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식품동향] 일본, 내식 비중커지며 홈베이킹 붐

코로나19 발생 이후 일본에서 내식을 하는 비중이 올라가며 가정용 식료품 판매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 그중 홈베이킹 유행을 타고 버터 등 베이킹 식재료가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내식 비중 커지자 경영 전략 재편하는 식품업계

일본 총무성의 가계지출 조사에 의하면 2020년 3월에 일본 전체 가구의 외식 관련 지출은 전년 동월 대비 32.6% 축소됐다. 전국적으로 긴급사태가 발령되며 대부분 음식점이 임시 휴업 혹은 단축 영업을 한 4월에는 그 폭이 더 커져서 65.7% 감소했다.

 

일본 소비자의 내식 비중은 2월 중순부터 상승하기 시작해 긴급사태가 해제되기 직전인 5월 7일~13일에는 그 비중이 점심에는 65.9%(전년 동기 대비 39.5% 상승), 저녁에는 88.4%(전년 동기 대비 14.6% 상승)였다. 저녁 식사의 내식 비중이 80%를 초과하는 것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직후 처음이다.

 

‘아사히맥주’의 경우 3월에 출시한 신제품 ‘아사히 더 리치’가 히트를 치면서 출시 후 2달 만에 연간 판매 목표의 50%를 달성했다. 한편, 동사의 스테디셀러라고 할 수 있는 업소용 ‘슈퍼드라이’의 4월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80%나 떨어졌다. 집술, 랜선 회식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어난 것이 주된 이유이다.

 

각종 소스를 제조 및 판매하는 ‘불도그소스’사는 B2B 비즈니스의 강화를 골자로 했던 중기 경영 계획의 방향을 대폭 수정한다. 불도그소스는 업소용 제품 사업 부문에 투입하려고 했던 사내 예산 및 인력 배치를 가정용 부문으로 전환했다.

 

홈베이킹 열풍에 빵 재료 품귀현상

학교 휴업, 재택근무 등으로 인해 홈베이킹 인구가 늘며 가정용 버터 판매량이 급증했다. 닛케이 POS정보에 의하면, 4월 및 5월에 일본 전국에서의 가정용 버터 판매액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6배, 1.5배 증가했다. 이는 크리스마스, 밸런타인데이 시즌보다 높은 수치다.

 

 

유제품 제조사들은 4~6월에 버터의 생산량을 전년 동기대비 28.8% 확대에 나섰다. 하지만 제조사 생산 설비 대부분이 업소용 대용량 제품(450g) 중심이기 때문에 갑자기 증가한 가정용 소용량 제품(200~250g)의 수요를 따라잡지 못했다. 물량 확보가 어려워 슈퍼마켓에서는 1명 당 버터 1개로 판매를 제한하기도 한다.

 

또한, ‘닛신제분’은 업소용 제품에 비해 가정용 제품 수요가 5배 늘며 생산 라인을 풀가동했다. 수요를 맞추고자 생산 라인을 최대한 빨리 가정용으로 바꾸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끈따끈한 ‘고급 식빵’ 열기

 

 

최근 몇 년 동안 일본에서 이어져 온 ‘고급 식빵’ 붐도 홈베이킹 열풍에 한몫했다. 입에서 녹을 정도로 부드럽고 달콤한 맛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식빵은 2013년 세븐일레븐에서 처음으로 출시하여 히트를 친 이래, 도쿄, 오사카, 나고야 등 주요 도시에 프랜차이즈가 다수 생겨났다.

 

 

2018년 9월에 도쿄에 1호점을 오픈한 고급 식빵 전문점 ‘긴자니시카와’는 매장을 17개로 늘리며 빠르게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오사카에 본점을 둔 고급 식빵 전문점 ‘노가미’는 2019년 7월 기준으로 전국에 총 137개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노가미는 2017년, 2018년 연속 ‘Yahoo! 검색’에서 식품 부문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일본 총무성의 가계지출 조사에 의하면 1985년 가구 당 쌀과 빵에 쓰는 비용을 비교해보면 쌀이 75,302엔, 빵이 23,499엔으로 쌀이 3배 이상 높았다. 하지만 지금은 빵이 30,084엔으로 쌀(23,880엔)을 넘어섰다.

 

 

재팬베이커리 마케팅 관계자는 “일본의 젊은 층은 아침 식사로 빵을 먹는 라이프 스타일에 익숙하기 때문에 고급 식빵은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하나의 장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푸드&라이프] "약용버섯, 이제 맛있게 즐긴다" 활용 요리법 공개
농촌진흥청은 약용버섯의 가치를 알리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평소 쉽게 해 먹을 수 있는 약용버섯 요리법을 공개했다. 약용버섯은 면역력 강화, 항암, 항산화 등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버섯을 말한다. 우리나라 대표 약용버섯으로는 상황버섯, 잎새버섯, 영지버섯 등이 있다. 농촌진흥청은 일상생활에서 주로 차로 마시거나, 가루로 만들어 건강식품처럼 섭취하는 약용버섯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버섯 종류별로 10개씩 총 30종류의 요리 방법을 제안했다. 상황버섯은 참나무나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서 자생하며, 황금빛 색감과 단단한 목질 구조가 특징이다.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세포 노화 방지와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 상황버섯 우린 물에 닭과 삼계탕용 약재, 마늘, 대추를 넣고 끓이면 부드러운 육질에 고단백, 탄수화물 식단 ‘상황버섯 누룽지 삼계탕’이 완성된다. 잎새버섯은 밤나무, 느릅나무에서 자생하며, 잎사귀처럼 펼쳐진 갓과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항암, 염증성 질환 예방, 장 건강 개선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 잎새버섯을 먹기 좋은 크기로 찢은 뒤, 대파, 양파, 통조림 햄, 양념장을 넣어 끓이면 매콤하면서 진한 ‘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달서구,‘대구로 달서데이’운영…골목상권에 활력 더한다
대구 달서구는 지역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을 도모하고 침체된 골목상권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대구로 달서데이(Dalseo Day)’를 운영한다 ‘달서데이’는 지역 소비 활성화를 위한 캠페인으로, 매주 토요일 시민생활종합플랫폼 ‘대구로’ 앱을 통해 1만 원 이상 주문 시 3천 원의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쿠폰은 4월 5일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매주 발급되며, 달서구 소재 ‘대구로’ 입점 업소에서 사용 가능하다. 달서구는 골목상권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병행 추진 중이다. 지난 1월에는 장기동 먹거리상가와 성서계대 로데오거리 상가를, 3월에는 삼성명가상가를 각각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하며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지역 내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 구청 구내식당의 ‘외식의 날’을 주 1회로 운영하고 있으며 오는 6월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또한 ‘대구로’ 가맹 소상공인 매장에서 1만 원 이상 구매 후 인증 시, 추첨을 통해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하는 SNS 참여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 상권 활성화 아이디어도 달서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상시 접수하고 있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이번 ‘대구로 달서데이’가 지역 소비 촉진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전수창업] 갈비대가 ‘소갈비찜·갈비탕’ 전수한다
30년 경력의 갈비대가이자 조리기능장을 보유한 특급셰프의 ‘소갈비찜·갈비탕’ 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메뉴개발 과정이 오는 4월 10일(목)에 열린다. 이번 과정에서는 '소양념갈비찜'과 '갈비탕'을 중심으로 전수가 진행된다. 갈비찜, 갈비탕에 사용하는 비법양념과 만능육장은 물론 갈비와 어울리는 상차림(깍두기/겉저리/궁채·삼채나물무침)까지 갈비탕 창업에 필요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교육을 맡은 박종록 셰프는 90년대초부터 30년간 국내 대형호텔의 한식셰프로 근무했으며, 2011년 북경교육문화회관이 오픈할 당시 총책임자로 중국에 건너가 현지 조리사들에게 한식 기술을 전수하기도 했다. 청와대에서도 근무, 특히 국가에서 조리에 관한 최상급 숙련 기능을 인정받은 셰프에게 주는 자격인 조리기능장을 보유하고 있다. 특급셰프의 소갈비찜·갈비탕 기술전수 대한민국 갈비대가의 레시피 제공 교육에 참여하면 박종록 셰프가 직접 개발해 메뉴로 출시한 소갈비찜·갈비탕의 레시피와 기술을 배울 수 있다. 독자적으로 터득한 만능육장, 비법앙념 제조법 등을 상세하게 알려줄 예정​이다. 또한, 한우, 수입산(미국, 호주, 뉴질랜드)에 따라 고기를 삶는 최적의 시간 등 갈비탕 전문점 운영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