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서울카페쇼, 역대 최대 규모로 코엑스서 개막

아시아 최초 커피 박람회로 시작해 글로벌 커피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성장한 제23회 서울카페쇼(The 23rd Seoul Int’l Cafe Show, 이하 서울카페쇼)가 6일 코엑스 전관에서 개막했다.

 

올해 서울카페쇼는 ‘다양성’과 ‘포용성’을 글로벌 커피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가치를 조명할 수 있는 ‘컬러풀 카페쇼(colorful Cafe Show)’를 주제로 선정했다. 커피의 다양한 요소에 걸친 존중과 연결성을 강조해 브라질, 콜롬비아, 베트남 등 커피 산지를 비롯해 미국과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프랑스, 호주, 일본, 캐나다 등 전 세계 36개국 681개 업체, 3891개 브랜드가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다.

 

올해 서울카페쇼는 전세계 커피 산지가 만들어내는 각양각색의 커피 향미부터 다양한 취향과 개성을 반영한 카페공간 등 더욱 다채롭고 폭넓은 커피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서울카페쇼는 ▲세계 각지에서 모인 로스터리 카페의 스페셜티 커피를 경험할 수 있는 ‘커피앨리’ ▲2024년을 화려하게 장식한 업계 히트 제품부터 2025년을 빛낼 신제품을 소개하는 쇼케이스 ‘체리스 초이스’ ▲참가업체 제품과 브랜드의 우수성을 알려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카페 및 F&B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카페쇼 엑셀런스 어워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카페쇼 ESG’ 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세계적으로 유명한 로스터리 카페들의 스페셜티 커피를 시음할 수 있어 많은 커피 애호가들의 관심이 집중됐던 ‘커피앨리’는 올해 국내외 89개 로스터리 카페들이 참가하며 참관객들에게 보다 폭 넓은 스페셜티 커피의 세계를 선사한다.

 

2024년 커피 산업의 스테디셀러 인기 제품 30종과 2025년을 빛낼 혁신적인 신제품 30종을 만나볼 수 있는 ‘체리스 초이스(Cherry’s Choice)’도 내년 커피 산업 트렌드에 관심이 많은 업계 종사자와 카페 창업을 희망하는 참관객이라면 놓칠 수 없는 프로그램이다.

 

서울카페쇼는 ▲세계 커피 산업을 이끌어 가는 커피 산업 리더들이 자신들의 노하우와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토론을 나누는 컨퍼런스 ‘월드커피리더스포럼’과 ▲서울 도심 곳곳에서 서울의 커피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서울커피페스티벌’도 동시에 개최된다.

 

 

서울카페쇼와 동시 개최되는 도심 속 글로벌 커피 문화 축제인 ‘제9회 서울커피페스티벌’은 서울 곳곳의 카페 문화를 함께 경험할 수 있는 ▲서울커피스팟과 스타필드 코엑스몰 별마당도서관에서 진행하는 ▲커피라이브러리 ▲커피토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로 구성해 열린다. 특히 올해 ‘커피 라이브러리’는 ‘미니 커피 아트 갤러리를 결합해 뉴욕, 서울, 포틀랜드 등 전세계 도시 카페의 풍경을 종이컵 드로잉 일러스트레이터 신문섭 작가의 작품을 둥근 종이컵에 담아 색다른 전시를 펼친다.

 

서울카페쇼는 카페 산업의 다양한 문화와 관점을 포용하고 미래를 제시하는 2025년 커피 산업 트렌드 키워드 ‘컬러즈(C.O.L.O.R.S)’를 발표했다. 서울카페쇼가 선정한 2025년의 커피 산업 트렌드 키워드 컬러즈(C.O.L.O.R.S)는 ▲Customized Creations(맞춤형 창작 메뉴) ▲Origin-Driven Connections(로컬 경쟁력) ▲Leisure, Rituals & Wellness(여유, 의식 & 웰니스) ▲Open to Multicultural Influences (다문화적 영향 수용) ▲Reinvented Collaborations(협업의 재발견) ▲Sustainability with Style(스타일리시한 지속 가능성)로 끊임없이 진화하는 소비자 욕구와 변화와 연결, 상호 존중의 키워드를 반영했다.

 

올해 서울카페쇼는 오는 9일까지 나흘동안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관에서 개최될 예정으로 현장에서도 입장권 구매가 가능하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순천, ‘지역 특산품 활용 디저트 교육’ 성료
순천시는 농촌 주민역량강화사업 일환으로 추진된 ‘특산품을 활용한 디저트 개발과정’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6월 한 달간 농산물가공센터에서 읍면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특히 특산품 가공 및 상품화에 관심 있는 주민들의 참여가 뜨거웠다. 수업은 순천 쌀을 활용한 요리 전문가가 수업을 맡아 진행했다. 주요 교육내용은 ▲순천만 모링가를 활용한 쌀쿠키 ▲순천막걸리를 활용한 컵술빵 ▲순천복숭아를 이용한 케이크 ▲우리쌀을 이용한 쉬폰빵 등으로,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디저트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 한 수강생은 “디저트 요리가 낯설고 어렵게만 느껴졌지만, 이번 교육을 통해 가족과 이웃에게 직접 만든 음식을 나눌 수 있어 좋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또한, 체험 농장을 운영하는 한 수강생은 “농장을 방문하는 유아들과 함께 만들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을 고민하고 있었는데, 이번 디저트 만들기 과정을 통해 많은 아이디어를 얻었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교육을 통해 지역 특산물의 가치를 높이는 것은 물론, 주민들의 실질적인 자립 역량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