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소통 강화하는 日 편의점 ’로손‘...7가지 테스트 제품 선보여

편의점은 젊은 층의 이용 비율이 높아 신제품 출시 전 식품외식기업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해오고 있다.

 

 

일본 편의점 프랜차이즈 브랜드 ’로손‘이 7개 회사와 협업해 만든 테스트 제품을 선보였다. 10월 25일~11월 7일까지 투표를 거쳐 1~3위에 선정된 상품은 내년 정식 제품으로 출시된다. 이번에 공개한 신제품 테마는 ’있을 것 같지만 아직 없는 상품‘으로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시켰다.

 

 

이번에 테스트 제품 중 가장 SNS상 관심을 끈 상품은 칸로의 ’맛이 나지 않는 사탕(味のしない?飴)‘이었다. 단맛 때문에 사탕을 먹지 않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제품으로 무미(無味)를 추구한다.

 

SNS상에 ”먹어봤는데 정말 아무맛이 안 난다“ 등 실구매 후기가 올라오며 젊은 세대의 궁금증을 불러일으켰다. 재밌는 컨셉과 별도로 건강 관리를 위한 저당 소비 트렌드도 상품 인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로손 담당자는 “코로나19로 마스크 착용 시간이 길어지며 민트 등 향이 남는 사탕에 부담감을 느끼는 고객이 늘었다. 마스크를 쓰고도 먹기 부담 없는 사탕을 구상한 끝에 아무런 향도 맛도 나지 않는 제품이 탄생했다”고 전했다. 발매 다음날 바로 매진 되는 매장이 있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또한, 작년부터 일본에서 유행이 일고 있는 한국식 마늘빵을 이용한 제품도 찾아볼 수 있었다. 처음보는 마늘과 치즈 조합의 ’마늘빵 컵라면‘은 MZ세대의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이외에도 마늘&마요네즈맛 감자칩, 전자레인지에 돌려 따뜻하게 마실 수 있는 카페라떼와 같은 아이디어 상품도 있었다.

 

 

한편 이번 7가지 신제품 3가지는 최근 변화한 음주문화에 맞춤 저도수 술이었다. 일본에서 유명한 3년간 숙성한 아와모리(오키나와현 증류주)를 사용한 레몬사와, 스포츠 음료 느낌을 주는 상쾌한 맛의 츄하이(소주와 탄산수, 과즙을 섞은 술), 우유 단백질 5g이 포함한 요구르트맛의 츄하이를 공개했다.

 

 

로손 공식 SNS 통해 실시된 인기투표를 거쳐 선정된 상위 3개 상품은 패키지 디자인 및 제품 개선 등을 통해 내년 6월쯤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 연수특집] 2025년 '사누키우동' 순례길 최신판
먹방투어와 미식기행의 인증샷이 인스타그램, 유튜브의 단골아이템이 되면서 여행에서도 식도락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해외여행에서도 관광명소 탐방이 아닌, 맛집순례가 목적인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가가와현의 사누키우동 투어는 이런 글로벌 식도락 투어 붐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 네 개의 섬 중 가장 작은 섬인 시코쿠에는 우동왕국 ‘가가와현’이 있다. 우동에 미처 사는 사람들이 의리를 지키는 고장, 그래서 붙여진 별명이 ‘우동 현’이다. 이 시골마을에서 사누키우동이 발전한 것은 우동을 만드는데 최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양질의 밀, 세토우치해에서 잡히는 잔멸치, 그리고 쇼도시마에서 만들어지는 간장 등 우동의 주재료들을 쉽게 구할수 있었기에 우동은 그들 삶에 자연스레 스며들었다. '사누키우동 순례'는 하루 두끼 이상 사누키우동을 즐기며 유명 우동집을 2~3일에 걸쳐 맛보고 다니는 여행을 말한다. 여행 상품을 보면 우동버스 투어, 우동학교 체험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동은 가게마다 그 맛이나 특징이 제각각이다. 착한 가격의 우동집들이 즐비해 있어, 하루 종일 우동을 먹고 돌아다녀도 우동값으로 1000~2000엔 정도가 든다고. 우동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부터 내 식당 창업 위한 맞춤컨설팅까지! 외식창업 전문 교육 주목
맛집 창업의 꿈을 꾸는 예비창업자, 업종변경과 메뉴, 기술 등의 보완을 고민 중인 자영업자를 위한 솔루션 과정이 주목받고 있다. 30년 경력의 외식전문컨설팅기업 ㈜알지엠컨설팅 산하 교육기관인 <알지엠푸드아카데미>의 ‘외식창업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맛집 브랜딩 전략부터 메뉴개발, 비법전수 등 외식업 경영의 핵심 노하우를 전한다. 시장성과 사업성이 뛰어난 외식 아이템만을 엄선, 지역 맛집으로 자리 잡은 오너셰프들과 최소 10년에서 30년에 이르는 경력을 갖춘 조리명장이 교육을 진행, 메인 상품부터 각종 찬류 등 한상차림까지 사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가능토록 몸에 익을 때까지 충분한 반복 연습을 지원한다.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의 경우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와 장사비법을 전수했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내 가게 홍보전략 등의 실무 중심의 기술도 함께 교육, 진행했다. 2025년 10월 진행되는 외식창업 과정 교육은 다음과 같다. ▲ 사누키우동 연수 ▲ 개성손만두 요리전문점 ▲ 안동국시 전문점 창업과정 ▲ 이자카야 메뉴개발 ▲국밥 전문점 창업과정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 연수특집] 2025년 '사누키우동' 순례길 최신판
먹방투어와 미식기행의 인증샷이 인스타그램, 유튜브의 단골아이템이 되면서 여행에서도 식도락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해외여행에서도 관광명소 탐방이 아닌, 맛집순례가 목적인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가가와현의 사누키우동 투어는 이런 글로벌 식도락 투어 붐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 네 개의 섬 중 가장 작은 섬인 시코쿠에는 우동왕국 ‘가가와현’이 있다. 우동에 미처 사는 사람들이 의리를 지키는 고장, 그래서 붙여진 별명이 ‘우동 현’이다. 이 시골마을에서 사누키우동이 발전한 것은 우동을 만드는데 최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양질의 밀, 세토우치해에서 잡히는 잔멸치, 그리고 쇼도시마에서 만들어지는 간장 등 우동의 주재료들을 쉽게 구할수 있었기에 우동은 그들 삶에 자연스레 스며들었다. '사누키우동 순례'는 하루 두끼 이상 사누키우동을 즐기며 유명 우동집을 2~3일에 걸쳐 맛보고 다니는 여행을 말한다. 여행 상품을 보면 우동버스 투어, 우동학교 체험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동은 가게마다 그 맛이나 특징이 제각각이다. 착한 가격의 우동집들이 즐비해 있어, 하루 종일 우동을 먹고 돌아다녀도 우동값으로 1000~2000엔 정도가 든다고. 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