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생 4명 중 1명, 퇴사 시 말 못한 진짜 퇴사 이유 1위는?!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아르바이트를 그만둔 경험이 있는 알바생 2,793명을 대상으로 ‘알바 퇴사’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4명 중 1명(22.9%)은 퇴사 시 ‘진짜 이유’를 밝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진짜 퇴사 사유를 밝히지 않는 이유는 굳이 얘기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37.8%) 불편한 부분을 내색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34.1%)으로 나타났다. 21.9%는 진짜 퇴사 사유를 이야기한다고 해도 달라질 것은 없기 때문이라고도 말했다.

 

또한, 필요하다면 다시 같은 근무지에서 일하고 싶었기 때문이라는 응답도 2.4%로 집계됐으며, 실제로 전체 알바생 10명 중 3명은 그만둔 근무지에서 ‘다시 정식으로 알바를 시작(16.2%)’ 하거나 ‘바쁠 때 잠깐씩 출근(15.7%)’한 경험이 있었다.

 

 

알바생들이 진짜 퇴사 사유 대신 둘러댄 이유 1위는 ‘학업에 집중하기 위해(54.2%)’가 꼽혔다.

더불어 ▲건강상의 문제(15.2%) ▲기숙사 이사, 자취 등 ‘거주지 이전’(14.4%) ▲인턴십, 취업 등 합격(4.9%) ▲해외 어학연수, 유학 등 국내를 떠날 계획(2.6%) 등의 응답도 있었다.

 

한편, 실제로 학업 병행에 어려움을 겪어 퇴사한 알바생은 19.3%에 불과했다.

둘러댄 이유와는 달리 ▲원래 일정 기간만 일할 예정이었기 때문(14.2%) ▲관리자와의 갈등(12.0%) ▲고된 업무 강도(10.8%) ▲다른 알바로 옮기고자(10.1%) ▲열악한 근무 환경(5.6%) ▲그냥 쉬고 싶어서(4.5%) ▲인턴십, 취업 등 합격(2.7%) ▲건강상의 문제(2.2%) ▲동료 알바생과의 갈등(1.9%) ▲일이 너무 없어 눈치보여서(1.8%) 등이 알바생들이 꼽은 진짜 퇴사 사유였다.

 

특히, 사장님이나 매니저 등 ‘관리자’와의 갈등으로 인해 퇴사했던 알바생들은 40.7%가 그만두는이유를 솔직하게 말하지 못하고 다른 퇴사 이유를 둘러댔다고 밝혔으며 이는 전체 평균(22.9%)을 웃도는 수치다.

 

뿐만 아니라 ▲고된 업무 강도(39.1%) ▲열악한 근무환경(38.2%) ▲동료 알바생과의 갈등(35.8%) ▲일이 너무 없어 눈치보여서(30.8%) 등을 이유로 그만둔 알바생들도 비교적 높은 비율로 솔직한 퇴사 사유를 밝히지 못했다.

 

대부분의 알바생(74.4%)은 퇴사 시 사장님, 매니저 등 관리자에게 직접 얘기하고 그만두는 일정을 조율했지만, 일부는 그만두겠다는 의사와 일정을 문자로 통보(18.6%)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동료에게만 그만둘 예정이라고 알리거나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출근하지 않았다는 응답도 각각 2.0%, 1.5%에 달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런맛남] 던킨, 로코노미(로컬+이코노미) 신메뉴 ‘제주 한정판 우도 땅콩 도넛’ 출시
SPC 비알코리아가 운영하는 던킨이 제주 우도 땅콩을 활용한 지역 특화 한정판 도넛 2종을 출시했다. 신제품 2종은 로코노미(로컬+이코노미) 트렌드를 반영해 제주 지역 특산물인 우도 땅콩을 재료로 만든 제품으로 제주 탑동점 등 제주 지역 14개 매장에서 한정 판매한다. ‘우도땅콩 카스텔라 생도넛’은 쫄깃하고 부드러운 생도넛에 고소한 땅콩 크림을 가득 채우고, 카스텔라 땅콩 고물을 토핑해 부드러운 식감과 고소한 맛이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우도땅콩 후리터’는 도넛 특유의 달콤한 맛과 시나몬 향을 느낄 수 있는 던킨의 시그니처 도넛 ‘후리터’에 땅콩 글레이즈와 우도 땅콩 분태를 얹어 고소한 풍미와 오도독 씹히는 식감을 살렸다. 비알코리아 던킨 관계자는 “우도 땅콩의 맛과 비주얼을 던킨 스타일로 업그레이드해 오직 제주 던킨 매장에서만 만날 수 있는 제품을 선보였다. 앞으로도 지역별로 특색을 살린 제품을 선보여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과 즐거움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던킨은 지역 명물이나 특산품을 활용한 메뉴를 지속 확장해 나가고 있다. 지난 24년 5월 리뉴얼 오픈한 '던킨 부산역 라마다점'은 광안리 해수욕장을 파란 크림으로 구현한 '광안리 소금우유 크림도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취업과창업] '서울시 시니어 일자리박람회 2025' 개최
서울시는 오는 11월 18일 SETEC(강남구)에서 '서울시 시니어 일자리박람회 2025'를 개최한다. 초고령사회 대응 종합대책 ‘9988 서울 프로젝트’의 하나로 마련된 이번 박람회에서는 시니어들이 쌓아온 경력과 전문성을 살려 경제적 자립을 이루고 사회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번 박람회는 서울시가 지난 5월 발표한 초고령사회 대응 종합계획 ‘9988 서울 프로젝트’의 핵심 사업 중 하나다. ‘9988 서울 프로젝트’는 돌봄·경제·여가·환경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어르신의 경제활동 참여를 확대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2040년까지 추진하는 중장기 종합계획이다. 이번 박람회는 단순한 취업 정보 제공을 넘어 현장 면접과 채용 연계, 경력 재설계 컨설팅, 디지털 역량 강화 체험을 한자리에서 제공해 시니어가 새로운 일과 삶을 설계하는 전환점으로 이어지도록 설계됐다. 서울시가 주최하고 서울시50플러스재단·신용카드사회공헌재단·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공동 주관하고, 서울지방고용노동청·서울시노인종합복지관협회·서울시니어클럽협회·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협력한다. 운영은 서울시니어일자리지원센터가 맡는다. 서울시니어일자리지원센터는 60세 이상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