인 세계 유일의 ‘광양김시식지’를 꼭 방문해 봐야 할 광양의 역사·문화 명소로 소개했다. 최근 K-콘텐츠와 K-푸드 등 한국 문화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광양김시식지’는 K-푸드 김의 뿌리를 간직한 역사적 현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곳은 400년 김 산업의 역사가 시작된 상징적 공간으로, 인류 최초로 김 양식법을 고안해 바다를 경작의 영역으로 확장한 김여익 공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조성됐다. 김여익은 병자호란 당시 의병으로 활약했으나, 조정이 청과 굴욕적인 화의를 맺자 통탄하며 광양 태인도에 은둔했다. 그는 바다 위를 떠다니는 나무에 해초가 걸리는 모습에서 착안해, 1643년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역의 특징을 활용한 ‘섶꽂이 양식법’을 인류 최초로 창안·보급했다. 수라상에 오른 김의 맛에 감탄한 인조 임금이 “광양의 김여익이 진상했다”는 말을 듣고, 그의 성을 따서 ‘김’이라 부르게 됐다는 흥미로운 유래도 전해진다. 후손들은 매년 음력 10월이면 김시식지 내 인호사에서 제향을 올리며 김여익의 업적을 기리고,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는 ‘용지큰줄다리기’ 전통도 300여 년째 이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