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수입 농.수.축산물 9.1% 감소 가공식품 수입은 큰 변화없어

축산물 중 돼지고기 수입량 1위, 소고기 수입량 2위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3년 국내로 수입된 식품 등은 165개 국가에서 79만2천여건, 1,838만톤, 348억 2천만 달러 상당으로, 전년 대비 수입건수는 1.2%, 중량은 5.6%, 금액은 8.6%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국가별 수입식품 특징은 지난해 식품 등은 총 165개국에서 수입됐으며, 주요 수입국은 중국, 미국, 호주 순으로 이들 국가로부터 수입된 양이 전체의 48.4%(888만톤)를 차지했다.

 

중국에서는 김치(28만 7천톤)와 정제소금(24만 2천톤)이, 미국은 밀(114만톤)과 대두(57만 2천톤), 호주에서는 밀(110만 2천톤), 정제과정이 필요한 식품원료(83만 3천톤)가 가장 많이 수입됐다.

 

전년과 비교해 가공식품 주 수입국인 중국의 수입물량(331만톤)은 4.4% 증가한 반면, 농산물 주 수입국인 미국(290만톤)과 호주(268만톤)의 수입물량은 각각 15.2%, 9.5% 감소했다.

 

그 외 수입이 많은 국가 중 우크라이나는 옥수수(91만 9천톤), 태국은 원당과 같이 정제과정이 필요한 식품원료(63만 7천톤), 브라질의 경우 대두(59만 9천톤) 등이 가장 많이 수입됐다.

 

주요 수입국가별 수입품목은 가공이 완료된 완제품보다는 주로 대두, 옥수수, 정제과정이 필요한 식품원료 등 원료성 수입식품이 주로 수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원료를 이용 국내의 우수한 기술을 거쳐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재생산되어 해외 수출로 이어지는 등 선순환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작년 한해 총 2,312개 품목이 수입됐는데, 이 중 수입량 상위 5개 품목은 정제과정이 필요한 식품원료, 밀, 옥수수, 대두, 바나나으로 이들 수입량 851만톤이 전체의 46.4%를 차지했다. 국내 수입식품의 약 60%를 차지(중량 기준)하는 농·임·축·수산물의 수입량은 약 1,095만톤으로 전년 대비 9.1%(약 109만톤) 감소했다.

 

특히 전체 수입실적의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44.5%, 818만톤)하는 농·임산물의 수입량 감소(9.1%, 81만톤)가 2023년 총 수입량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중 수입량 상위 품목인 밀(9.5%)과 옥수수(16.5%) 및 대두(3.6%)의 감소폭이 컸다.

 

또한, 축산물 수입량을 살펴보면 지난 2년간 돼지고기(30%)가 1위, 소고기(29%)가 2위를 차지한 가운데 전년 대비 2.8% 감소했고, 이중 돼지고기(부산물 포함)의 수입량 감소폭(7.9%)이 두드러졌다. 다만 할당관세를 적용받은 닭고기는 전년 대비 수입량이 21.9% 증가했다.

 

수산물 역시 전년 대비 수입량 하락폭(18.6%)이 컸다. 특히 수산물 수입 상위 품목인 냉동명태의 수입량이 전년에 비해 56.6% 감소했는데, 이는 러시아산 냉동명태의 수입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가공식품의 수입량은 650만톤(전체 수입량의 35.4%)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였으나 김치 수입량은 꾸준히 증가했다. 김치는 전년 대비 9% 증가한 28만 7천톤이 수입됐고 대부분은 중국에서 생산됐다.

 

건강기능식품은 지난 4년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3년 수입량이 2만 4천톤으로 처음 감소했다. 반면 국내 건강기능식품 수출은 2억 4834만 달러로 전년(2억 1,522만 달러) 대비 1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입품목은 복합영양소 제품, 개별인정받은 건강기능식품, 영양소·기능성 복합제품 등이다.

 

수입식품 등 검사결과 부적합 현황은 작년 한해 수입신고된 수입식품 등에 대한 검사결과 61개국의 301품목, 1,366건(0.17%), 7,002톤(0.04%)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 국내 반입이 차단됐다.

 

국가별로 중국, 베트남, 미국, 이탈리아, 인도 순으로 부적합이 많이 발생했으며, 이들 5개 국가의 부적합은 854건으로 전체 부적합 건수의 62.5%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폴리프로필렌(기구 또는 용기·포장), 과자, 과‧채가공품, 침출차, 빵류 순으로 많이 발생했으며, 부적합 사유는 ▲개별 기준·규격 위반(407건, 29.9%) ▲농약 잔류허용기준 위반(317건, 23.2%)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위반(194건, 14.2%) ▲미생물 기준 위반(187건, 13.7%) ▲이물 기준 위반(65건, 4.7%) 등이었다.

 

반면, 전년도와 비교해 이물 기준(27.8%↓), 개별 기준·규격(11.5%↓), 미생물 기준(11.3%↓) 위반은 감소했다.

 

식약처는 이번 수입식품 통계 자료가 수입식품 산업 분야의 현황 분석자료로 이용되고 향후에도 관련 산업의 제품 개발 연구와 정부 정책 수립 등 산업 발전 전반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푸드&라이프] "약용버섯, 이제 맛있게 즐긴다" 활용 요리법 공개
농촌진흥청은 약용버섯의 가치를 알리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평소 쉽게 해 먹을 수 있는 약용버섯 요리법을 공개했다. 약용버섯은 면역력 강화, 항암, 항산화 등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버섯을 말한다. 우리나라 대표 약용버섯으로는 상황버섯, 잎새버섯, 영지버섯 등이 있다. 농촌진흥청은 일상생활에서 주로 차로 마시거나, 가루로 만들어 건강식품처럼 섭취하는 약용버섯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버섯 종류별로 10개씩 총 30종류의 요리 방법을 제안했다. 상황버섯은 참나무나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서 자생하며, 황금빛 색감과 단단한 목질 구조가 특징이다.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세포 노화 방지와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 상황버섯 우린 물에 닭과 삼계탕용 약재, 마늘, 대추를 넣고 끓이면 부드러운 육질에 고단백, 탄수화물 식단 ‘상황버섯 누룽지 삼계탕’이 완성된다. 잎새버섯은 밤나무, 느릅나무에서 자생하며, 잎사귀처럼 펼쳐진 갓과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항암, 염증성 질환 예방, 장 건강 개선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 잎새버섯을 먹기 좋은 크기로 찢은 뒤, 대파, 양파, 통조림 햄, 양념장을 넣어 끓이면 매콤하면서 진한 ‘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달서구,‘대구로 달서데이’운영…골목상권에 활력 더한다
대구 달서구는 지역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을 도모하고 침체된 골목상권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대구로 달서데이(Dalseo Day)’를 운영한다 ‘달서데이’는 지역 소비 활성화를 위한 캠페인으로, 매주 토요일 시민생활종합플랫폼 ‘대구로’ 앱을 통해 1만 원 이상 주문 시 3천 원의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쿠폰은 4월 5일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매주 발급되며, 달서구 소재 ‘대구로’ 입점 업소에서 사용 가능하다. 달서구는 골목상권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병행 추진 중이다. 지난 1월에는 장기동 먹거리상가와 성서계대 로데오거리 상가를, 3월에는 삼성명가상가를 각각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하며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지역 내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 구청 구내식당의 ‘외식의 날’을 주 1회로 운영하고 있으며 오는 6월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또한 ‘대구로’ 가맹 소상공인 매장에서 1만 원 이상 구매 후 인증 시, 추첨을 통해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하는 SNS 참여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 상권 활성화 아이디어도 달서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상시 접수하고 있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이번 ‘대구로 달서데이’가 지역 소비 촉진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전수창업] 갈비대가 ‘소갈비찜·갈비탕’ 전수한다
30년 경력의 갈비대가이자 조리기능장을 보유한 특급셰프의 ‘소갈비찜·갈비탕’ 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메뉴개발 과정이 오는 4월 10일(목)에 열린다. 이번 과정에서는 '소양념갈비찜'과 '갈비탕'을 중심으로 전수가 진행된다. 갈비찜, 갈비탕에 사용하는 비법양념과 만능육장은 물론 갈비와 어울리는 상차림(깍두기/겉저리/궁채·삼채나물무침)까지 갈비탕 창업에 필요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교육을 맡은 박종록 셰프는 90년대초부터 30년간 국내 대형호텔의 한식셰프로 근무했으며, 2011년 북경교육문화회관이 오픈할 당시 총책임자로 중국에 건너가 현지 조리사들에게 한식 기술을 전수하기도 했다. 청와대에서도 근무, 특히 국가에서 조리에 관한 최상급 숙련 기능을 인정받은 셰프에게 주는 자격인 조리기능장을 보유하고 있다. 특급셰프의 소갈비찜·갈비탕 기술전수 대한민국 갈비대가의 레시피 제공 교육에 참여하면 박종록 셰프가 직접 개발해 메뉴로 출시한 소갈비찜·갈비탕의 레시피와 기술을 배울 수 있다. 독자적으로 터득한 만능육장, 비법앙념 제조법 등을 상세하게 알려줄 예정​이다. 또한, 한우, 수입산(미국, 호주, 뉴질랜드)에 따라 고기를 삶는 최적의 시간 등 갈비탕 전문점 운영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