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일본은]선술집까지 가세하며 치열해지는 조식 전쟁

지금 일본에선 조식 시장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19가 확산되며 일본 정부에서 3밀정책을 실시하자 식당 내 방문객이 상대적으로 적은 아침 시간대를 선호하는 추세다.

 

또한, 비상사태 선언으로 야간 근무가 어려워지며 부족한 업무를 처리하려 이른 시간에 출근하는 직장인이 늘어난 것도 조식 시장 활성화의 요인으로 꼽힌다. 패스트푸드점외에도 선술집, 불고기 전문점, 라멘 가게들이 조식 시장에 합류하고 있다.

 

3밀(三密) 피하면서도 외식하고자 조식 선호

 

 

구루나비가 아침 외식 수요와 관련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40% 이상이 월 1회 정도 아침 외식을 한다고 답했다. 월 1회 이상은 전체의 20.1%를 차지했다. 그중에서 20대 여성은 28.3%, 30대 남성은 31.6%, 50대 남성은 30.1%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아침 외식을 하는 이유로는 ‘밀폐(密閉)、밀집(密集)、밀접(密接)’ 정책을 피하며 외식을 하고 싶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장사 시작한 선술집 ‘타이슈 키타긴(大衆きたぎん)’

 

 

코로나로 야간 영업이 힘들어지자 선술집도 아침 장사에 나섰다. 외식 기업 ‘GYRO HOLDINGS’가 운영하는 선술집 ‘타이슈 키타긴’은 지난달 12일부터 개점 시간을 아침 8시로 앞당기고 본격적으로 조식 메뉴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5종 반찬의 가정식’(오차즈케, 밥, 츠케노모 무제한) 메뉴를 500엔(5,200원)에 아침 11시까지 판매한다. 여성 고객이나 출근 전 직장인들의 방문 비율이 높다.

 

아침부터 고기!? 야키니쿠 라이크 조식 사업 확대

프랜차이즈 브랜드 ‘야키니쿠 라이크(焼肉ライク)’가 조식 메뉴인 ‘아침 불고기(朝焼肉)’ 메뉴를 판매하는 매장을 확대하고 있다. 야키니쿠 라이크는 작년 여름부터 도쿄의 신바시 본점과 타마치 시바우라점에 조식 메뉴를 시범 도입했다.

 

 

현재는 총 13점포에서 ‘아침 불고기’ 메뉴를 제공 중이다. 꽃갈비 100g, 밥 한공기, 스프, 김외에도 생달걀이나 김치를 선택할 수 있다. 500엔 (5,200원)이면 아침부터 고기를 즐길 수 있다. 매장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7~8시부터 10~11시까지 판매를 한다. 매출 추세를 지켜보고 향후 실시 점포를 확대할 계획이다.

 

아침 도시락 판매 호조에 도입 점포 늘리는 마츠야

테이크아웃 도시락을 판매하는 ‘마츠야(松屋)’는 1월 20일부터 총 266개 점포로 아침 도시락 판매를 시작했다. 아침 도시락 메뉴는 새벽 5시부터 11시까지만 구입이 가능하다. 야간 근무를 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도시락을 구입하는 이들도 종종 볼 수 있다. 가격은 330엔~420엔(3,400원~4,400원)으로 저렴한 편이다.

 

 

마츠야는 아침도시락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자 2월 23일부터는 전국 536개의 전 매장에 메뉴 도입을 결정했다. 클래식 아침 도시락과 소시지&달걀 도시락은 이번에 새롭게 추가한 메뉴다.

 

마츠야 관계자 “최근 도시락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매출 강화의 일환으로 아침 도시락 메뉴를 도입해 유의미한 성과를 기록했다. 전국 매장에 아침 메뉴를 추가했으며, 향후 20~50대 직장인을 타켓층으로 공략할 생각이다”고 밝혔다.

 

조식 한정 메뉴 개발한 라멘 전문점 '잇푸도라멘'

치카라노모토 홀딩스(力の源ホールディングス)가 주력으로 운영하는 돈코츠라멘 브랜드 ‘잇푸도 라멘(一風堂)’도 평일 한정으로 아침 시간 영업을 개시하고 전용 메뉴를 추가시켰다.

 

 

2월 2일부터 잇푸도라멘 아사쿠사바시본점 한정으로 운영하다 반응이 좋아 현재는 총 5개 점포에서 아침 영업을 하고 있다. 조식 전용 메뉴는 돼지 뼈 국물에 조개관자 등을 첨가한 ‘돈코츠 콘라겐 죽’과 멸치 국물로 육수를 낸 ‘아사다라멘’ 2가지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성북구-카카오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 업무협약 체결
서울 성북구가 7월 3일 성북구청에서 ㈜카카오, 사단법인 함께만드는세상,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승로 성북구청장, 권대열 ㈜카카오 CA 협의체 ESG 위원장, 김용덕 사단법인 함께만드는세상(사회연대은행) 이사장, 이정욱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서울지역본부장, 장위전통시장과 정릉시장, 정릉서경대길 골목형상점가, 월곡달빛오거리 골목형상점가, 성북동길 로컬브랜드 육성상권 상인회장 등이 참석해 협약서에 서명했다. 이들은 전통시장과 골목형상점가의 디지털 활성화와 지역상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은 ㈜카카오,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사단법인 함께만드는세상(사회연대은행) 등이 공동으로 2025년부터 추진하는 신규 지역상생형 사업이다. 서울시 자치구 중에서는 성북구가 유일하게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본 사업의 대상지는 장위전통시장, 정릉시장, 정릉서경대길 골목형상점가, 월곡달빛오거리 골목형상점가, 성북동길 로컬브랜드 육성상권 내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점포이며, 2025년 7월부터 하반기 내 운영될 예정이다.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올여름 부산여행 중 하루는 일본 어때…부산-대마도 당일치기 여행 상품 주목
올여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정 등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루만 더 여유를 내서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대마도 당일치기 여행’을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 일본 전문 여행사 ‘일본만’이 부산과 일본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실속 당일치기 코스 여행상품을 출시했다. 일본 대마도는 부산을 찾은 수도권 관광객뿐 아니라 부산 시민들에게도 이미 일상적인 해외 여행지로 자리잡았다. 마트 쇼핑, 일본 간식 사오기, 데이트, 소규모 출국 체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하루에도 여러 편이 운항되는 부산-대마도 배편은 흔한 일상 속 여행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대마도 여행 수요는 온라인 검색 트렌드에서도 확인된다. 네이버에서는 ‘대마도 배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검색되며, 여름철에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 10위권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 보편화된 관광지가 됐다. 여권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한 일본 당일치기 여행 대마도는 부산항에서 팬스타 링크호, 대아고속 씨플라워호, 스타라인 니나호 등 매일 3개선사가 운영 중인 고속선 노선을 이용해 약 1시간 10분 거리에 위치해 하루 안에 왕복 가능한 실속 해외 여행지다. 현재는 왕복 2만9900원대의 특가 대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