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벤치마킹]멕시코, 스페셜티 커피전문점 확산

멕시코에서 커피전문점의 시장규모가 매년 20~25%씩 성장하고 있다. 

 

 

카페 맛과 품질을 중요시 생각하며 스페셜티 커피를 즐기는 문화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조성 중이다. 올해 멕시코의 커피전문점 개수는 6만 2천개에 달하며, 향후 성장가능성 또한 밝다.

 

멕시코 커피전문점 시장동향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멕시코 커피 전문점의 시장 가치는 6억8000만 달러 이상이며, 2023년까지 7억3000만 달러까지 시장 규모가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커피 전문점 개수는 점차 증가해 2020년에는 약 6만 8000개의 점포가 영업할 것으로 전망된다.

 

 

멕시코 스페셜티 커피 및 카페협회(AMCCE) 아르투로 에르난데스(Arturo Hernández) 협회장은 “멕시코에는 현재 6만1000개 이상의 카페가 있지만 매년 5%씩 그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은 지속 성장할 것”이라 밝혔다.

 

 

멕시코 내 카페 특히 커피 프랜차이즈 체인점의 증가로 인해 커피 외식산업 및 문화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멕시코 내 주요 커피전문점 체인 현황

통계사이트 Statista에 따르면 멕시코 내 커피 체인점 점유율은 스타벅스가 4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Café Punta del Cielo(10%), The Italian Coffe Shop(9%)가 따랐다.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에서 인터뷰한 실비아 구티에레스(Sylvia Gutiérrez) 멕시코 스페셜티 커피 및 카페협회(AMCCE) 자문위원은 커피 사업의 경우 한 잔 판매당 얻을 수 있는 마진이 높기 때문에 괜찮은 사업이라 전했다.

 

커피 한 잔을 만드는 가격은 대략 10페소(약 600원)가 드나 최종 소비자가는 평균 25~30페소(약 1500~1800원, 아메리카노 기준)이다. 즉 커피 한 잔 판매당 15~25페소(약 900~1500원)의 수익이 발생해 커피 제조 기계, 인건비 등의 비용을 충당할 수 있다.

 

맛과 경험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카페 선호

스페셜티 커피(Specialty Coffee)란 스페셜티 커피협회(Specialty Coffee Association)에서 정한 스페셜티 기준에 따라 100점 중 80점 이상의 평가를 받는 커피로 일반적으로 프리미엄 커피로 알려져 있다.

 

멕시코는 전국적으로 커피 문화가 발달되어 있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과달라하라(Guadalajara)와 멕시코시티(Ciudad de México)를 꼽을 수 있는데 이 두 도시에서는 값싼 가격보다는 좋은 품질과 맛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많아 스페셜티 커피 분야가 발달했다.

 

 

멕시코시티에서 커피를 소비한다는 것은 단순한 음료 소비뿐만 아니라 카페에 도착한 순간부터 자리를 떠날 때까지 모든 경험을 포함하는 행위이며, 소비자는 특히 커피의 품질과 제조과정 등을 꼼꼼히 따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와 X세대의 커피 애호가들은 단순한 커피 소비 이상의 분위기를 즐긴다거나 카페에서 업무 혹은 스터디 등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선호하는 추세다.

 

스타벅스(Starbucks) 혹은 씨엘리또 께리도(Cielito Querido)와 같은 유명 커피 프랜차이즈는 이러한 수요를 반영해 스페셜티 커피 혹은 관련 제품 등을 비즈니스 모델과 접목했다.

 

스페셜티 커피 전문점의 소비자들은 방문당 평균 80~120페소(약 4800~7200원)의 비용을 지불하며, 이러한 카페에서의 지출은 그들의 일상소비습관이 됐다.

 

멕시코시티에서 스페셜티 커피전문점 ‘Blend Station’을 성공적으로 영업을 하고 있는 창업자 호세 로센도(Jose Rosendo)는 “요즘의 카페들은 멕시코 내 새로운 커피 문화를 조성했고 커피 소비를 증가시켰다. 커피를 소비하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스테셜티 커피를 마시고 일을 하고 무언가를 읽고 또 함께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블렌드 스테이션은 멕시코시티 내 스페셜티 커피 전문점들이 가장 밀집돼 있는 지역인 로마(Roma) 및 꼰데사(Condesa)에 2개의 지점을 보유했다.

 

업무(개인 업무, 미팅 등)나 팀플, 스터디와 같은 코워킹(Co-Working)이 가능한 공간을 조성해 놓았다. 또한, 공정거래를 약속 및 생산가의 발전에 기여하고 최고 품질의 커피를 보장하는 등 지역균형과 상생발전에도 일조한다.

 

 

멕시코 현지 언론들은 스페셜티 커피 전문점 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상업용 커피보다 고객에게 훨씬 더 다양한 선택 폭을 제공, 커피 생산 비용 등으로 인해 여전히 틈새시장이 남아있다고 전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함평, 청년 창업 지원사업 성과 가시화···연말까지 4개소 개장
전남 함평군의 청년 창업 지원사업이 속속 성과를 내며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함평군은 2일 “청년 스트리트캠퍼스 조성사업을 통해 지난 9월 첫 청년 점포가 개장한 데 이어, 지난달에도 신규 점포 1곳이 추가로 문을 열었다”고 밝혔다. ‘청년 스트리트캠퍼스 조성사업’은 청년 인구 유입을 촉진하고, 빈집 등 지역 유휴시설을 창업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사업으로, 청년들의 창업 기반을 조성하고 지역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군은 지난해부터 총 12억여 원을 투입해 ▲전문가 컨설팅 등 창업 교육 ▲크라우드 펀딩 및 벤더사 연계 온라인 판로 개척 ▲인테리어 비용 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을 펼쳐왔다. 지원 대상은 함평 관내 신규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으로, 군은 1차 서류 평가와 창업 전문가 등 외부 위원이 참여한 2차 발표 평가를 통해 총 4명을 최종 선정했다. 현재 창업 지원 대상자 4명 중 2명은 파생상품(Goods) 제작·판매, 곡물 카페를 창업하고 영업 중이며, 나머지 2명도 올 연말까지 창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상익 함평군수는 “청년들이 창업을 통해 자립의 기반을 마련하고, 군은 이를 통해 청년 인구 유입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하동야생차문화센터, 대한민국 차 문화 중심지로 떠오르다
'하동야생차문화센터'가 올해 전년 대비 120%의 수익 증가를 달성하며, 하동 차 산업과 지역관광의 핵심 거점으로 급부상했다. 하동야생차문화센터는 우리나라 차의 본고장 하동의 전통과 현대 차(茶) 문화를 아우르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박물관·체험관·판매장·치유관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전시·판매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특히 쌍계사 템플스테이, 태교여행, 켄싱턴리조트 협업 등을 통해 대상자별 특화된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하여 방문객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율을 끌어올렸다. 가장 인기를 끈 프로그램은 ‘티소믈리에’ 체험 프로그램으로, 하동군 티마스터와 함께 하동암차·잭살차·말차 등 다양한 차를 직접 시음하며 차의 향과 맛을 비교해 보는 교육형 체험이다. 참가자들은 하동차의 품질과 제조 방식에 대한 전문적인 설명을 들으며 색다른 경험을 즐길 수 있다. 녹차 족욕 체험은 하동차를 활용하여 족욕을 즐기는 힐링 프로그램으로, 피로회복 효과가 뛰어나 관광객들의 호응이 높았다. 이외에도 차와 명상, 다례인성체험, 삼색 다식 만들기, 찻잎 염색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연중 운영되며 가족 단위 관광객과 외국인 방문객의 발길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티카페하동은 최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