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보는 일식 트렌드]향신료에 빠진'라멘', 자극적인 향기의 주목 점포 4 선

일본 북단부에 위치해 겨울철 대표 여행지로 꼽히는 홋카이도(北海道)에서 향신료계 라멘을 선보이는 곳이 점점 늘고 있다. 인기를 끌고 있는 라멘을 정리해보면 크게 향신료를 사용한 카레 라멘, 탄탄면 2가지로 나뉜다. 다가오는 2021년 홋카이도의 라멘 트렌드를 선도할 매장을 미리 살펴본다.

 

카레 라멘 전문점 ‘텐토센(点と線)’

몇 년 전부터 오사카지방 등을 중심으로 젊은 층에서 향신료를 조합해 자신만의 카레를 만드는 문화가 유행을 했다. 도쿄 시모키타자와 1호점을 둔 텐토센은 지난해 12월 홋카이도의 삿포로에 상륙하며 향신료를 바탕으로 한 카레 라멘을 새롭게 선보였다.

 

 

향신료는 매장에서 직접 볶은 커민(중동요리의 주요 향신료), 스타아니스(중국 오향분에 들어가는 재료)를 사용한다. 매운 양념과 향신료를 적절한 비율로 조합해 국물을 만들어낸다. 향신료와 된장이 궁합이 잘 맞아 감칠맛이 살아있는 깊고 진한 국물 맛을 난다.

 

라멘 위에 돼지고기, 삼겹살, 튀김우엉, 보라색 양파, 김 등 15가지 재료를 라면 위에 가득 올려 다채로운 색깔이 먹기 전 식욕을 돋운다. 

 

스프 카레 전문점이 선보인 토리친탄 라멘

삿포로시에서 스프 카레로 유명한 가게 ‘메디슨맨(メディスンマン)’이 라멘 전문점을 2020년 4월 오픈했다. ‘메디슨 멘(メディスン麺)’의 대표 메뉴인 토리친탄(鶏清湯)은 원래 본점에서 화요일 점심에만 판매하던 메뉴였으나 손님들의 반응이 좋아 독립 매장으로 분리시켰다.

 

 

토리친탄 육수에 해물 추출 엑기스를 배합하고 향신료를 첨가해 맛을 더한다. 20종류의 향신료를 혼합해 사용한다. 여기에 신맛과 감칠맛을 살려주는 토마토베이스 양념이 들어가 라멘 맛을 깔끔하게 마무리해준다.

 

중국 향신료 조합으로 탄생한 탄탄면

중화요리 식당 오우탄(王擔)은 중국 쓰촨성에서 수십 종류의 향신료를 수입해 들여와 탄탄면을 요리한다. 우선 국물을 내기 위해 닭을 솥에 넣고 3일 이상 끓이는 정성을 들여 기초 육수를 준비한다.

 

 

그 다음 쓰촨성에서 공수한 고추와 특제 라유, 엄선한 참깨로 소스를 만든다. 고추, 라유 외에도 팔각, 진피 등 향신료가 들어가 있다. 혀가 얼얼해지는 매운맛과 닭 육수가 주는 담백한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인도 고추로 극상의 매운맛을 낸 화끈한 탄탄면

세계에서 가장 매운 고추로 꼽히는 인도산 고추 ‘부트 졸로키아’를 탄탄면 국물에 넣어 매운맛의 끝을 보여준 가게도 있다. 홍콩요리 전문점 쿠론(クーロン)은 탄탄면에 부트 졸로키아 등 3종의 고추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닭 육수와 돼지 육수를 섞어서 국물 베이스로 사용한다. 여기에 새우와 버섯이 들어간 고기된장이 더해진다. 고기된장에는 사천산 산초가루가 들어가 풍미를 더했다. 빨간 국물에 고기된장 덩어리와 양파채를 올려 썩은 다음 함께 먹으면 된다.

 

일본 소비자들이 갈수록 맵고 자극적인 맛을 찾으며 음식점들도 강한 향신료를 배합한 음식들을 선보이고 있다. 2021년에도 이러한 경향이 이어져 향신료를 활용한 라멘 등 음식이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곡성 청년농업인, 월 1만원 임대형 스마트팜에서 딸기 첫 정식
전남 곡성군은 군이 직접 조성한 임대형 스마트팜에 처음으로 입주한 청년 농업인들이 딸기‘설향’품종을 정식하며 본격적인 영농에 들어갔다. 이번에 참여한 청년 농업인 6명은 지난 2월 공개모집과 3월 서류․면접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되었으며, 딸기 정식 시기에 맞춰 9월부터 월 임대료 1만 원으로 3년간의 임대 계약을 체결하고 입주했다. 임대형 스마트팜은 청년의 농업 진입장벽을 낮추고 안정적인 창농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사업으로, 총사업비 39억 원을 투입해 입면 송전리 일원에 조성됐다. 이는 전남영농 스마트단지 조성 사업(30억 원, 4동)과 청년농업인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 사업(9억 원, 2동)을 연계해 완성된 것이다. 시설 내에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자동제어 양액재배 시스템이 적용된 스마트 비닐온실 6동(동당 1,300㎡ 규모), 공동창고 1개소가 들어서 있다. 군은 청년농업인이 임대 기간에 스마트팜 운영에 필요한 실질적인 농업 경험을 쌓고, 안정적인 소득을 창출할 수 있도록 현장 교육, 전문가 멘토링, 병해충 관리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앞으로 딸기의 안정적인 생육과 수확을 위해 초기 생육 관리와 병해충 방제에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동대문구, 제31회 서울약령시 보제원 한방문화축제 개최
서울 동대문구는 오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서울약령시 일대에서 ‘제31회 서울약령시 보제원 한방문화축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사)서울약령시협회가 주최·주관하고, 서울특별시와 동대문구가 후원하는 이번 축제는 조선시대 구휼기관인 ‘보제원’의 가치를 되새기고, 한의약의 우수성과 전통문화를 널리 알리고자 마련됐다. 행사는 17일 오전 10시 서울약령시 북1문에서 시작하는 보제원 제향 퍼레이드로 막을 연다. 퍼레이드는 제기·경동시장사거리와 약령중앙로까지 이어지며, 이후 서울한방진흥센터에서 전통 제향의식이 재현된다. 이어 오전 11시부터는 대형그릇에 비빔밥을 만들어 참가자들과 함께 나누는 ‘한방산채비빔밥 퍼포먼스’가 열리고, 오후에는 개막식과 함께 한방문화예술공연(전통공연, 뮤지컬 등)이 진행된다. 특히 첫날 무대에는 가수 김혜연, 황민호, 양지원, 설하윤 등 인기 가수들이 출연해 축제 분위기를 한층 뜨겁게 달굴 예정이다. 둘째 날인 18일에는 오전 10시 지역예술인 공연을 시작으로, 이어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이어진다. 전통 한약재 썰기대회 등 한방문화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폐막식으로 축제의 대미를 장식한다. 또한 축제 기간 내내 한방체험존과 기타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흑염소 보양탕· 전골· 흑염소불고기' 흑염소 요리의 모든것 전수한다
이제 개고기 대신 '흑염소'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의 대체제로 '흑염소'가 자릴 잡으면서,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흑염소 전문점으로 교체 중이고, 관련 메뉴 전수교육 문의도 크게 늘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진행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를 모두 전수한다. 본 과정은 교육수료 후 바로 장사에 적용할 수 있는 ‘식당창업 전문교육’으로 백년가게부터 소문난 맛집들을 비교·분석, 검증된 최상의 레시피를 개발, 교육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전한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홍보마케팅 등 영업전략과 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방 오퍼레이션 설정, 식재료 코스트, 매장 리뉴얼, 프랜차이즈화 등 다양한 컨설팅과 실무 중심의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 후 바로 외식현장에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