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맛] 미국, 식물기반(Plant-based) 초콜릿 인기 급상승

코로나19로 미국의 초콜릿시장이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건강에 기반한 ‘나를 위한 식품(Better-for-you)’, ‘비건(Vegan)’, ‘식물기반(Plant-based)’ 등의 관련 비유제품 대체 시장도 함께 커지고 있다.

 

 

식물기반제품 온라인 커뮤니티인 Abilion에 따르면 식물기반 초콜릿은 세계 비건제과시장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현재 가치로 추산해 보면 약 1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물기반 초콜릿 시장의 경우, 현재까지 제품 침투율은 낮은 상황이라는 점에서도 더욱 높은 시장가능성을 전망케 하고 있다.

 

 

식물기반 초콜릿 시장에 뛰어드는 기업들

식물기반 초콜릿의 확산 분위기를 반영하듯 다양한 브랜드 들은 식물기반 초콜릿 카테고리에 진출하고 있다. 미국을 제외 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초콜릿 킷캣(KitKat)을 만드는 네슬레는 지난 여름 식물기반의 초콜릿 ‘KitKat V’를 출시했다. 마스(Mars)는 2019년 영국에서 출시된 갤럭시바(Galaxy Bar)의 비건 버전을 통해 해당 분야에서 최초의 대형식품 제조사로 자리잡고 있다.

 

그동안 비건, 식물기반 초콜릿은 대형 카르텔을 통하지 않고 생산 농가에 더 많은 이익이 돌아갈 수 있도록 마케팅을 최대한 자제하는 형태로 성장해왔다. 유통을 단순화시키는 것에 초점 을 둔 공정무역(Fairtrade) 제품이나 유기농, 프리미엄 제품을 생산하는 소규모 업체들의 제품이 주를 이루어 왔었다면 최근에는 시장의 성장가능성을 본 대기업의 생산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시장 전문가들의 평가다.

 

 

미국 초콜릿 시장 점유율 1위의 허쉬(Herchey’s) 역시 미국시 장에서 식물기반 초콜릿 바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귀리로 만든 ‘Oat made’ 초콜릿 바는 ‘아몬드&바다소금’, ‘클래식 다크 초콜릿’ 두 가지 맛으로 출시되었으며 2022년 6월까지 미 전 역의 일부 소매업체에서 제한적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이는 최근 허쉬가 유기농, 저당, 무설탕 등의 제품에 주력하 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최근에는 프리미엄 저당 초콜릿 브랜드 릴리스(Lily’s)를 인수하기도 했다.

 

현재 미국시장에서 식물기반 초콜릿의 대형 생산자가 전무한 상황이다. 그러나 허쉬는 초콜릿을 대표하는 대기업이란 장점을 살려 시장 반응을 면밀히 살폈으며, 이를 토대로 자사제품의 차별점을 강조하고 있다. 네슬레의 킷캣은 쌀 우유를 사용했으며 마스사의 갤럭시바는 헤이즐넛을 사용하였다.

 

 

허쉬이 댄 몬샤인(Dan Mohnshine) 전략 팀장은 이미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기존 식물기반 초콜릿들과 달리 귀리(Oat)를 사용해 개발됐다고 밝혔다. 귀리우유는 더욱 크리미하고 유제품 우유에 가 장 가까운 맛을 낸다는 평가를 받으며 식물기반 우유 카테고리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미 인기 커피메뉴로 자리잡은 ‘오트라떼’ 등으로 활용되며 미국 내에서 시장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허쉬는 신제품의 대대적인 마케팅에 앞서 제한적인 마케팅을 실시하면서 시장조사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제품을 어디에서, 어떤 경로로 배포할 것인지 에 대해 밝히지 않으며 제품 테스트를 통해서 성공적인 유통 전략과 네이밍 등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받을 것이라고 밝히는 등 시장 진입에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Kati 농식품수출정보 <지구촌리포트 115호>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거창군 김정오 땅강아지 사과밭 대표, 30년 노하우 담긴 사과 품질향상 기술 특허등록
거창군은 30년 경력 사과 농업인이 자체 개발한 기술로 특허를 획득하며, 지역 과수산업에 또 하나의 이정표를 세웠다고 밝혔다. ‘땅강아지 사과밭’의 김정오 대표는 1990년부터 사과농사를 시작해 36년째 현장을 지키고 있는 장인 농업인으로, 사과 명인, 사과 마이스터, 사과 신지식인 등 정부에서 수여하는 인증 3개를 모두 취득하며 ‘사과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거창의 대표 장인 농업인이다. 최근에는 사과의 당도와 착색을 향상시키는 시비기술을 개발해 특허등록(특허 제10-2799786호)까지 성공하며, 기술기반 농업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해당 기술은 생육 단계별 수세 진단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시비 체계로, 비료 성분의 시기별 조절을 통해 착색불량과 당도 편차 문제를 해결한 것이 특징이다. 현장 적용 결과 사과 평균 당도는 1.5브릭스 이상 상승하고 착색율은 20% 이상 개선되는 등 뚜렷한 품질향상 효과가 입증됐다. 현재 농장규모는 과거보다 줄었지만, 김 대표는 고품질 소량생산체계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기술과 경험을 후배 농업인들에게 아낌없이 전수하고 있다. 현장실습, 품질 진단 멘토링, 수형 개선 교육 등 다양한 방식으로 후진 양성에도 열정을 쏟고 있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