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FOOD 비즈니스

영국서 6주간 레모네이드 10,000잔 판매한 日 브랜드 ‘레모니카’

일본에서 가맹점 96개를 운영하는 브랜드 ‘레모네이드 by 레모니카(이하 레모니카)’는 올해 여름 영국에 팝업스토어를 열어 6주 만에 레몬에이드 10,000잔을 판매하며 큰 화제를 모았다.

 

 

레모니카는 신선한 레몬을 천천히 시간을 들여 비가열로 추출한 특제 시럽을 사용하는 레모네이드 전문브랜드다. 아이들도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음료를 만든다는 철학과 매장에서 담당 직원이 수제로 만들어주는 점이 MZ 세대에게 통했다.

 

실제 이번 영국 소호거리에 연 레모니카 팝업스토어 방문객 90%가 틱톡 등 SNS 게시물을 방문했을 정도로 10~30대 젊은 층의 높은 지지를 받았다.

 

 

코로나 기간 건강, 체중 관리에 도움이 되는 식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며 미용, 다이어트 효과가 있는 레모네이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점도 빠른 성장에 영향을 끼쳤다.

 

팝업스토어를 준비하며 영국 소비자 입맛에 맞는 전용 특제 레모네이드 베이스를 개발했다. 운영 기간에는 향후 출점을 고려해 고객의 피드백을 받아 레시피를 개량해 맛이 수정된 음료를 제공했다.

 

청량한 레몬 고유의 맛을 살리면서 단맛과 신맛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감을 살린 것이 레모니카 레모네이드의 특징이다. 팝업 기간에는 레모네이드, 피치에이드, 핫레모네이드를 50% 할인된 가격에 선보였다.

 

 

여름을 겨낭해 아이스크림을 얹은 레모네이드 플로트와 얼음을 갈아 넣은 프로즌(냉동) 레모네이드도 공개해 좋은 반응을 이끌었다. 또한, 이번에는 레모네이드뿐만 아니라 과일 디저트도 공개했다.

 

딸기 생크림 샌드위치와 딸기 말차 크림 샌드위치로 오후시간 간식을 즐기는 젊은 직장인을 위한 메뉴다. 오후 3시가 되면 학교나 회사에서 간식을 먹는 일본의 ‘산지노 오야쯔타이므(3時のおやつタイム)’라는 문화를 영국으로 옮겨왔다.

 

 

특히 매장 외관과 내부를 레몬을 상징하는 노랑색으로 꾸며 소비자들이 레모네이드를 들고 사진을 찍고 싶게끔 꾸몄다. 이번 팝업스토어를 시작으로 향후에는 영국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으로 매장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투명페트병 재생 원료를 사용한 식품용기 출시된다
생수용기 등 투명페트병 재생 원료를 사용한 식품용기가 출시된다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투명페트병 재생원료의 수요 확대를 위해 식음료 제조업체 등과 함께 ‘올해 상반기 내 투명페트병 재생원료 사용 제품 출시’를 선언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투명폐트병 재생원료를 사용한 식품용기가 나온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지난 23일 오후 서울 켄싱턴호텔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 코카․콜라, 산수음료, 매일유업, 알엠, 에이치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대표들과 함께 ‘투명페트병 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는다. 이날 협약에 참여하는 한국 코카콜라, 산수음료, 매일유업, 한국수자원공사 등 4개 식음료 제조업체는 올해 상반기 내로 투명페트병 재생원료 사용 비율이 10%인 투명페트병 식음료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또한 출시 이후 재생원료 사용 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 및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투명페트병 재생원료의 사용 비율과 적용 품목을 늘릴 예정이다. 그간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투명페트병 재생원료가 식품용기용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업했다. 아울러 환경부는 식음료 제조업계와 협의를 거쳐 보다 많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동대문구, 커피박(커피찌꺼기) 자원화 사업 시동!
동대문구가 커피전문점에서 배출되는 커피박을 커피숯, 커피펠릿 등 고형연료 및 비료, 활성탄 탈취 필터 등으로 다양하게 재활용하는 ‘커피박 자원화 사업’을 추진한다. ‘커피박’이란 커피를 내리고 난 후의 커피찌꺼기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업소에서는 커피 원두의 0.2%만 커피를 추출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99.8%는 생활폐기물로 버려져 매립⋅소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재활용되지 않은 커피박이 매립되거나 소각되면 메탄 등 온실가스가 발생되어 지구온난화로 이어진다. 이에 동대문구는 관내 5개동(용신, 제기, 청량리, 전농1, 회기동)에 위치한 커피전문점을 대상으로 ‘커피박 무상수거 사업’을 홍보하고 희망업소의 신청을 받아 ‘커피박 자원화 사업’을 추진하여 생활폐기물 배출량 및 처리비용을 줄임으로써 탄소중립 실천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커피박 자원화 사업’은 참여 커피전문점이 투명 또는 반투명 봉투에 이물질이 섞이지 않은 커피박을 담아 업소 앞에 배출하면, 수거 업체에서 ‘무상 회수’ 하여 고형연료 등으로 재활용하게 된다. 커피박 자원화 사업에 참여하길 희망하는 커피전문점은 동대문구 청소행정과로 신청하면 된다. 송영철 동대문구 청소행정과장은 “오는 5월 30일 커피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