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이슈]외식인, 모바일앱으로 브랜드 품질 상향평준화 이뤄

하루가 다르게 외식 소비트렌드가 급변하는 시대가 되며 신속한 의사결정은 외식 기업 경영의 핵심 역량이 됐다. 하지만 한정된 인력과 자원으로 수십, 수백 개의 가맹점과 소통하며 매출 추이, 품질 관리 등을 일원화시켜 관리하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푸드테크 기업 주식회사 외식인은 이러한 업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앱으로 프랜차이즈 품질관리가 가능한 시스템 ‘FQMS’를 개발했다. FQMS앱을 이용하면 전국 각지에 흩어진 가맹점의 품질점검 통계 데이터는 물론 관리 현황, 문제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슈퍼바이저가 담당 가맹점을 방문한 다음 외식인의 FQMS앱을 이용해 Q(품질)·S(서비스)·C(위생) 등을 점검하면 실시간으로 품질점검 리포트가 생성되며, 이와 동시에 전국 가맹점의 점검 정보가 취합되어 자동으로 등급이 분류된다.

 

 

가맹본사는 S등급, A등급, B등급, C등급, D등급으로 나눠진 가맹점 품질등급 분포도를 보며 객관적인 브랜드 관리 상황을 점검한다. 브랜드의 우수 가맹점이 어딘지, 어떤 등급에 가맹점이 몰려있는지 볼 수 있다.

 

등급 분포도를 보며 낮은 등급에 위치한 가맹점들의 원인을 추적해 개선방안을 수립하거나, 우수한 가맹점 사례를 다른 가맹점에 적용해 전체 가맹점의 품질을 상향표준화 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브랜드의 부정적인 키워드들도 간략히 정리돼 있다. 해당 단어를 클릭하면 어떤 가맹점에서 나온 부정 키워드인지 알 수 있게 시스템을 구현했다. 부정적인 키워드가 나온 이유를 파악해 빠르게 개선해 나가면 장기적으로 가맹점 매출 향상으로 이어진다.

 

특히 전체 가맹점 점검 데이터를 토대로 미흡한 항목은 배점 순위별로 나와 있어 빈도수가 높은 내용의 경우 구체적인 이유를 역추적해가면 된다. 브랜드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를 조기에 해결함으로써 전체 브랜드 품질을 올릴 수 있다.

 

 

FQMS앱은 가맹점 데이터 수집부터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가공작업까지 모든 과정이 한 번에 처리돼 리포트로 제공된다. 가맹본사는 브랜드 품질 관리를 위해 필요한 상당한 비용과 시간, 인력을 절약할 수 있다.

 

외식컨설팅기업 ㈜알지엠컨설팅의 강태봉 대표는 “코로나 이후 외식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며 외식인과 같이 IT기술과 외식업을 접목한 푸드테크 기업이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브랜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해 나간다면 브랜드 신뢰도 향상은 물론 가맹점 매출 증대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을 것”이라 전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런맛남] 공차만의 이색 붕어빵 신메뉴 화제
글로벌 프리미엄 밀크티 브랜드 공차코리아(Gong cha Korea)가 국민 간식 붕어빵을 공차만의 방식으로 재해석한 이색 신메뉴 ‘붕어다냥’ 3종을 선보이고, AI 크리에이터 ‘쿠룽지’와 콘텐츠 협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신메뉴는 공차만의 감성을 담은 ‘이색 붕어빵’ 콘셉트를 기반으로 기획됐다. 일반적인 슈크림과 팥 앙금 대신 초당 옥수수와 초코 플레이버의 붕어빵을 표현했으며, 음료 상단에 붕어 모양 쿠키를 올려 콘셉트의 의미를 더했다. ‘붕어다냥’ 3종은 ‘옥수수 붕어다냥 밀크티 + 미니펄’, ‘초코 붕어다냥 밀크 + 펄’, ‘초코 얼그레이다냥 밀크티’로 구성됐다. ‘옥수수 붕어다냥 밀크티 + 미니펄’은 단짠 매력의 초당 옥수수와 은은한 자스민 그린티가 조화를 이룬다. 음료 상단에 올려진 부드러운 초당 옥수수 폼은 고소하면서도 달콤한 풍미를 더하고, 옥수수를 연상시키는 식감의 미니펄은 음료의 완성도를 높였다. ‘초코 붕어다냥 밀크 + 펄’은 진한 초콜릿 라떼에 쫀득한 펄과 부드러운 다크초코 폼을 더한 제품이다. 깊고 묵직한 초콜릿의 풍미를 입안 가득 느낄 수 있으며, 다크초코 폼이 초콜릿 본연의 매력을 한층 끌어올린다. ‘옥수수 붕어다냥 밀크티 +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