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벤치마킹]지금 인도는 '클라우드 키친 붐'

배달 음식 시장이 커지며 인도에서 클라우드 키친 붐이 일고 있다. 현재 인도 전체 시장 규모의 13% 정도가 클라우드 키친을 이용해 사업을 전개 중이다.

 

 

클라우드 키친은 공유주방의 한 형태로 조리를 위한 최소한의 주방 공간을 활용해서 배달만으로 영업하는 형태다. 기존 음식점보다 운영비가 적게 들고, 상권의 영향을 적게 받는 이점이 있다. 현재 인도 주요 도시별 부동산 임대가격은 급상승하고 있어 클라우드 키친은 기존 식당보다 현저히 많은 부지 투자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

 

인도 클라우드 키친 시장 현황

전 세계적으로 클라우드 키친 시장은 급성장중이며 이미 2018년 6억 5,000만 달러의 시장가치를 형성했다. 2026년에는 연평균수입(CAGR: compunded annual growth rate)의 17.2%를 기록해 26억 3,000만 달러의 시장 가치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 스타트업 전문 조사기관인 INC42에 따르면 대략적으로 기존 업체보다 클라우드 업체의 이윤 범위가 7% 더 높은 것으로 추정 된다. 인도 클라우드 키친은 소비자들의 가처분 소득 향상과 불안정한 소비 심리만 안정화된다면 2023년에는 10억 5천만 달러로 가치가 오를 전망이다.

 

인도 내 주요 클라우드 키친 브랜드 동향

 

 

던킨도너츠와 도미노피자를 운용하고 있는 Jubilant FoodWorks사는 도미노피자외에도 중국 음식에 대한 클라우드 키친을 염두한 것으로 전해진다. Kishore Biyani의 Future Group에서도 자체적으로 클라우드 키친을 개업하여 Swiggy나 Zomato에 40루피 가량의 음식을 팔 계획이다.

 

35개 이상의 Burger Singh 페스드 푸드 체인 지점을 운용하고 있는 Tipping Mr Pink사의 창립자 Kabir Jeet Singh 역시 클라우드 키친이 외식 산업의 미래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배달 시장과 동반 성장하는 클라우드 키친

시장조사업체 레드시어 컨설팅(Redseer Consulting)은 올해 인도 음식 주문 시장이 15억 주문량을 기록하며 연 35%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음식 배달 서비스의 수요 증가는 클라우드 키친 시장의 확대로 연결된다.

 

인도 배달 플랫폼의 65%는 스위기(Swiggy)와 조마토(Zomato)가 차지하고 있다. 조마토(Zomato)는 자사의 클라우드 키친 서비스를 이용하는 외식 업체에게 배달 어플리케이션 할인 광고를 제공해준다. 스위기(Swiggy)는 외식 업체들과 협업해 클라우드 키친에서 배달 위주 상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협업 업체들과 메뉴 선정, 포장 그리고 가격 측정 등을 같이 했다.

 

하지만 두 기업이 대부분 배달 시장을 점유한 상황에서 자신들의 클라우드 키친 플랫폼을 이용한 외식 업체에게 독점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높은 수수료를 챙기는 건 문제점으로 꼽힌다. 이는 클라우드 키친 기반 스타트업이나 인지도가 낮은 외식 업체들에게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국내 화덕피자 브랜드 고피자(GOPIZZA)는 조마토(Zomato) 플랫폼을 이용해 벵갈루루 실리콘벨리에 1호점에 이어 4호점까지 문을 열었다.

고피자는 인도 시장 진출을 위한 소프트랜딩 전략으로 클라우드 키친을 선택했다. 매장이 자리를 잡으며 시장이 어느 정도 파악한 다음 자체 매장을 열었다. 3호점은 60평의 대형 매장이고, 4호점은 소형 로드샵 점포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메뉴개발세미나]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과정’ 열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교육이 오는 5월 29일(목)에 진행된다. ‘냉면’만큼이나 열렬히, 그리고 수준 있는 마니아층을 꾸준히 유지해온 음식이 있을까. 최근 냉면의 인기는 예전과 사뭇 다르다. ‘냉면’은 오랜 기간 각 지역의 특색이 더해진 우리 고유의 면 요리다. 간단한 음식처럼 보이지만 정성을 들인 만큼 깊은 맛을 내는 메뉴로 특히 탄력적인 면발과 육수에 따라 맛 차이가 확연하다. 전문 식당에서 제대로 된 냉면을 고객에게 선보이기 위해선 맛의 핵심인 육수부터 반죽, 비빔 양념소스 제조까지 배워야 할 기술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이에 ‘냉면’을 더해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자영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평양냉면' 전수교육 문의 많아 오는 5월 29일. 하루 투자로 평양냉면의 모든 것 전수받을 수 있어 75년 평양냉면의 산증인 ’우레옥‘ 냉면 맛을 그대로 구현, 맛의 핵심인 면 반죽 기술(손반죽과 기계반죽 모두)부터 냉면 육수, 비빔장, 동치미, 고명과 찬류 평양냉면에 관한 모든 것을 전수받을 수 있다. 또한 평양냉면 기술전수는 물론, 잘 팔리고 지속 가능한 맛집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소프트랩스 ‘싸다고’ 솔루션, 2025년 정부 ‘클라우드 바우처’ 지원사업 공급기업 최종 선정
IT 개발사 소프트랩스(대표 성제훈)는 자사의 글로벌 구매·배송대행 SaaS ‘싸다고’ 솔루션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는 ‘2025 중소기업 클라우드서비스 보급·확산(바우처) 사업’ 공급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 이에 따라 ‘싸다고’를 도입하는 중소·창업 기업은 정부 지원 75%와 공급기업 부담 5%를 더해 총 80%의 클라우드 이용료를 지원받아 초기 구축 비용 부담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싸다고’ 솔루션이란? ‘싸다고’는 중국 최대 도매몰 1688과 API로 직접 연동해 한국 소비자가 가장 저렴한 가격에 원스톱으로 상품 검색 → 주문 → 통관·배송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커머스 빌더 SaaS다. 셀러(구매대행 사업자)는 별도 개발 없이도 △상품 데이터 자동 수집·가격 책정 △주문·결제·세관 서류 자동화 △물류 추적·정산 관리 기능을 갖춘 온라인 몰을 빠르게 구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재고 위험과 인건비를 최소화하면서 해외 소싱 판매를 시작할 수 있어 F&B·리빙·패션 등 다양한 분야의 중소상공인이 활용 중이다. 소프트랩스 성제훈 대표는 “클라우드 바우처 덕분에 셀러들은 구축비의 20 %만 부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세미나]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과정’ 열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교육이 오는 5월 29일(목)에 진행된다. ‘냉면’만큼이나 열렬히, 그리고 수준 있는 마니아층을 꾸준히 유지해온 음식이 있을까. 최근 냉면의 인기는 예전과 사뭇 다르다. ‘냉면’은 오랜 기간 각 지역의 특색이 더해진 우리 고유의 면 요리다. 간단한 음식처럼 보이지만 정성을 들인 만큼 깊은 맛을 내는 메뉴로 특히 탄력적인 면발과 육수에 따라 맛 차이가 확연하다. 전문 식당에서 제대로 된 냉면을 고객에게 선보이기 위해선 맛의 핵심인 육수부터 반죽, 비빔 양념소스 제조까지 배워야 할 기술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이에 ‘냉면’을 더해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자영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평양냉면' 전수교육 문의 많아 오는 5월 29일. 하루 투자로 평양냉면의 모든 것 전수받을 수 있어 75년 평양냉면의 산증인 ’우레옥‘ 냉면 맛을 그대로 구현, 맛의 핵심인 면 반죽 기술(손반죽과 기계반죽 모두)부터 냉면 육수, 비빔장, 동치미, 고명과 찬류 평양냉면에 관한 모든 것을 전수받을 수 있다. 또한 평양냉면 기술전수는 물론, 잘 팔리고 지속 가능한 맛집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농심 신라면 툼바, 일본 초도물량 100만 개 완판 화제
농심이 일본 시장에 선보인 ‘신라면 툼바’가 출시 직후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초도물량 약 100만 개를 2주 만에 모두 완판되는 등 현지 반응이 뜨겁다. 이에 농심은 추가 물량 공급 등을 준비 중이다. 농심은 지난 4월 일본 CVS 1위 유통업체 ‘세븐일레븐’에 신라면 툼바 용기면을 출시했다. 출시 당시 한국 히트 제품으로 주목받으며 전점에 입점됐던 신라면 툼바는, 출시 직후 일부 매장에서 결품이 발생하는 등 예상을 뛰어넘는 소비자 반응으로 빠르게 완판됐다. 농심에 따르면 신라면 툼바는 출시 당시 한국 히트 제품으로 주목받으며 전점에 입점됐고 출시 직후 일부 매장에서 결품이 발생하는 등 예상을 뛰어넘는 소비자 반응으로 빠르게 완판됐다. 농심은 추가 공급과 물량 확대를 위해 일본 세븐일레븐과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농심 관계자는 “신라면 툼바는 일본 라면 시장에서 드문 차별화된 맛과 전자레인지 조리로 구현한 파스타 스타일의 면과 소스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현지 소비자들은 온라인에 “진한 크림 풍미에 매운맛이 어우러져 매력적이다” “색다른 전자레인지 조리법과 뜨거운 물을 부어 만드는 스탠다드한 조리법 모두 가능한 것이 재미있다” “부드럽고 매운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