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발생 이후 일본에서 내식을 하는 비중이 올라가며 가정용 식료품 판매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 그중 홈베이킹 유행을 타고 버터 등 베이킹 식재료가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내식 비중 커지자 경영 전략 재편하는 식품업계
일본 총무성의 가계지출 조사에 의하면 2020년 3월에 일본 전체 가구의 외식 관련 지출은 전년 동월 대비 32.6% 축소됐다. 전국적으로 긴급사태가 발령되며 대부분 음식점이 임시 휴업 혹은 단축 영업을 한 4월에는 그 폭이 더 커져서 65.7% 감소했다.
일본 소비자의 내식 비중은 2월 중순부터 상승하기 시작해 긴급사태가 해제되기 직전인 5월 7일~13일에는 그 비중이 점심에는 65.9%(전년 동기 대비 39.5% 상승), 저녁에는 88.4%(전년 동기 대비 14.6% 상승)였다. 저녁 식사의 내식 비중이 80%를 초과하는 것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직후 처음이다.
‘아사히맥주’의 경우 3월에 출시한 신제품 ‘아사히 더 리치’가 히트를 치면서 출시 후 2달 만에 연간 판매 목표의 50%를 달성했다. 한편, 동사의 스테디셀러라고 할 수 있는 업소용 ‘슈퍼드라이’의 4월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80%나 떨어졌다. 집술, 랜선 회식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어난 것이 주된 이유이다.
각종 소스를 제조 및 판매하는 ‘불도그소스’사는 B2B 비즈니스의 강화를 골자로 했던 중기 경영 계획의 방향을 대폭 수정한다. 불도그소스는 업소용 제품 사업 부문에 투입하려고 했던 사내 예산 및 인력 배치를 가정용 부문으로 전환했다.
홈베이킹 열풍에 빵 재료 품귀현상
학교 휴업, 재택근무 등으로 인해 홈베이킹 인구가 늘며 가정용 버터 판매량이 급증했다. 닛케이 POS정보에 의하면, 4월 및 5월에 일본 전국에서의 가정용 버터 판매액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6배, 1.5배 증가했다. 이는 크리스마스, 밸런타인데이 시즌보다 높은 수치다.

유제품 제조사들은 4~6월에 버터의 생산량을 전년 동기대비 28.8% 확대에 나섰다. 하지만 제조사 생산 설비 대부분이 업소용 대용량 제품(450g) 중심이기 때문에 갑자기 증가한 가정용 소용량 제품(200~250g)의 수요를 따라잡지 못했다. 물량 확보가 어려워 슈퍼마켓에서는 1명 당 버터 1개로 판매를 제한하기도 한다.
또한, ‘닛신제분’은 업소용 제품에 비해 가정용 제품 수요가 5배 늘며 생산 라인을 풀가동했다. 수요를 맞추고자 생산 라인을 최대한 빨리 가정용으로 바꾸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끈따끈한 ‘고급 식빵’ 열기

최근 몇 년 동안 일본에서 이어져 온 ‘고급 식빵’ 붐도 홈베이킹 열풍에 한몫했다. 입에서 녹을 정도로 부드럽고 달콤한 맛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식빵은 2013년 세븐일레븐에서 처음으로 출시하여 히트를 친 이래, 도쿄, 오사카, 나고야 등 주요 도시에 프랜차이즈가 다수 생겨났다.

2018년 9월에 도쿄에 1호점을 오픈한 고급 식빵 전문점 ‘긴자니시카와’는 매장을 17개로 늘리며 빠르게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오사카에 본점을 둔 고급 식빵 전문점 ‘노가미’는 2019년 7월 기준으로 전국에 총 137개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노가미는 2017년, 2018년 연속 ‘Yahoo! 검색’에서 식품 부문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일본 총무성의 가계지출 조사에 의하면 1985년 가구 당 쌀과 빵에 쓰는 비용을 비교해보면 쌀이 75,302엔, 빵이 23,499엔으로 쌀이 3배 이상 높았다. 하지만 지금은 빵이 30,084엔으로 쌀(23,880엔)을 넘어섰다.

재팬베이커리 마케팅 관계자는 “일본의 젊은 층은 아침 식사로 빵을 먹는 라이프 스타일에 익숙하기 때문에 고급 식빵은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하나의 장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