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웨이스트’ 친환경 소재 개발에 집중하는 글로벌 식품유통시장

전 세계적으로 식품외식업계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제로웨이스트(Zero waste) 운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유럽 내 거의 모든 식품 대기업과 대형유통기업이 플라스틱 포장재 감축에 대한 계획을 발표하고 있으며, 친환경 소재 사용 여부는 소비자들의 주요 선택 기준이기도 하다.

 

종이병에 담기는 콜라와 맥주

코카콜라는 덴마크의 포장 용기 벤처기업 파보코(Paboco)와 협력해 종이병 콜라를 개발 중이다. 탄산이 기화하며 팽창하는 부피를 종이가 견디는 것이 관건이다. 올해 봄 헝가리 소비자 2천명을 대상으로 개발 중인 종이병의 실용성을 시험해 볼 계획이다.

 

 

지난해 ‘세계 1위 플라스틱 폐기물 생산 기업’에 선정된 불명예를 해소하고자 코카콜라는 ‘쓰레기 없는 세상(World Without Waste)’을 목표로 내걸고 2030년까지 병, 캔음료는 수거해 재활용하고 기존 포장재를 100%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로 전환할 계획이다.

 

네슬레(Nestlé)도 지난 2019년 말 스위스 로잔에 ‘네슬레 포장 과학 연구소’ 설립하고 지속가능한 포장재 개발에 한참이다. 현재 미국의 스타트업 내추럴 보틀 얼라이언스(NaturALL Bottle Alliance)와 협업해 100% 재생 가능한 재료로 PET병을 연구 중이다.

 

특히, 일회용 용기와 재활용 불가능한 플라스틱 용기사용을 중단하고자 이탈리아에서 판매하는 제품 96%의 포장재를 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전환했다.

 

 

덴마크의 맥주 회사 칼스버스는 펄프 및 제지 제조사, 병 제조사와 합작해 종이병에 담긴 맥주 '그린 섬유 맥주(Green Fibre Bottle)'를 선보였다. 종이(57%)와 재활용 플라스틱(43%)를 혼합해 만들어 100% 재활용이 가능한 병이다.

 

 

스웨덴의 보드카 제조사인 앱솔루트 또한 그린 섬유 맥주를 제작한 합작회사 파보코를 통해 친환경 보드카병을 만들어냈다. 작년 11월 영국과 스웨덴에서 종이병에 담긴 총 2000개의 보드카 제품을 시범적으로 선보였다. 2차 시제품은 올해 봄에 공개할 예정이다.

 

PB제품, 친환경 포장지로 전환하는 글로벌 유통기업

유럽 대표 슈퍼마켓 체인 중 하나인 까르푸(Carrefour)는 벨기에의 폐기물 및 재활용 사업 협회 데누오(Denuo)와 합작해 ‘제로웨이스트 미션(Mission Zero Waste)’을 펼치고 있다. 2025년까지 11,000개의 자체브랜드(PB) 상품의 포장을 줄이고, 100% 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럽 대형 슈퍼마켓 체인 알디(Aldi) 역시 친환경 포장재를 사용한 부활절 초콜릿 ‘더 푸른 부활절(Greener Easter)’를 선보였다. 달걀 아랫부분을 평평하게 만들어 동그란 달걀을 세우기 위해 사용하던 포장지를 없앴다.

 

 

더 푸른 부활절의 포장은 종이와 자연 분해 가능한 천연섬유 필름으로 만들어졌다. 플라스틱 필름을 퇴비로 쓰일 수 았는 셀룰로오스 필름으로 교체했으며, 감자 껍질을 재활용해 초콜릿 상자를 만들었다. 알디는 2025년까지 모든 제품의 포장을 재사용 가능 소재로 바꿀 계획이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 연수특집] 2025년 '사누키우동' 순례길 최신판
먹방투어와 미식기행의 인증샷이 인스타그램, 유튜브의 단골아이템이 되면서 여행에서도 식도락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해외여행에서도 관광명소 탐방이 아닌, 맛집순례가 목적인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가가와현의 사누키우동 투어는 이런 글로벌 식도락 투어 붐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 네 개의 섬 중 가장 작은 섬인 시코쿠에는 우동왕국 ‘가가와현’이 있다. 우동에 미처 사는 사람들이 의리를 지키는 고장, 그래서 붙여진 별명이 ‘우동 현’이다. 이 시골마을에서 사누키우동이 발전한 것은 우동을 만드는데 최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양질의 밀, 세토우치해에서 잡히는 잔멸치, 그리고 쇼도시마에서 만들어지는 간장 등 우동의 주재료들을 쉽게 구할수 있었기에 우동은 그들 삶에 자연스레 스며들었다. '사누키우동 순례'는 하루 두끼 이상 사누키우동을 즐기며 유명 우동집을 2~3일에 걸쳐 맛보고 다니는 여행을 말한다. 여행 상품을 보면 우동버스 투어, 우동학교 체험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동은 가게마다 그 맛이나 특징이 제각각이다. 착한 가격의 우동집들이 즐비해 있어, 하루 종일 우동을 먹고 돌아다녀도 우동값으로 1000~2000엔 정도가 든다고. 우동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부터 내 식당 창업 위한 맞춤컨설팅까지! 외식창업 전문 교육 주목
맛집 창업의 꿈을 꾸는 예비창업자, 업종변경과 메뉴, 기술 등의 보완을 고민 중인 자영업자를 위한 솔루션 과정이 주목받고 있다. 30년 경력의 외식전문컨설팅기업 ㈜알지엠컨설팅 산하 교육기관인 <알지엠푸드아카데미>의 ‘외식창업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맛집 브랜딩 전략부터 메뉴개발, 비법전수 등 외식업 경영의 핵심 노하우를 전한다. 시장성과 사업성이 뛰어난 외식 아이템만을 엄선, 지역 맛집으로 자리 잡은 오너셰프들과 최소 10년에서 30년에 이르는 경력을 갖춘 조리명장이 교육을 진행, 메인 상품부터 각종 찬류 등 한상차림까지 사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가능토록 몸에 익을 때까지 충분한 반복 연습을 지원한다.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의 경우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와 장사비법을 전수했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내 가게 홍보전략 등의 실무 중심의 기술도 함께 교육, 진행했다. 2025년 10월 진행되는 외식창업 과정 교육은 다음과 같다. ▲ 사누키우동 연수 ▲ 개성손만두 요리전문점 ▲ 안동국시 전문점 창업과정 ▲ 이자카야 메뉴개발 ▲국밥 전문점 창업과정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 연수특집] 2025년 '사누키우동' 순례길 최신판
먹방투어와 미식기행의 인증샷이 인스타그램, 유튜브의 단골아이템이 되면서 여행에서도 식도락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해외여행에서도 관광명소 탐방이 아닌, 맛집순례가 목적인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가가와현의 사누키우동 투어는 이런 글로벌 식도락 투어 붐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 네 개의 섬 중 가장 작은 섬인 시코쿠에는 우동왕국 ‘가가와현’이 있다. 우동에 미처 사는 사람들이 의리를 지키는 고장, 그래서 붙여진 별명이 ‘우동 현’이다. 이 시골마을에서 사누키우동이 발전한 것은 우동을 만드는데 최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양질의 밀, 세토우치해에서 잡히는 잔멸치, 그리고 쇼도시마에서 만들어지는 간장 등 우동의 주재료들을 쉽게 구할수 있었기에 우동은 그들 삶에 자연스레 스며들었다. '사누키우동 순례'는 하루 두끼 이상 사누키우동을 즐기며 유명 우동집을 2~3일에 걸쳐 맛보고 다니는 여행을 말한다. 여행 상품을 보면 우동버스 투어, 우동학교 체험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동은 가게마다 그 맛이나 특징이 제각각이다. 착한 가격의 우동집들이 즐비해 있어, 하루 종일 우동을 먹고 돌아다녀도 우동값으로 1000~2000엔 정도가 든다고. 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