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체크] 필환경 시대의 패키징(SUSTAINABLE PACKAGING)

전염병을 경험하면서 지속 가능한 소비와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더없이 공감을 얻고 있다. 친환경을 넘어, 살아남기 위해선 반드시 환경을지켜야 한다는 ‘필必환경’의 목소리가 높다.

 

한국리서치가 지난해 국내 소비자 1천 명에게 ‘착한 소비’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73%가 ‘착한 소비는 친환경적인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라고 답했으며, 56%는 “가격이 비싸더라도 친환경 제품이라면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식품·외식 시장도 예외는 아니다.

‘어떤 재료’를 ‘어떻게 조리’했느냐에 그치지 않고 이제는 ‘어떻게 포장했느냐’에도 깊은 관심을 보인다.사회적 거리두기로 비대면이 강화되면서 온라인 쇼핑 및 배달, 가정간편식의 수요가 늘어나자, 포장과 패키지에 대한 이슈는 빠르게 수면 위로 올랐다.

 

이에 대해 미국 컨설팅 전문 기업 ‘앤드루 프리먼&컴퍼니’는 올해 트렌드 리포트에서 “질병 확산에 대한 우려로 일회용품의 사용이 늘어났지만, 열정적인 소비자들과 업계는 환경을 놓치지않고 있다. 식품의 퀄리티를 유지하면서도 자연적인 분해가 가능한포장재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외 식품 기업들이 플라스틱과 비닐을 줄인 친환경 패키지를 적용한 제품을 속속 선보이기 시작했다.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제품·서비스를 요구하는 소비자에 발맞춰 식품 제조·유통 업계에 '그린 커머스'(원료부터 폐기 방식까지 생산 전 과정을 친환경화한 제품)가 확대되는 모습이다.

 

국내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온라인 식품 배송업체들의 포장재다. 마켓컬리는 지난해 모든 배송 포장재를 재활용 가능한 페이퍼 소재로 바꿨다.

종이 박스 안에 골판지 박스를 결합하는 이중 포장 방식을 도입해 14시간 이상 보랭도 가능하다. 이는 지난 1년 동안 4천8백31톤의 플라스틱을 절감하는 효과로 이어졌다.

 

SSG닷컴은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보랭백으로 ‘알비백I’LL BE BACK’을 고안해 2019년부터 도입했으며 지난 7월 기준, 재사용률 95%로 1년간 일회용품 1천80만 개를 절약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쿠팡 또한 스티로폼 포장재를 대체할 보랭백 ‘로켓프레시 에코’를 지난해 선보였다. 식품 기업들의 동참도 이어졌다. 미세 플라스틱인 ‘고흡수성 폴리머’ 을 사용하던 ‘아이스팩’ 대신 물을 얼려 만든 친환경 아이스팩으로의 전환은 이제 상식이 됐다.

 

 

이외에도 밀키트 전문 기업 프레시지는 지난 10월부터 플라스틱 패키지를 종이로 전면 교체했고, CJ제일제당은 최근 설 명절을 앞두고 플라스틱 뚜껑을 없앤 ‘스팸 선물세트’와 재활용이 용이한 투명 용기로 바꾼 ‘백설 고급유 선물세트’ 등 친환경 선물세트를 준비했다.

 

 

※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강릉 제1회 빵축제 '빵굽는 마을, 오죽' 개막
‘바다와 커피의 도시’를 넘어‘빵의 도시’로 나아가는 강릉의 새로운 지역 축제, ‘빵굽는 마을, 오죽’이 11월 7일(금)부터 9일(일)까지 3일간 오죽한옥마을 일원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강릉관광개발공사(사장 강희문)가 주최하는 시민참여형 축제로, 지역 베이커리와 커피 브랜드가 함께 어우러져 강릉의 맛과 향, 그리고 따뜻한 사람의 온기를 전한다. 축제장에는 강릉을 대표하는 베이커리들이 참여해 다양한 빵과 디저트를 선보이며, 강릉 빵장인 교실·빵만들기 체험·다도체험 등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개막일인 7일 오후에는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하는 대형 케이크 커팅 세리머니가 열리고, 매일 선착순 200명에게는‘오픈런 쿠폰’과 타포린백을 증정하는 특별 이벤트도 진행된다. 또한 버스킹 공연, 제빵 경연대회 등 오감으로 즐기는 콘텐츠가 마련되어 오죽한옥마을 전역이 축제의 열기로 가득 찰 예정이다. 강희문 강릉관광개발공사 사장은 “강릉의 빵을 매개로 지역 소상공인과 시민, 관광객이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의 장을 마련했다”며 “이번 행사를 계기로 강릉이 빵과 관광,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