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美 한국식품 수입·유통 ‘큰손’과 맞손

도, 왕글로벌넷과 수산식품 수출 협약…5년 1억 5000만$ 규모

충남도가 미국 내 한국식품 수입·유통업계 ‘큰손’과 손을 맞잡았다.

5년 간 1억 5000만 달러 규모의 충남 수산식품 수출을 약속, 지난해 거둔 사상 최대 수산식품 수출 기록을 매년 다시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승조 지사는 16일 도청 상황실에서 강승헌 미국 왕글로벌넷 대표이사와 수산식품 수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왕글로벌넷은 올해부터 5년 동안 1억 5000만 달러 규모의 도내 생산 수산식품 수출을 추진한다.

 

연도별로는 올해 1500만 달러, 내년 2500만 달러, 2023년 3000만 달러, 2024년 각 4000만 달러 등이다. 연 평균 금액은 3000만 달러로, 지난해 도내 수산식품 수출 총액 1억 1789만 달러의 25% 수준이다.

 

도는 왕글로벌넷의 도내 우수 수산식품 발굴을 적극 지원하고, 수출 기반 조성을 위한 투자 의향이 있을 경우 행정적으로 지원키로 했다. 도와 왕글로벌넷은 또 충남과 미국 현지에서 수산식품 수출상담회를 각각 연 1회 이상 개최키로 했다.

 

국내 식품 무역업체인 삼진글로벌넷이 1974년 미국 내 자회사로 설립한 왕글로벌넷은 현지에서 13개 직영점과 2300개 거래점을 운영 중이다. 이 기업은 삼진글로벌넷의 수출 인프라를 활용, 미국과 유럽 등 50개국에 식품을 유통 중이며, 매출액은 지난해 기준 1억 7000만 달러다.

 

왕글로벌넷은 특히 국내 식품 대기업 등 12개사의 미국 내 유통·판매를 대행하고 있고, 수라상 등 13개 자체 브랜드도 갖고 있다. 지난해 왕진글로벌넷의 도내 수산식품 수출액은 298만 달러다.

 

왕글로벌넷은 또 이달 말 준공 예정인 서산 어업회사법인 섬마을의 김 가공 공장에 투자, 도내 수산식품 수출량을 크게 늘리게 된다.

 

도는 이번 협약이 계획대로 이행되면 도내 수산식품 수출이 크게 늘며, 도의 2026년 3억 달러 수출 목표 달성에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협약식에서 양승조 지사는 “충남의 수산물과 수산식품은 충남과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라며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위축된 무역 환경 속에서도 지난해 충남 수산식품 수출이 1억 달러를 넘어선 것은 바로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양 지사는 이어 “충남도는 지난해 수산식품산업 비전과 육성 방안을 마련, 2026년 수출 3억 달러 달성을 위해 힘차게 뛰고 있다”며 “왕글로벌넷이 충남과 함께 세계 무대에서 더 큰 활약을 펼치길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도내 수산식품 수출액은 1억 1789만 달러로, 2019년 9452만 달러에서 24.7% 증가하며 사상 최고점을 찍었다.

 

국가별로는 중국 3786만 달러, 미국 2768만 달러, 대만 618만 달러, 일본 449만 달러, 러시아 440만 달러, 호주 417만 달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군별로는 홍성 6980만 달러, 보령 1695만 달러, 당진 1271만 달러, 서천 1248만 달러, 태안 216만 달러 등의 순이다.

 

품목은 기타수산가공품이 8922만 달러로 가장 많고, 김 2226만 달러, 기타수산물 153만 달러, 어육 129만 달러, 미역 111만 달러, 기타조개가 109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법전수] 원조 숯불닭갈비·닭구이 전수창업 강좌 열려
닭연골과 닭목살, 닭안창살 등 ‘특수부위’를 내세운 <숯불닭갈비전문점 메뉴개발> 과정이 오는 11월 1주차에 진행된다. ‘닭갈비’라 하면 갖은 야채에 고추장에 버무린 닭고기를 철판에 볶아 먹는 방식이 대부분이지만, 본래 닭갈비의 원조는 숯불에 구워먹었다고 한다. 1960년대 닭고기를 양념에 재웠다가 숯불에 구워 ‘닭불고기’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기 시작한 것이 춘천 닭갈비의 시초다. 최근엔 닭구이 일명 ‘숯불닭갈비’를 전면에 내세운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경우 200여개의 가맹점을 운영하는 등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원조 춘천 숯불닭갈비 방식 그대로 전수 닭 해체 방법부터 업소환경에 맞춘 대용량 양념레시피까지 '숯불닭갈비'는 껍질이 얇아 노련한 손길이 아니면 태우기 쉽다. 조리의 핵심은 바로 굽는 기술이다. 일반가정에서 만드는 단순한 조리레시피와 과정들만으로는 식당, 전문업장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이에 자영업자, 예비창업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이번 <숯불닭갈비전문점 메뉴개발> 과정에서는 부위별 해체 작업부터 시연을 하고 부위별 쓰임새, 양념 소스 제조법, 곁들임 음식 구성, 상차림 방법을 자세하게 전수한다. 외식 전수창업 전문가단이 향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용인특례시 자활특화브랜드 ‘밥과함께라면’ 4호점 개소
용인특례시는 대표적인 자활 모델로 평가받고 있는 ‘밥과함께라면’ 4호점이 개소식을 개최하고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고 밝혔다. ‘밥과함께라면’은 지난 2018년 8월 용인지역자활센터가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과 자립을 돕고자 기흥구 동백동에 사회서비스형 사업단으로 시작한 분식점이다. 이날 개소식에는 이상일 시장을 비롯해 지역자활센터 운영 법인인 용인YMCA(이사장 김명돌)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 시장은 “지역자활사업은 전국에서 우리 용인특례시가 으뜸이 아닐까 한다”며 “밥과함께라면이 용인에선 4호점까지 생겼고, 성남점과 구리점도 생겼는데 나중에는 전국 곳곳에 지점이 생길 날이 오지 않을까 기대하면서 시도 계속 응원하고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축하의 뜻을 전했다. 한편, ‘밥과함께라면’ 1호점은 시장진입형 분식사업단으로 성장했고, 2023년 8월 자활기업으로 독립했다. 이후 2023년 10월 기흥구 동백2동에 2호점을 개소했고, 2024년 9월 처인구 삼가동에 3호점을 개소하면서 특허청에 상표 등록을 마쳤다. 올 4월엔 한국자활복지개발원 공모사업에 선정돼 지원받은 사업비 7000만 원과 용인특례시 자활기금 7000만 원 등을 들여 이날 4호점을 개소했다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비법전수] 원조 숯불닭갈비·닭구이 전수창업 강좌 열려
닭연골과 닭목살, 닭안창살 등 ‘특수부위’를 내세운 <숯불닭갈비전문점 메뉴개발> 과정이 오는 11월 1주차에 진행된다. ‘닭갈비’라 하면 갖은 야채에 고추장에 버무린 닭고기를 철판에 볶아 먹는 방식이 대부분이지만, 본래 닭갈비의 원조는 숯불에 구워먹었다고 한다. 1960년대 닭고기를 양념에 재웠다가 숯불에 구워 ‘닭불고기’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기 시작한 것이 춘천 닭갈비의 시초다. 최근엔 닭구이 일명 ‘숯불닭갈비’를 전면에 내세운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경우 200여개의 가맹점을 운영하는 등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원조 춘천 숯불닭갈비 방식 그대로 전수 닭 해체 방법부터 업소환경에 맞춘 대용량 양념레시피까지 '숯불닭갈비'는 껍질이 얇아 노련한 손길이 아니면 태우기 쉽다. 조리의 핵심은 바로 굽는 기술이다. 일반가정에서 만드는 단순한 조리레시피와 과정들만으로는 식당, 전문업장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이에 자영업자, 예비창업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이번 <숯불닭갈비전문점 메뉴개발> 과정에서는 부위별 해체 작업부터 시연을 하고 부위별 쓰임새, 양념 소스 제조법, 곁들임 음식 구성, 상차림 방법을 자세하게 전수한다. 외식 전수창업 전문가단이 향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