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리포트] 엑티브시니어의 와인 소비 트렌드는 프랑스 와인이 주도

시니어 소셜벤처 임팩트피플스가 2024년 신중년의 와인 트렌드 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는 임팩트피플스의 4060세대 전문 라이프스타일 조사 플랫폼 ‘에이풀(Aful)’을 통해 4월 29일부터 5월 14일까지 40세 이상 남녀 37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액티브시니어 78.6%, 최근 2년 내 와인 구매 경험 있어

40대 73.1%, 고퀄리티 막걸리보다 저렴한 와인 선호

 

먼저 40세 이상의 액티브시니어들에게 ‘최근 3개월 내 와인을 소비한 경험’을 물었다. 그 결과, 응답자의 79.7%가 소비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해당 응답자에게 ‘최근 2년 내 와인을 구매한 경험’에 대해 묻자 78.6%가 구매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자주 구매하는 와인 생산지’와 ‘가장 마시고 싶은 와인 생산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프랑스’ 와인이 각각 34.8%와 48.7%로 1위를 차지했다. ‘자주 구매하는 와인 생산지’ 2위는 ‘남미’(23.8%), 3위는 ‘이탈리아’(15.5%)였고, ‘가장 마시고 싶은 와인 생산지’의 2위는 ‘이탈리아’(17.1%), 3위는 ‘남미’(10.4%)였다.

 

 

또한 ‘상황에 따라 와인의 종류를 구분하는지’에 대해 묻자 ‘구분한다’는 응답이 56.4%로 과반수에 달했다. 이어 ‘최근 2년 내 식전 와인을 구매한 경험’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70.3%가 구매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와인의 종류를 메뉴와 분위기에 따라 구분하는 등 와인 소비 문화가 4060의 일상생활에서 점점 대중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평소 구매하는 와인의 가격대’에 대한 질문에서 ‘3만원 이하’ 와인을 주로 구매한다는 응답이 40.6%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4~6만원 이하’가 28.6%, ‘7~9만원 이하’가 13.9%로 이었다. 해당 응답을 통해 신중년은 와인 구매 시 가격이 낮을수록 높은 구매율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액티브시니어들에게 ‘적당한 가격의 와인과 퀄리티가 높은 국내 막걸리’ 중 하나의 제품을 선택한다면 어떤 것인지 물었다. 응답자의 69.8%가 ‘적당한 가격의 와인’을 선택했다.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40대에서는 와인을 선택한 비율이 73.1%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70대에서는 52.4%가 와인, 47.6%가 막걸리를 선택하며 두 제품 간에 유사한 비율이 나타났다.

 

임팩트피플스의 에이풀 서비스는 국내 최초 4060세대 전문 라이프스타일 조사 플랫폼으로, 4060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신중년 타깃 기업을 위한 트렌드 진단 및 예측 자료 공유, 시니어 제품 리뷰 정보 제공, 시니어 온라인 일거리 개발 등 시니어 산업 발전을 돕고 있다.

 

에이풀(Aful)은 높은 구매력으로 여유로운 장밋빛 인생 2막을 시작한 액티브시니어(Active Senior)를 의미하는 신조어 ‘A세대’에서 따왔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2025 KCIA 한국소비자산업평가 ‘외식업’ 경기 일부 지역 결과 발표
KCA한국소비자평가는 경기 일부 지역에 대한 ‘2025 KCIA 한국소비자산업평가-외식업’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평가는 대한소비자협의회가 주최하고 한국소비자평가가 주관하는 것으로, 경기도 양주, 양평, 여주, 오산, 의왕, 의정부, 이천, 용인시 외식업을 대상으로 했다. 2025 KCIA 한국소비자산업평가 ‘외식업’은 국내 외식 산업의 변화에 맞추어 소비자들에게 양질의 외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실제 방문객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은 우수 업체를 선정해 대중에 소개하기 위해 실시됐다. 이번 평가를 위해 지난 1월~2월 중 포털사이트 리뷰 수 등을 기반으로 전국을 지역별로 나누어 사전조사를 실시했으며 사전 조사에서 상위 33.4% 이내의 평가를 받아 후보군을 선발했다. 이어 후보군에게 후보자 안내를 실시했으며 최종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지역 상위 0.11% 이내의 우수 업체가 다음과 같은 평가 기준을 통해 선정됐다고 KCA한국소비자평가는설명했다. KCA한국소비자평가는 해당 외식 업체를 방문 이용한 소비자들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최종 평가했으며 △음식 만족도 △시설 만족도 △직원의 친절도 △가격의 적정성 △접근성 △전반적 평가의 총 6가지 최종 평가 기준에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