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넓고도 깊은, 日 장기보존식품 리포트

지진과 태풍, 쓰나미 등 한국보다 자연재해 발생빈도가 높은 일본에선 자연스럽게 비상식량, 장기보존식품 사업이 발달했다.

실례로 일본의 대표적인 잡화 전문점 '도큐핸즈(東急ハンズ)' 신주쿠점 방재코너에는 레토르트식품, 컵라면, 통조림을 비롯해 상온에서 6개월 이상 보관할 수 있는 가공식품이 무려 100종류나 된다.

 

 

비상식도 맛있다, 일본 비상식량 카페 등장

작년 12월 신주쿠에 문을 연 ‘IZAMESHI Table’이란 이름의 카페는 음료와 함께 재해 발생 시 찾는 ‘비상식량’을 카페의 주메뉴로 구성, 화제가 되었다. 이색적인 상품구성으로 새로운 경험을 찾는 일본의 젊은 세대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카페 관계자는 “재해 대비 장기보존식품도 맛있을 수 있으며, 일상생활 속에서도 활용 가능하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 스기타 에이스(杉田エース)가 2014년에 ‘IZAMESHI’ 시리즈를 처음 출시했다. 지금은 보존 기간이 3년인 레토르트 카레와 죽, 우동, 라면 제품과 5년인 사탕, 7년인 물 등을 판매하고 있다.”고 전했다.

 

 

‘IZAMESHI Table’을 방문한 고객들은 여러 비상식량을 함께 구매, 다양한 맛을 즐긴다. 진열된 비상식량을 포장 구매해가는 고객도 많다고.

 

 

일반적인 가공식품과 동일하게 제품 사진이나 이미지를 패키지에 넣고, ‘장기보존’이라는 문구를 상품 오른쪽 하단에 넣는 방법으로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는 점을 표시했다.

 

밥과 반찬을 한 캔에

소고기덮밥 체인점으로 인지도가 높은 ‘요시노야’(吉野家)도 재해에 대비해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식품사업을 2019년에 시작, 간판메뉴인 소고기덮밥, 돼지고기 덮밥, 닭고기덮밥 등 6종류의 캔 용기 덮밥 제품을 출시했다.

 

 

데울 필요 없이 바로 먹을 수 있는 장점과 밥과 반찬이 한 캔에 들어있어 한 끼 식사를 위해 최소 2개 제품을 구비해야 하는 다른 제품과는 달리 준비가 간편하며, 보존 기간도 3년이라는 효율성 덕에 소비자 관심도가 높다.

 

캔에 사용하는 쌀은 미야기, 아키타현 현미쌀로 가공식품으로 쌀 소비 확대에 기여하는 면도 있다.

통상 요시노야 점포에서 먹는 덮밥은 평균 4~5천원인 것에 비해 캔 제품은 약 9천원으로 2배가량 비싸, 농수산물의 고부가가치 상품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장기보존 가능한 ‘디저트 비상식량’도 인기

일본 잡화점에는 재해대비 식품이 한 점포에 100가지가 넘는다고 한다. 쌀밥류, 반찬, 수프, 디저트까지 상품 카테고리가 다양해 뷔페가 부럽지 않을 정도다.

여러 상품군 중에서도 치즈케이크, 바바루아(과일·우유·달걀·설탕·젤라틴 등 재료로 만들어서 디저트로 먹는 프랑스 과자) 등 디저트류가 빠른 속도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

 

 

디저트류의 매출 증가는 맛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비상시에는 균형 잡힌 영양 섭취와 편리성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긴장과 불안 속에서 마음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단 음식이나 평소에 먹는 과자 등 기호식품도 준비할 것을 일본 농림수산성도 권장하고 있다.

 

기부하면 재해대비 식품이 '집으로' 오는 제도가 있다?!

일본에서 연말정산 시기가 되면 검색하게 되는 ‘핫’한 제도가 있다.

지역 공헌을 위해 지자체에 기부하고, 기부금액 중 2,000엔(한국 돈 2만 원 정도)을 뺀 금액에 대해 원칙적으로 소득세, 주민세를 공제해주는 제도 ‘후루사토 노제(ふるさと納税/고향 납세)’다.

 

기부자는 지자체에 기부한 답례로 해당 지역에서 생산한 농수산식품 등을 고르면 집으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지자체의 재정난을 해소하고 지역 특산물 소비를 촉진하는 제도로 평가되기도 한다.

 

JA마인즈(JAマインズ)는 도쿄도 후츄시 지역에서 생산한 쌀 중에서 상품성이 떨어져 팔 수 없는 쌀가루로 재해비축용 빵 통조림을 만들었다. JA마인즈는 후루사토 노제 활용 사이트 ‘후루사토 초이스’에 빵 통조림을 후츄시 기부 답례품으로 작년 12월에 등록했다. 3개월 만에 약 90명의 기부자가 답례품으로 빵 통조림을 선택했다고 한다.

 

자료참조 : kati 농식품수출정보


푸드&라이프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광양시 ‘K-푸드’ 김의 뿌리, 인류 최초 김 양식지 ‘광양김시식지’로 초대합니다
광양시가 인류 최초 김 양식의 현장이자 김 수출 10억 달러 시대를 연 주역인 세계 유일의 ‘광양김시식지’를 꼭 방문해 봐야 할 광양의 역사·문화 명소로 소개했다. 최근 K-콘텐츠와 K-푸드 등 한국 문화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광양김시식지’는 K-푸드 김의 뿌리를 간직한 역사적 현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곳은 400년 김 산업의 역사가 시작된 상징적 공간으로, 인류 최초로 김 양식법을 고안해 바다를 경작의 영역으로 확장한 김여익 공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조성됐다. 김여익은 병자호란 당시 의병으로 활약했으나, 조정이 청과 굴욕적인 화의를 맺자 통탄하며 광양 태인도에 은둔했다. 그는 바다 위를 떠다니는 나무에 해초가 걸리는 모습에서 착안해, 1643년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역의 특징을 활용한 ‘섶꽂이 양식법’을 인류 최초로 창안·보급했다. 수라상에 오른 김의 맛에 감탄한 인조 임금이 “광양의 김여익이 진상했다”는 말을 듣고, 그의 성을 따서 ‘김’이라 부르게 됐다는 흥미로운 유래도 전해진다. 후손들은 매년 음력 10월이면 김시식지 내 인호사에서 제향을 올리며 김여익의 업적을 기리고,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는 ‘용지큰줄다리기’ 전통도 300여 년째 이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