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말, 말] BTS 지민이 먹던 ‘떡볶이’, 전 세계인 관심 폭증

지난해 7월 서울 동대문 시장 근처 한 노점상에서 그룹 방탄소년단(BTS) 멤버 지민이 떡볶이를 먹는 사진 한 장이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다. 떡볶이와 순대를 먹는 모습이 국내외에서 큰 화제가 된 것. 특히 글로벌 팬들의 관심은 곧 그가 먹던 음식 '떡볶이'와 '순대'로 이어졌다.

해외 매체들은 앞다퉈 방탄소년단(BTS) 지민이 먹은 떡볶이에 주목했다. 미국 연예매체는 지민 덕에 떡볶이가 유명해졌다고 보도할 정도였다.

 

 

치즈와 잘 어울리는 달콤하고 매운 ‘떡볶이’

글로벌 1030 여성 소비자 입맛 사로잡아

'떡볶이' 인기가 해외에서 고공 상승하고 있다. 떡볶이의 매출이 늘면서 우리나라 쌀 가공식품 수출액이 처음으로 1억 달러를 돌파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쌀 가공식품 수출액은 1억698만달러(약 1250억원)로 2018년보다 19.8% 증가했다. 2015년과 비교하면 두 배 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그중 지난해 컵 떡볶이와 같은 간편 조리 떡류 수출액은 3431만4000달러(398억원) 규모로 전년 대비 39.4% 상승했다.

 

한국서 시작된 '먹방' 컨텐츠에도 큰 관심

음식명 표기도 한글 이용 사례 증가세

한류 영향으로 전 세계 K팝 팬들에게 떡볶이의 인지도와 수요가 늘고 있다. 실제 지난 1년간 SNS상에선 인기 아이돌 그룹 ‘엑소’의 멤버 찬열이 올린 떡볶이 레시피 글과 앞서 소개한 BTS 멤버 지민이 국내 떡볶이가게에서 즉석 팬미팅하는 사진 등이 세계 팬들에게 퍼져나가며 떡볶이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이들은 주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먹방' 영상을 통해 떡볶이를 접했다.

먹방 영상을 시청한 뒤 떡볶이를 구입한 소비자는 일반 소비자와 비교해 만족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눈에 띄는 점은 제품의 이름이다. 떡볶이의 경우 'spicy rice cake'(매운 쌀떡) 대신 한국어 발음을 그대로 살린 'tteokbokki'로 소개되며 대표 한식으로 자리매김했다.

떡볶이뿐 아니라 최근 한국의 ‘만두’ 또한 덤플링(dumpling)이라는 표현 대신 우리 발음 그대로 ‘만두(Mandu)’로 소개, 제품을 홍보하고 있다.

 

 

한국식 발음이 세계적으로 퍼지게 된 데에는 K-pop 스타들과 국내외 먹방 유튜버의 영향이 크다.

먹방의 세계적인 유행에 따라 해외에서는 ‘먹방’을 표기할 때 우리말 발음 그대로 표기한 ‘먹방(MUKBANG)’ 먹방이 고유명사로 자리잡았다.

한류 스타들이 SNS와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한식을 먹는 일상적인 모습을 공유하고 세계 곳곳의 팬들은 이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자연스럽게 한식의 한국어 발음에 익숙해지는 것이다.

 

 

최근엔 유튜브뿐 아니라 ‘넷플릭스’를 통해 한국 문화를 더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한국 음식을 향한 관심도 높아졌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올해를 이끌 식품 트렌드 중 하나로 '한식'을 꼽기도 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최근 코로나19 영향으로 간편식 수출이 늘었고, 케이팝 영향으로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더 커졌다. 앞으로 미국과 아시아를 넘어 유럽으로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완주 9품×청년 셰프’ 로 2025 K-미식관광 시동
완주군이 ‘완주 9품’에 삼례 청년 셰프들의 이야기를 더해 새로운 미식관광 프로젝트를 열었다. 단순한 먹거리 행사를 넘어, 완주를 ‘머무는 관광지’로 만드는 체류형 K-미식관광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본격적인 시동이다. 완주군은 올해 전북특별자치도의 ‘2025년 전북형 미식관광 활성화 공모사업’에 선정되며 지역 미식자원을 관광 콘텐츠로 발전시키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 사업의 첫 시작이 바로 지난 9월 ‘완주 와일드&로컬푸드 축제’에서 운영된 ‘완주 ON세계 미식여행’ 팝업스토어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단순한 음식 판매가 아니라, 완주 농산물·청년 셰프·미식 전문가가 함께 만든 실험의 장이었다. 완주군은 사업 초기부터 푸디온 김태현 대표를 미식컨설턴트로 초빙해 삼례권역 청년 셰프들(홍식당, 텐플러스, 커피한잔)과 협력했고, 그 결과 ‘완주 토마토 크림 새우’, ‘고산 한우 소보로 라이스’, ‘봉동 생강 파워 레몬에이드’ 등 완주 9품 기반 메뉴 9종이 모두 완판되며 현장에서 큰 관심을 모았다. 셰프들의 반응도 긍정적이었다. “우리 식재료가 가진 힘을 다시 느꼈다”, “축제 반응 덕분에 더 도전해보고 싶다” 등 현장에서 확인한 가능성으로 청년 셰프들의 자신감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한식창업 선호도 1위 ‘국밥’의 모든 것, '한우국밥&미나리곰탕' 비법전수
잘 팔리는 강력한 상품으로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외식사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이번 메뉴개발 아이템은 점심 한 끼 식사로도 저녁 장사로도 접근성이 좋은 ‘국밥’이다. 한식 창업 선호도 1위인 ‘국밥’은 계절을 타지 않는 꾸준한 수요와 최근엔 배달 창업 아이템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오는 11월 27일(목) ‘한우국밥’, ‘미나리곰탕’ 비법 레시피 전수 ‘국밥’은 다양한 종류만큼 특색 있는 맛과 각기 다른 매력으로 매일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음식으로 꼽힌다. 그중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들과 유명 국밥맛집을 비교·분석, 국밥계의 베스트셀러인 명품 ‘한우국밥’과 떠오르는 신예 ‘미나리곰탕’ 비법을 전수하는 교육과정이 오는 11월 27일(목) 진행된다. 먼저 대파와 무. 그리고 양지, 사태 등 소고기가 한 솥에 어우러져 시원하고 깊은 맛을 자랑하는 원조 한우국밥 비법을 전수한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칼칼하고 매운 국물을 위해 소기름과 고춧가루로 만든 고추기름을 넣어 텁텁하지 않고 깔끔하게 매운맛을 가미했다. 또한 최근 국밥전문점에서 매출 견인의 효자메뉴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미나리곰탕’ 레시피도 함께 전수한다.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